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우리나라 주요 산업의 경쟁력이 날로 악화되고 있어 향후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산업·기술 관점의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특히, 유사한 산업발전 과정을 거친 한·중·일의 경우, 점차 주력산업이 겹치고 있으며 동북아 삼국의 경쟁구도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미래 산업 및 기술의 경쟁·협력 모델을 선제적으로 구축할 필요가 있다.
동북아의 산업지형을 전망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미래 우리나라 산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부 변인을 고려하였다. 특히, 중국과 일본은 다양한 측면에서 우리나라의 경제에 위협과 기회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같은 요인이라고 하더라도 어떤산업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다른 산업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요인을 바탕으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동북아에서 미래에 가장 이슈가 될 만한 차세대 유망 산업 및 제품을 선정하였다.
한·중·일 삼국이 세계 시장에서 경쟁이 더욱 심화되는 가운데, 각자의 경쟁우위를 유지하고 또 신성장동력 발굴을 위해서는 서로 간의 차별화된 경쟁전략과 가치사슬구조를 확립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삼국의 차세대 육성산업분야가 동일한 상황에서 우리만의 생존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는 이미 기술적 우위에 있는 일본과 협력 혹은 경쟁하면서 중국시장을 공략하고 나아가 세계 시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연구개발투자의 선택과 집중, 그리고 기존 산업의 새로운 포지셔닝이 필요한 시점이다.
<목 차>
1. 머리말
2. 동북아 미래 전략 기술·산업
3. 정책적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