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12∙5 규획 기간 중국 경제 및 철강산업의 변화와 시사점

  • 저자

    정철호 외

  • 출처

    포스코경영연구소,

  • 발행일

    2011-03-22

  • 등록일

    2011-03-30

 향후 5년간, 중국 철강산업의 판도는?
□ 양적 고도성장 가운데 구조적 문제점들이 누적됨에 따라 중국 정부는 12∙5 규획 기간에 발전방식을 ‘지속가능성장’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힘.
  ○ 30년간 연평균 10% 고성장해 왔으나, 지역간, 계층간 소득격차가 확대되고 투자 및 수출의존도가 과도하게 높아지는 등 구조적 문제가 심화됨.
  ○ 발전방식 전환을 위해 내수 확대와 녹색성장을 중점 추진하며, 내수 확대의 정책 수단으로는 ①소득분배 개혁, ②지역개발, ③민간투자 촉진을, 녹색성장의 정책 수단으로는 ①기존 산업 업그레이드, ②7대 신흥전략산업 육성을 제시함.
□ 질적 성장으로의 전환은 완만하게 진전될 전망이며, 성장률 하락에도 불구하고 향후 5년간 연평균 8%를 상회하는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보임.
  ○ 민간소비 증가, 개발투자 지속 등 고성장 지속 요인이 존재하는데다, 재정 및 금리 등 정책 수단에서 거시경제 조절 능력을 보유하고 있음.
  ○ 특히 고용 문제의 중요성을 감안할 때 성장방식의 전환은 점진적으로 추진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평가됨. 
□ 철강산업은 철강사 난립 및 중복과잉 투자로 낮은 이익률을 기록 중이며, 12∙5 규획 기간 구조조정을 통한 질적 수준 제고가 핵심 정책 방향임.
  ○ M&A 등을 통해 10대 철강사 비중을 ’15년 말까지 60%로 늘리고, 연해 및 연강 생산 비중을 40%까지 끌어올릴 계획임.
  ○ 화북 및 동북지역에서는 능력 확대를 억제하고, 중남 및 화동지역에는 연해 생산기지를 건설하며, 중서부지역에서는 지역 철강수요 충족을 중시한다는 방침임.
  ○ 한편 중국 주요 철강사들은 12∙5 규획 기간 대형화와 기술혁신, 원료자급률 제고, 사업다각화 등을 중시하는 발전 목표를 수립하였음.
□ 중국 철강사들의 도전 등 위협요인에 대한 선제적 대비가 필요하며, 중국의 변화가 주는 기회 활용 극대화를 위해 전략적 접근이 필요함.
  ○ 중국산 제품에 대비한 국내외 시장 방어가 시급한 과제이며, ‘Break-through’ 기술개발 투자를 늘리고 중국 수요가들과의 제휴를 강화할 필요가 있음.
  ○ 중국의 지역별 발전 특성을 감안한 단계적 진출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7대 신흥전략산업에 부합하는 사업기회의 발굴도 검토할 필요가 있음.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