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보고서 도시계획 2023
인천광역시 특별건축구역 활성화 적용 방안
■ 연구개요 인천시에 지정된 사례는 없으나, 민선8기 공약으로 제물포르네상스와 연계하여 원도심 지역에 특별건축구역 지정을 통한 창의적 건축 및 새로운 도시경관을 창출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 중임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천시 원도심(특히, 중・동구)을 중심으로 창의적 건축물의 건축을 통한 새로운 도시경관 창출을 위해 특별건축구역 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 특별건축구역 제도의 효과적 운영 및 실효성 확보를 위한 제도적 과제를 살펴보고, 지역특성을 고려한 제도 적용 방향, 적용가능 지역 검토 및 운영방안을 살펴봄
홈 > 연구원 간행물 > 연구보고서 -
연구보고서 교통물류 2023
인천광역시 관광도로 개발 및 활성화 방안
■ 연구 개요 인천의 관광자원과 연계한 관광도로가 필요하며, 인천시가 준비해야 하는 사안을 점검할 필요가 있음 이 연구에서는 관광도로와 관련한 개념을 정리하고 법과 제도, 관광도로 관련 사례를 검토해서 인천시의 관광도로 후보지를 선정하고 관광도로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제안함
홈 > 연구원 간행물 > 연구보고서 -
연구보고서 환경안전 2023
인천 연안 미세플라스틱 특성 연구
■ 연구개요 연안의 미세플라스틱은 해양 생태계를 위협하는 오염원으로, 인천 연안에 분포하는 미세플라스틱의 영향은 간과할 수 없음. 하지만 인천 연안을 대상으로 한 미세플라스틱 연구는 현재까지 미비한 실정임. 본 연구는 수생태계 관점에서 미세플라스틱 연구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인천 연안에 분포하는 미세플라스틱의 관리 전략을 파악하고자 함. 이를 위해 인천 연안의 미세플라스틱 특성을 분석하여 수생태계 보호를 위한 미세플라스틱 저감 방안을 제언함.
홈 > 연구원 간행물 > 연구보고서
-
제25-02호 2025년 주목해야 할 글로벌 경제・산업 이슈
인천 경제산업 Issue & Trend 제25-02호 (2025.02.21) Ⅰ. 이 슈 (국제) 2025년 주목해야 할 글로벌 경제·산업 이슈 Ⅱ. 주요 산업 현황 (제조) 반도체산업 시장 동향 (부록) 주요 산업 수출입지표 Ⅲ. 국내 정책동향 (교육) 202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제도 개편 안내 (산업) 산업부·과기부, AI 산업생태계 확산을 위한 지원 추진 (교육) 고교학점제 시행에 대비할 수 있도록 진로·학업설계 지원서비스 개통 (환경) 폐기물 매립장 부지, 안전·환경 강화 및 활용도 제고 추진 (경제) 2025년 한 해 동안 착한가격업소 공모·이용 시 다양한 혜택 증정 (산업) 산업부, 소재·부품 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공급망 안정화 추진 (산업) 폭염취약 소규모사업장에 온열질환 예방 장비·설비 등 200억 원 지원 (산업) 2025년 맞춤형 지능형(스마트) 공장 구축 지원사업 참여기업 모집
홈 > 연구원 간행물 > 인천경제동향 > 인천 경제산업 이슈와 동향 -
인천경기종합지수 2025년 2월호
- 인천광역시 선행종합지수 선행종합지수는 신규구직자수, 재고순환지표, 금융기관유동성 등의 지표처럼 실제 경기 순환에 앞서 변동하는 개별지표를 가공·종합하여 만든 지수로 향후 경기변동의 단기 예측에 이용 순환변동치는 추세, 순환요인 변동치에서 추세요인을 제거한 순환변동요인에 따른 경기 변동치를 의미하며 경기국면 및 전환점 분석에 사용 12월 선행종합지수는 101.4로 전월대비 0.4% 증가 12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101.7로 전월대비 0.3p 증가 1) 신규 구직자수 12월 신규구직자 수는 24,130명으로 전월대비 1,453명(6.41%) 증가, 전년동월대비 2,303명(10.56%)이 증가 