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연구원이 발간하는 중국 전문보고서로 중국과의 교류·비즈니스 지원을 위한 시사·정책 이슈의 심층 분석과 관련 최신 정보 제공
ISSN 2765-1444(online)
전체 534건
-
「중국도시정보 23」 중국 광역수도권 산업구조 변화와 특징
중국 정부는 수도 베이징과 톈진직할시 그리고 허베이성을 포함하는 광역수도권 통합 발전을 위한 징진지 전략을 추진하고 있음 특히 징진지 전략을 통해 수도권 역내 산업분업·네트워크 강화를 통한 지역특화 발전을 강조하고 있음 베이징시, 톈진시, 허베이성의 산업구조 및 특화 정도를 비교 검토하여, 3개 지역의 경제·산업 통합발전 전략 추진의 초기여건을 파악하고 성공가능성을 가늠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 3개 지역 산업구조 변동 및 특화도 분석 내용은 김수한·유다형(2016:78-91)에 기초하여 작성하였음 <목 차> 1. 징진지 전략과 광역수도권의 산업 재편 2. 중국 징진지 산업구조 변화 양상과 특징 3. 중국 징진지 산업 특화도 분석4. 종합 및 전망
- 등록일 2017.09.18
-
「중국도시정보 22」 중국 혁신주도형 발전 현황과 특징: 창장(長江)삼각주 지역을 중심으로
중국 경제선도 지역인 창장 삼각주를 중심으로 지역혁신 창출현황 및 관련 역량을 분석함 - 창장 삼각주 지역의 혁신산출 수준은 전국 수위권을 차지하였으며, 이는 지역이 우수한 혁신역량을 보유한 결과임- 지역의 인력 및 재정·금융자원 수준, 혁신창출 기관 규모, 혁신주체 간 협력 수준은 전국 평균 수준과 비교하여 상당히 높음 지역혁신체계 수립 수준이 비교적 높은 창장 삼각주 지역의 경우, 향후 지역혁신체계의 상부구조를 강화할 수 있는 혁신역량 배양을 위해 다양한 노력이 필요함 혁신 산출은 지역혁신체계 상·하부구조를 형성·강화하는 혁신역량에 의해 결정되며, 지역혁신체계 수준이 높아질수록 상부구조 관련 혁신역량의 중요성이 강조됨 <목 차> 1. 중국 창장 삼각주의 발전체제 전환 2. 창장 삼각주 지역 혁신창출 현황 3. 창장 삼각주 지역 혁신역량 분석4.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7.09.04
-
중국의 장소마케팅 전략과 사례: 윈난성 다리 국제사진제
중국 각지에서는 장소마케팅에 기반한 고유의 문화콘텐츠상품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 지역 자산을 활용한 장소마케팅의 성공 사례로 부각되고 있는 중국 윈난(云南)성 다리(大理) 국제사진제를 중심으로 중국 장소명소화의 내용과 특징을 살펴봄 중국 서남부 윈난성의 다리는 지역 고유의 장소성과 국제사진축제를 연계하여 다리국제사진제 문화콘텐츠를 창출하고 이를 지역 명소화에 활용하고 있음 <목 차> 1. 지역자산을 활용한 중국의 장소마케팅 2. 다리지역 현황 3. 다리국제사진제 장소마케팅의 주요 내용과 특징4.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7.08.21
-
중국 공유경제의 발전과 특징(2) - 주요 비즈니스 모델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으로 공유경제(sharing economy)가 주목을 받고 있음. 여러 국가의 중앙 및 도시정부가 소비시장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 공유경제 기반 비즈니스 모델을 집중 육성하고 있음 특히 중국에서는 소비경제 및 내수경제를 중심으로 한 국가발전 패러다임 전환을 위해 공유경제를 대대적으로 육성하고 있음 중국의 중요한 사회경제 현상으로 대두되고 있는 공유경제 현황 파악을 위하여 INChina Brief에서는 2회에 걸쳐 “중국 공유경제의 발전과 특징”을 연재함- △공유경제의 기본 개념 △중국 공유경제 발전 현황 △중국 공유경제 육성 정책 △공유비즈니스 모델 사례를 주요 내용으로 함 <목 차> 1. 공유경제의 기본 개념 2. 중국 공유경제 발전 현황3. 중국 공유경제 육성 정책 4. 공유경제 비즈니스 모델 사례5.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7.08.07
-
중국 공유경제의 발전과 특징(1) - 기본 현황 및 정책 환경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으로 공유경제(sharing economy)가 주목을 받고 있음. 여러 국가의 중앙 및 도시정부가 소비시장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 공유경제 기반 비즈니스 모델을 집중 육성하고 있음 특히 중국에서는 소비경제 및 내수경제를 중심으로 한 국가발전 패러다임 전환을 위해 공유경제를 대대적으로 육성하고 있음 중국의 중요한 사회경제 현상으로 대두되고 있는 공유경제 현황 파악을 위하여 INChina Brief에서는 2회에 걸쳐 “중국 공유경제의 발전과 특징”을 연재함- △공유경제의 기본 개념 △중국 공유경제 발전 현황 △중국 공유경제 육성 정책 △공유비즈니스 모델 사례를 주요 내용으로 함 <목 차> 1. 공유경제의 기본 개념 2. 중국 공유경제 발전 현황3. 중국 공유경제 육성 정책
