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의 소비 주도형 성장전략 평가

  • 저자

    이장규,김부용,최필수,나수엽,김영선,조고운,이효진

  • 출처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발행일

    2016-01-21

  • 등록일

    2016-02-05

중국은 개혁ㆍ개방 이후 2011년까지 투자와 수출에 의존하여 연평균 약 10%의 고속성장을 지속하여 왔음. 하지만, 이러한 성장 방식에 한계를 느낀 중국정부는 제12차 5개년 규획(2011~15년)을 통해 투자 주도에서 소비 주도로 경제성장 방식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음.

이를 통해서 경제성장률이 하락하더라도 이를 감수하고, 경제성장에서 투자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소비의존도를 확대하겠다는 의도로 해석되고 있음.

한편 2012년 이후 글로벌 경기침체가 지속되면서, 수출ㆍ투자ㆍ소비 둔화로 인해 경제성장률이 7%대를 진입함. 따라서 2011년 이후 소비 증가율이 둔화되고 있어서, 중국 내수시장의 성장 속도에 대한 전망이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는 상황임.

이에 본 연구는 중국정부의 정책적 의도와 달리 소비가 기대만큼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원인을 실증분석을 통해 규명하며, 소비 진작을 위한 정부의 정책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중국의 소비 주도형 성장 전략을 평가하는 것이 주요 목적임.

또한 이를 통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진단하고, 소위 ‘뉴노멀 시대’ 우리의 대중 전략 수립을 위해 시사점을 제시하였음.
 

<목차>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조사 및 분석 결과
3. 정책제언


#. 보고서 찾기: 홈 - 발간물 - 정책연구 브리핑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