2) 재고순환지표 (월 단위로 추출된 생산자제품출하지수와 생산자제품재고지수의 각 전년동월대비 증감률의 차이) 12월 재고순환지표는 -25.0%p로 전월대비 4.2%p 감소, 전년동월대비 18.2%p 감소 3) 자동차등록대수비율 (등록자동차(승용차, 승합자동차, 화물자동차, 특수자동차, 이륜자동차)의 등록 현황) 12월 자동차등록대수비율은 6.65%로 전월대비 0.02%p 감소, 전년동월대비 0.02%p 감소 4) 건축허가면적 (건설(건축, 토목) 부문 중 민간부분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건축 부문의 건설투자 선행지표) 12월 건축허가면적은 1,452,497㎡로 전월대비 1,065,381㎡(275.21%) 증가, 전년동월대비 813,042㎡(127.15%) 증가 5) 수출입물가비율(전국) (수출 및 수입 상품의 가격변동을 측정한 통계로 수출입 상품의 가격변동이 국내물가에 미치는 영향과 수출입상품의 원가변동을 측정하는데 이용) 12월 수출입물가비율은 94.7%로 전월과 동일, 전년동월대비 3.6%p 증가 6) 금융기관유동성 (광의통화(M2)에 예금취급기관의 만기 2년 이상 정기예·적금, 금융채, 금전신탁 등과 생명보험회사의 보험계약준비금, 증권금융회사의 예수금 등 유동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금융상품까지 포함) 12월 금융기관유동성은 4,743.0조 원으로 전월대비 9.9조 원(0.21%) 감소, 전년동월대비 200.3조 원(4.41%) 증가 7) 장단기금리차 (국고채(3년)와 CD유통수익률(91일)의 차이로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시장 참가자들의 향후 경기(금리)전망, 금융불안 등에 따른 기간프리미엄의 변화 등의 영향을 받으며, 향후 경기 및 인플레이션에 대한 시장 참가자들의 기대를 나타냄) 12월 장단기금리차는 -0.76%p로 전월대비 0.20%p 감소, 전년동월대비 0.28%p 감소 - 인천광역시 동행종합지수 동행종합지수는 산업생산지수, 전력사용량, 소매판매액지수 등과 같이 실제 경기순환과 함께 변동하는 개별지표를 가공·종합하여 만든 지수로 현재 경기상황의 판단에 이용 순환변동치는 동행종합지수에서 경제성장에 따른 자연추세분을 제거하고 경기 순환만을 보는 지표로 현재의 경기가 어떤 국면에 있는지를 나타냄 12월 동행종합지수는 114.4로 전월대비 0.3% 감소 12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99.2로 전월대비 0.7p 감소 1) 비농가취업자수 (전체 취업자 중에서 농업, 임업 및 어업과 건설업을 제외한 취업자수로 경제활동(취업, 실업, 노동력 등) 특성을 조사함으로써 거시경제 분석과 인력자원의 개발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 12월 비농가취업자수는 155만 5천 명으로 전월대비 2만 6천 명(1.64%) 감소, 전년동월대비 6만 1천 명(4.08%)이 증가 2) 산업생산지수 (광업, 제조업 및 각 사업(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에 대하여 계절조정이 된 총생산지수로 경기동향 판단과 국내총생산(GDP) 추계 및 설비투자계획 수립에 활용) 12월 산업생산지수는 131.5로 전월대비 10.8(8.95%) 증가, 전년동월대비 19.7(17.62%) 증가 3) 컨테이너처리량 (인천항을 이용하는 화물(우편물 포함)의 수송현황으로 여객선을 이용하는 여객의 수하물은 제외) 12월 인천항의 컨테이너처리량은 320,833TEU로 전월대비 39,566TEU(14.07%) 증가, 전년동월대비 1,490TEU(0.47%) 증가 4) 전력사용량 (가정용, 공공용, 농림어업, 광업 및 제조업에서 사용한 총전력량을 월 단위로 집계한 것) 12월 전력사용량은 2,190,947MWh로 전월대비 203,242MWh(10.22%) 증가, 전년동월대비 10.941MWh(0.50%) 감소 5) 대형소매점 판매액지수 (대형소매점의 월간 매출액을 기준액(기준년도의 월평균 매출액)으로 나누어 작성한 경상지수를 디플레이터로 나누어 작성한 지수) 12월 대형소매점 판매액지수는 116.3으로 전월대비 0.9(0.77%) 감소, 전년동월대비 2.8(2.31%) 감소 6)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임대주택을 제외한 거래 가능한 재고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을 기준시점 대비 현재시점의 가격비로 환산한 값. 