- 등록일 2017.07.17
-
「중국도시정보 21」 중국 광역수도권 구상에 따른 허베이성 권역별 도시정책 동향
중국 정부는 수도 베이징과 톈진직할시 그리고 허베이성을 포함하는 광역수도권 통합 발전을 위한 징진지 전략을 추진하고 있음 허베이성은 징진지 전략을 지역발전을 위한 기회로 활용하고자, 성 전체를 4대 권역으로 구분하고, 각 지역별 지역발전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고 있음 허베이성 및 성 지급시의 <13·5규획>을 중심으로 관련 주요 정책 내용을 정리하고 인천 지역 차원에서의 연계 방향을 제시함 - 각 도시 정책 내용은 김수한·유다형(2016:53-65)에 기초하여 작성하였음 <목 차> 1. 중국 광역수도권 일체화전략과 허베이성 2. 허베이성 권역·도시별 지역정책 동향 3. 전망 및 연계방향
- 등록일 2017.07.03
-
중국 자동차시장과 로컬 전기차 업체의 발전전략 분석
중국 자동차시장이 SUV를 중심으로 지속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계 자동차의 시장점유율은 감소 2016년까지 폭발적으로 성장했던 전기차 시장은 금년 성장세가 다소 둔화되었지만, 이는 정책적인 요소로 향후에도 안정적 성장세 지속 전망- 2016년 말 발표된 기술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신차 출시 연기 및 보조금 축소에 따른 선구매 영향이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 중국 주요 전기차 업체의 발전전략은 수직계열화 추구(BYD, 베이징 자동차), 가성비 중심의 시장확대(Zotye, Chery), 전기차 집중(Geely) 등으로 구분할 수 있음 <목 차> 1. 중국 자동차시장 동향 2. 신에너지 자동차시장 동향 3. 주요 로컬업체 발전전략4. 결론 및 시사점
- 등록일 2017.06.26
-
중국의 외교 네트워크를 통해 본 한중·북중 관계
경제력을 바탕으로 굴기(崛起) 중인 중국은 외교·안보 영역에서도 영향력 확대 중 북핵문제를 둘러싼 한반도의 정세 변화에 있어서 중국의 외교적 입장과 역할에 대한 관심 급증 한중 수교 25주년을 맞이한 시점에서, 중국의 對한반도 정책과 이에 따른 한중·북중 관계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학술적, 정책적으로 유의미한 작업 국제정치학 영역에서도 네트워크 분석이 활성화되고 있는 가운데, 본 보고서는 중국의 외교 네트워크를 통해 한중·북중 관계를 고찰 <목 차> 1. 중국의 외교 네트워크와 한중·북중 관계 2. 한중·북중 관계의 변천 3. 시진핑 체제의 對한반도 정책과 한중·북중 관계4. 종합 및 함의
- 등록일 2017.06.12
-
중국 농민공 현황 및 특징 -『2016 전국농민공모니터링조사』분석-
중국 국가통계국이 2017년 4월 발표한《2016년 전국농민공모니터링조사보고(全国农民工监测调查报告)》의 조사 내용을 중심으로 중국 농민공 현황 및 특징을 살펴봄 중국 국가통계국은 2008년부터 시행하고 있는《전국농민공모니터링조사보고》를 통해 매년 전국 농민공 ▲규모 ▲이주현황 ▲고용형태 ▲거주환경 ▲사회보장 등 관련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음 인천발전연구원 한중DB에서는 중국국가통계국 자료에 기초하여 관련 보고서를 2013년부터 지속적으로 작성하여 중국 농민공 현상의 특징과 패턴 파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해 옴 <목 차> 1. 조사 배경 및 개요 2. 전국 농민공 조사의 주요 내용 3. 종합 및 시사점
- 등록일 2017.05.22
-
중국의 여론파워 : 대중에 의한 정책 의제 설정
2000년대 들어, 공산당 지도부에 의해 폐쇄적으로 이루어지던 정책 의제 설정에 대한 대중적 참여가 가시화되고 있음 공공지식인의 등장, 상대적으로 독립적인 언론 그리고 인터넷과 SNS를 통한 대중의 참여는 공산당 지도부에 압력을 가해 대중이 선택한 의제가 정책적 전환을 이루어냄 정책 의제 설정에 대한 일반 대중의 영향력 확대는 향후 한중 관계의 발전과 문제 해결에 대한 새로운 방법적 모색을 가능하게 함 <목 차> 1. 중국 정책 의제 설정의 특징 2. 대중압력형 모델의 등장과 발전 3. 정책 의제 설정 모델 전환과 중국 정치의 변화 4. 한중 관계에 주는 시사점과 정책적 함의
- 등록일 2017.05.08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