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KIET 산업경제정보 제293호 (2006-10)]
[요 약]
○ 최근 중국의 대출금리 인상 조치에 따라 중국의 경기 위축과 한국 등 주변국 경제에 대한 악영향 우려가 재연되고 있음.
○ - 중국의 경기과열이 진정되지 않고 있어 중국정부는 이번 금리인상을 신호탄으로 긴축정책의 강도를 높일 가능성이 큼.
○ 중국당국은 거시정책 조정을 소폭으로 제한해 경제적 충격을 최소화하면서 일부 과열업종에 대해서는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병행해 나갈 것으로 예상됨.
○ - 긴축정책에도 불구하고 중국경제가 급격히 위축될 가능성은 낮으며 우리 경제에 대한 실질적인 영향도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보임.
○ - 한국의 대중국 비즈니스는 중국의 내수경기보다는 수출경기에 크게 좌우되고 있어 선진국 경제의 동향이나 원화 환율의 변화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
○ 최근 중국 산업구조가 빠른 속도로 고도화되고 있어 중국기업의 전반적인 경쟁력이 크게 향상될 가능성이 높음.
○ - 중국의 긴축정책에 수반되는 산업구조조정으로 중국기업의 경쟁력이 전반적으로 향상될 경우 한국기업에게 위협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
○ 국내 기업은 중국과의 수평적 또는 수직적 보완관계를 적절히 활용하여 산업구조 및 사업구조를 더욱 신속히 고도화하는 한편,
○ - 중국의 성장국면 전환을 새로운 기회로 활용하는 비즈니스 전략을 구사해야 할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