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2018년 중국 주요정책 방향과 시사점

  • 저자

    박승혁, 박소영

  • 출처

    한국무역협회

  • 발행일

    2018-03-02

  • 등록일

    2018-03-16

중국 각 지방정부는 지난 1~2월에 지방양회를 개최하고 ‘지방정부공작보고’를 작성, 2017년 경제성과를 되돌아보고 2018년 목표를 제시했다. 각 지방정부는 올해도 온중구진(穩中求進) 핵심 기조 하에 안정적 성장을 강조하며 대부분 지역이 경제성장률 목표치를 작년과 동일한 수준으로 설정하거나 하향조정했다. 지역별로 질적 성장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제시된 가운데 올해 중국은 민생보장, 향촌진흥, 구조개혁 심화 등 3가지 방면에 대한 정책적 노력이 집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우리 기업은 이러한 정책 기조에 따라 새로운 시장 확대가 예상되는 분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올해는 특히 향촌진흥이 강조된 만큼 농업 관련 제품 및 서비스 수출이 유망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샤오캉 사회(小康社会) 건설을 위한 민생보장 정책 확대로 향후 의료, 양로 관련 기업들의 진출 기회 확대도 기대된다. 한편 산업 구조개혁 심화에 따라 중국 제품의 위협 증가가 예상되므로 우리기업은 기술혁신을 통한 경쟁력 확보와 더불어 중국의 각 지역별 혁신기업 지원책 활용방안도 모색해볼 필요가 있다. 중국의 경제발전 방향이 성장보다는 분배를 강조하고 있는 만큼 우리기업들도 이에 맞춘 새로운 진출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목 차>

1. 2018년 양회 개요

2. 2017년 주요 경제실적

3. 2018년 주요 추진 정책

4. 향후 전망 및 시사점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