아파트 매매가격을 조사하여 주택시장의 평균적인 가격변화를 측정하고, 주택시장 판단 지표 또는 주택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 12월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108.8로 전월대비 0.3(0.32%) 감소, 전년동월대비 1.7(1.54%) 증가 7) 수출액 (무역통계 수출입신고서를 기준으로 작성된 수출액을 2010년을 기준으로 평가된 수출물가지수로 나누고 100을 곱하여 나타낸 실질수출액) 12월 수출액은 45억 4천만 불로 전월대비 2억 5천 9백만 불(5.40%) 감소, 전년동월대비 3억 9천 8백만 불(9.61%) 증가 8) 수입액 (무역통계 수출입신고서를 기준으로 작성된 수입액을 2010년을 기준으로 평가된 수입물가지수로 나누고 100을 곱하여 나타낸 실질수입액) 12월 수입액은 48억 7백만 불로 전월대비 4억 1천 8백만 불(9.52%) 증가, 전년동월대비 2억 5천 4백만 불(5.57%) 증가
홈 > 연구원 간행물 > 인천경제동향 > 인천경기종합지수 -
제25-01호 2025년 정부 경제정책 방향 및 인천시 시사점
인천 경제산업 Issue & Trend 제25-01호 (2025.01.24) Ⅰ. 이 슈 (경제) 2025년 정부 경제정책 방향 및 인천시 시사점 Ⅱ. 주요 산업 현황 (제조) 자동차산업 시장 동향 (부록) 주요 산업 경기지표 Ⅲ. 국내 정책동향 (경제) 문화비 소득공제, 오는 7월부터 헬스장·수영장까지 확대 적용 (산업) 영업 허가 및 등록을 위한 사업자 자본금 기준 명확화 (산업) 환경부·특허청, 2월 5일까지 ‘에코스타트업 지원사업’ 참여기업 모집 (금융) 2025 달라지는 금융제도, 금융소비자 편의 확대 추진 (행정) 지역 현안사업 투자심사에 대한 지자체 심사 권한 확대 (경제) 설 명절을 맞아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Big4 이벤트 시행 (경제) 2월 말까지 ‘2025 코리아그랜드세일’ 진행 (환경) 인천 남동, 2025년 ‘우리동네 맑은공기 종합지원’ 사업대상지로 선정
홈 > 연구원 간행물 > 인천경제동향 > 인천 경제산업 이슈와 동향
-
2022 DMZ 국제포럼 [인천세션]
□ 행사 개요 ○ 일 시 : 2022 년 11 월 4 일 ( 금 ) 16:10~18:00₩ ○ 장 소 : 그랜드하얏트인천 & 온라인 ○ 주 제 : 글로벌 대전환과 경제안보 시대, 한반도 평화와 국제협력 ○ 주 최 : 인천광역시, 경제 인문사회연구회,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주 관 : 인천연구원, 인천대학교 중국학술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홈 > 연구원 간행물 > 행사자료집 -
2022 아시아 태평양 혁신 콘퍼런스 [인천세션]
□ 행사개요 ○ 일시 : 2022년 10월 29일(토) 10:45~12:15 ○ 장소 : 인하항공우주융합캠퍼스 ○ 주제 : 혁신과 지역경제 ○ 주최 : 인하대학교, 인하대학교 AI 데이터법센터, 인천연구원, 인천테크노파크, 한국과학기술평가원, 한국기술경영경제학회 ○ 주관 : 인천연구원, 인천테크노파크
홈 > 연구원 간행물 > 행사자료집 -
제9회 국제기후금융・산업컨퍼런스
□ 행사 개요 ○ 일시 : 2022.10.25(화) 10:00~16:30 ○ 장소 : 송도컨벤시아 3층 (302호~309호 회의실) ○ 주제 : 기후위기의 리스크와 기회 / Risk and Opportunities of the Climate Crisis ○ 주관 : 인천광역시, 인천연구원 ○ 주최 : 인천기후환경연구센터, GCF, 녹색기술센터 ○ 후원 : 기획재정부, 환경부
홈 > 연구원 간행물 > 행사자료집
-
