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의 식량안보와 농업기술혁신 추진전략

  • 저자

    홍성범, 이주량, 김기국

  • 출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발행일

    2014-04-21

  • 등록일

    2014-05-19

지난 50여년 동안 중국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자국 국민들에게 충분한 식량을 공급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왔으며, 그 결과 중국 농업은 전반적으로 큰 발전을 이룩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중국은 “지속가능한 식량 자급자족의 달성”과 농업 발전의 토대가 되는 자원 기반이 끊임없이 악화됨에 따른 “환경 대가의 지불 규모 확대”라는 두 가지 문제에 맞닥뜨리고 있다.
따라서 향후 중국의 농업 투입과 과학기술 발전이 현재 수준을 유지한다면, 국내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많은 농산물의 자급률이 뚜렷이 감소하게 됨으로써 식량안보가 위협받는 상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보고서는 중국의 식량안보에 대응한 농업기술혁신 추진전략 분석을 통해 중국 정부가 농업과 관련된 전반적인 문제 해결에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음을 지적했다.
먼저 중국 농업기술혁신 추진정책의 특징으로 ▲ 과학기술이 제1의 생산력임을 견지하고, ▲ 농업과학기술의 자주혁신을 추진하며, ▲ 과학기술과 생산을 긴밀히 연결하는데 초점을 두고, ▲ 농업과학기술 체제 및 메카니즘의 개혁을 통해 농업의 발전을 촉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중국 농업기술혁신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 농업 분야 기술혁신에 대한 인식 취약, ▲ 효과적인 농업기술 보급 시스템 부재, ▲ 기술혁신 추진의 한계 등을 제시했다.
이를 바탕으로 보고서는 중국의 적극적인 농업기술혁신 추진전략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으로 ▲ 한·중 농업 분리생산 체계 대응을 위한 농업과학기술 정책 전개, ▲ 농업 투입재 산업 연구개발 확대, ▲ 중국 현지 생산기지 및 연구단지 투자 지원, ▲ 중국과의 공동연구 확대 및 농업 지도인력의 교류 확대, ▲ 창조경제 글로벌 전략의 효율적인 협력 프로그램으로 활용을 제안했다.


<목 차>

1. 중국의 식량안보 논쟁
2. 중국의 식량안보 중장기 예측
3. 중국의 식량안보에 대응한 농업기술혁신 추진전략
4. 중국 농업기술혁신 정책의 특징과 취약점
5. 정책적 시사점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