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월 개최된 보아오 포럼에서 시진핑 주석이 WTO 정부조달협정(GPA)에의 조속한 가입 추진 의지를 밝힌 이후 중국의 정부조달시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016년 중국의 정부조달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22.1% 증가한 2조 5,731억 위안으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 조달이 중국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점차 늘어 2014년 2.7%에서 2016년 3.5%까지 증가했다. GPA 가입국들의 조달시장 규모는 대부분 GDP의 10% 내외 규모로 알려진 것을 감안하면 중국 조달시장은 여전히 성장 잠재력이 큰 시장이다.
최근 중국은 GPA 가입을 위해 재정부, 상무부, 국가개발위원회 등을 포함한 24개 부처 공동 전담기구를 설립, GPA 가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국내적으로는 정부조달의 투명성 제고와 온라인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추세다. 또한 상품조달 관련, 에너지 절약 제품과 환경보호 제품 의무구매 조례가 있는 만큼 관련인증 획득 등의 사전 준비가 필요하다. 동시에 조달청 등 국내지원기관의 해외 조달 지원 사업들을 활용하는 한편, 현지 공식 조달대리기관들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면밀히 파악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중국의 GPA 가입을 위한 노력이 점차 가속화되고 있는 만큼 관련 업계의 조달시장 진출을 위한 철저한 사전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목 차>
01. 중국 조달시장 현황
02. 중국 정부조달 제도
03. 중국의 WTO 정부조달협정 가입 추진 현황
04. 향후 전망 및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