[채용공고2024-31호]행정분야 초빙연구원 채용공고
인천연구원 공고 제2024 - 31호 행정분야 초빙연구원 채용공고 인천연구원에서는 인천시정의 발전을 위한 다양한 정책 연구를 추진하고자 아래와 같이 행정분야 인재를 초빙하고자 합니다 . ■ 채용분야 : 행정분야 ■ 모집인원 : 1 명 ■ 해당직종 : 초빙연구원 ■ 담당업무 : F1 대회 사례 및 유치 효과 분석 계획 관련 연구 및 행정보조 ■ 접수및 안내 : 채용 전용 홈페이지 https://recruit.incruit.com/incheon/job/2409270001 2024. 9. 30 재단법인 인천연구원장
홈 > 소통참여 > 채용 정보 > 채용 공고 -
제17회 인천연구원-기타큐슈시립대학 공동연구발표회
■ 행사개요 ○ 일 시: 2024년 9월 30일(월) 14:00~18:00 ○ 장 소: 인천연구원 2층 대회의실 ○ 주 제: “인천과 키타큐슈의 외국인 노동자 및 문화관광 정책” ○ 주 최: 인천연구원, 키타큐슈시립대학 지역전략연구소 ○ 주 관: 인천연구원 ○ 주요내용: 개회식, 주제발표(1부, 2부), 실무회의
홈 > 소통참여 > 공지 사항 -
2024 인천 시민 대축제
□ 행사개요 ○ 일시: 2024. 10. 12.(토) 11:00 ~ 21:00 ○ 장소: 인천대공원 일원 ○ 내용: 기념식, 문화행사, 음식축제, 부대행사 등
홈 > 소통참여 > 공지 사항
직원정보 (169건)
-
2003년도 주요사업계획
2003 年度事業計劃案 인천시정을 선도하는 정책연구기관으로서 내실 있는 연구, 창의적인 정책개발로 인천과 한국의 미래를 이끌어 가는 수도권 핵심 연구원으로의 위상 정립 연구과제 선정 및 연구 인천현안문제를 중심으로 연구원 1인당 2과제의 자체연구과제 수행 및 연구심의회를 통한 연구 질평가 실시 전년도 계속사업의 수탁연구과제의 조속한 마무리 및 효율적 대안 제시로 시정에의 기여도 제고 술행사 개최 및 국제교류 사업추진 우리나라 지방자치 10년사를 조명하여 그동안 얻은 것(得)과 잃은 것(失)에 대한 체계적인 조명 동북아 주요연구기관과 정례적 학술교류 협력을 강화하고, 이를 통한 연구영역 확대 및 연구의 질 배양 미래발전전략에 기초한 자치행정강화 전략 수립 자치행정을 강화하고 열린 행정을 실현함에 있어 수반되는 행정조직 내부의 정보화 및 디지털화에 따른 인천시 내부조직의 변화요인에 대한 재점검 조직 개편에 따른 직제·정원의 보강 임시조직인 한중교류센터의 정규조직화 및 여성개발센터의 신설(하반기)로 7실 2센터 1팀으로 개편하고, 이에 분야별 전문연구인력 10명 증원 연구원 청사 리모델링 실시 노후화된 청사를 보수는 물론 연구공간의 재배치를 통하여 연구공간 확충 및 연구지원시설의 확충으로 쾌적한 연구분위기 조성
홈 > 정보 공개 > 경영공시 > 주요 사업계획 -
2002년도 주요사업계획
2002년도 인천발전연구원 사업계획(안) 한중연구사업 주요 연안도시(대련, 천진, 단동, 청도 등)의 산업입지 특성 분석을 통한 중국진출기업의 입지선정 지원 방안 중국의 관세 및 부가세 환급 실태 분석을 통한 대안 모색 인천지역기업의 중국진출 실태 파악과 진출기업지원을 위한 정보제공 방안 「대련경제연구센터」와의 공동연구사업 인천~대련 상호 입지적 특성의 상호활용방안 자동차부품 관련 인천기업의 중국 대련 진출방안 인천~대련간 국제물류시스템 개선방안 인천시와 대련시의 관광교류활성화를 위한 과제 도출 D/B 구축 및 정보제공사업 2단계 D/B구축 사업 중국 D/B관련 경제 영역별, 지역별 자료 수집 및 정리 중국, 한국, 일본, 대만, 홍콩, 싱가포르 등 각국의 중국관련 D/B운영 사례조사 한국(중국)내 중국(한국)연구 교류기관과 전문가의 현황파악 및 연구/교류 실적 조사 정보제공 사업 Weekly Newsletter「중국시장동향」발행 계간「중국정보」시범발행(하반기) 한중교류사업
홈 > 정보 공개 > 경영공시 > 주요 사업계획 -
2001년도 주요사업계획
추진 방향 및 목표 기본방향 올바른 市政을 위한 정책 개발 삶의 질 관련 연구사업 활성화 ‘인천연구’를 위한 기초연구의 활성화 KMS(지식관리시스템)구축을 통한 생산적인 연구여건조성 市民社會 및 市政發展에 기여하는 內實있는 연구기관
홈 > 정보 공개 > 경영공시 > 주요 사업계획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