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 지역별 내수용 수입시장 분석:쓰촨(四川)성

  • 저자

    이상훈, 오종혁, 최지원

  • 출처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발행일

    2015-12-30

  • 등록일

    2016-01-08

▶ [정책적 시사점] 쓰촨성은 내륙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소비시장이 크고, 유통 ‧ 소비 관련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으며, 빠른 경제성장으로 소비 잠재력이 큼. 따라서 쓰촨성이 가지고 있는 기회요인을 극대화시켜 내수시장 진출을 확대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 즉 중국 서남지역 내수시장 확대를 위한 전략지역으로서 청두시 활용, 냉장물류망(콜드체인) 등 물류인프라 확충을 위한 정책적 지원, 수출 품목의 다변화, 정부간 협력 강화, 현지 인프라 활용 강화 등의 방안임.
- 쓰촨성을 포함한 중국 서남지역에서의 내수시장 확대를 위해 청두시를 전략지역으로 선정하고, 이 지역에서의 온 ‧ 오프라인 유통망을 적극 확대할 필요가 있음. 특히 청두시는 2016년까지 시내 6개 지역에 수입상품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면세점을 개장할 계획인데, 이러한 현지 유통망을 수출기업이 활용함으로써 한국 상품에 대한 접근성을 제고하고, 한국제품 브랜드와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기회로 활용
- 최근 안전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증대되면서 안전한 한국산 농식품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나, 물류망 미비가 농식품 수출 확대의 주요 애로사항으로 지적됨. 따라서 농식품의 품질경쟁력 및 신선도 유지, 중소기업의 가격경쟁력 강화 등을 위해 냉장물류망(콜드체인) 구축이나 물류비용 보조, 물류창고 지원 등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강구하는 것이 긴요
- 지난 2015년 5월 한국의 산업통상자원부와 쓰촨성 정부는 경제통상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는 등 정부간 협력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음. 통관, 지식재산권 침해 등 현지 내수시장 개척 및 수출 확대 과정에서 나타나는 애로사항을 해소할 수 있는 채널로 정부간 협의체를 적극 활용

 

<목차>

1. 서론
2. 쓰촨성 내수용 수입시장 현황
3. 한국의 대(對)쓰촨성 내수용 수출시장 현황
4. 주요국의 쓰촨성 내수용 수입시장 내 경쟁
5. 종합 및 시사점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