-
[사회] 2020년 중국 부유층 2.8억 명, 전세계 소비 총액의 5%
보스턴컨설팅그룹 (Boston Consulting Group) 은 ‘ 중국 차세대 소비능력 ( 中国新一代消费推动力 )’ 보고를 통해 중국의 ‘ 신흥 부유층 ’ 은 향후 10 년 중국 소비시장을 촉진하는 중요한 동력이 될 것으로 발표함 . 2020 년 신흥 부유층 수는 2.8 억 명까지 증가할 것이 며 이들은 3.1 억 달러를 소비하여 전세계 소비액의 5% 를 점유할 것으로 전망함 . 또한 비록 중국의 경제성장은 둔화되었으나 향후 3 년내 일본을 넘어 세계 제 2 의 소비시장으로 부상할 것이며 그중 소비시장 성장의 절반이 이 부유층의 견인에 의한 것으로 예측됨 . 중국은 1.2 억 명의 부유층이 있으며 이들의 구매력은 연간 5,900 억 달러로 , 중국은 세계에서 유일한 신흥시장을 가지고 있음 . 신고소득만으로 부호인구 수를 집계한 결과 중국 5,000 만 , 인도 700 만 , 브라질 2,600 만 , 러시아 1,000 만의 부호가 있음 . 2020 년 이 부유층은 2.8 억 명에 달할 것으로 이는 중국 도시인구의 35%, 중국 전체인구의 20% 에 해당함 . 2020 년 중국 부유층의 구매력은 5 배 증가한 3.1 억 달러로 이는 2020 년 일본 전체 소비총액 , 독일의 28%, 한국의 3 배에 상당할 것으 로 전망됨 . 【 출처 : 2020 年我国富裕阶层达 2.8 亿人 占全球消费 5% , 法制晚报 , 2012-11-14 】
홈 > 연구원 간행물 > 한중DB > 최신중국동향 -
中共 18차 전당대회 특집Ⅱ: 5세대 지도부 프로필 분석
18차 전당대회를 통해 중국 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이 시진핑, 리커창을 제외하고 전원 교체됨. 시진핑·리커창을 중심으로 한 제 5세대 지도부가 등장한 것임. 이들은 향후 5년에서 길게는 10년간 사회주의 중국의 정치 경제 사회를 관장할 최고의 파워엘리트들임. 5세대 인사들의 기본 프로필을 중심으로 새 지도부의 특징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함. 우선 새 지도부의 연령, 당가입 연도, 고향, 학력, 전공 및 출신학교 등을 중심으로 중국 정치엘리트 지형에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를 살펴 봄. 다음으로 각 지도부의 주요 경력에 대한 정리를 통해 개별 지도자가 어떤 직무 경험 및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지 살펴 봄. 마지막으로 이상의 논의를 정리하며 5세대 지도부가 이끌어 갈 중국의 향방에 대해서 전망함. <목 차> 1. 중국 5세대 지도부 선출 2. 정치국 상무위 프로필 분석 3. 종합 및 시사점
홈 > 연구원 간행물 > 한중DB > 인차이나브리프 -
[사회] 베이징 시민 출근시간 중 약 14분은 교통체증으로 허비
중국과학원 지속발전 전략 연구팀(中国科学院可持续发展战略研究组)이 발표한 ‘2012중국 신형도시화 보고(2012中国新型城市化报告)’에 따르면 베이징 시민 1인 평균 출근시 소요되는 시간은 52분으로 조사됨.또한 베이징은 52분의 출근시간 중 14분을 교통체증으로 소모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중국 50개 도시 중 교통체증으로 허비되는 시간이 가장 많은 도시로 선정됨. 10년 전 중국 대도시의 교통체증은 매우 드물었으나 약 5년 전부터 교통체증은 이미 대도시를 넘어서 중소도시까지 일반화된 상황임. 허베이 탕산시(河北唐山市)의 출근시 교통체증으로 소비되는 시간은 1인 평균 13분으로 2위에 랭크됨.그 외 광저우(广州), 항저우(杭州), 선양(沈阳), 타이위엔(太原), 스자좡(石家庄), 상하이(上海), 선전(深圳), 톈진(天津)이 1인 평균 12분과 11분을 소모하는 것으로 10위권에 진입함. 중국 15개 대형도시는 교통체증으로 매일 약 20억 위안을 소비되고 있으며 이를 년 단위로 환산시 7000여 억 위안이 낭비되고 있음.도시 교통관리는 모든 도시생활과 연관되기 때문에 교통계획 수립시 전체를 고려한 합리적인 설계를 해야 함. 【출처: 研究报告证实北京“首堵” 人均上班多耗时14分,中国新闻网, 2012-11-01】
홈 > 연구원 간행물 > 한중DB > 최신중국동향
-
Issue&trend_24-9.pdf
홈 > 연구원 간행물 > 인천경제동향 > 인천 경제산업 이슈와 동향 -
최근인천경제_2024_5.pdf
홈 > 연구원 간행물 > 인천경제동향 > 최근 인천경제 -
최근인천경제_2024_5_부록.pdf
홈 > 연구원 간행물 > 인천경제동향 > 최근 인천경제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