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2010년 9월 중국핑안보험(그룹)주식유한공사(中國平安保險(集團)股份有限公司, 이하 '중국핑안')가 선전발전은행(深圳發展銀行)을 인수하면서 중국 금융업계 사상 최대 규모의 M&A가 성사됐다. 금번 거래는 중국핑안이 수 년간 전개해 온 복합금융 전략의 중요한 이정표이자 학술∙산업계의 광범위한 이목을 끌기에 충분한 사건이었다.
이와 같은 중국핑안의 복합금융 전략은 다양한 관점에서 원인을 찾아볼 수 있다. 먼저 '제도론적 관점'에서 보면, 중국의 금융산업 성장, 관리감독 환경 변화, 금융 소비수요 증가 등의 우호적인 요인들이 중국핑안의 복합금융화를 견인했다. '효율론적 관점'에서 보면, 복합금융 전략을 통해 금융서비스간 시너지 창출을 기대할 수 있고, 특히 경쟁사와의 차별화도 성공적으로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경쟁사 대비 잉여자원이 많지 않은 중국핑안의 복합금융화를 '자원론적 관점'으로 해석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으며, 보험업과 은행업에서 압도적인 시장권력을 갖고 있지 못하다는 점에서 '시장권력론 관점' 역시 중국핑안과 거리가 있어 보인다. 마지막으로 경영진(대리인)의 의지가 적극 반영된 복합금융 전략이라는 관점에서 마밍저(馬明哲) CEO의 중국핑안과 '대리인론적 관점'은 유사성을 찾아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중국핑안의 복합금융 전략은 금융제도와 금융환경 변화의 영향(제도론, Institutional Theory) 및 경제효율과 시너지효과 추구(효율론, Efficiency Theory)를 주요 목적으로 추진되었고, 이는 기업 리더의 선견지명과 의지(대리인론, Agency Theory)를 통해 표출되고 실현되고 있다.
<목차>
1.머리말
2.복합금융의 개념 및 현황
3.중국핑안의 복합금융화 과정
4.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