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 신에너지자동차 충전인프라 구축 현황과 확충 계획

  • 저자

    양의석, 전희정, 김아름

  • 출처

    에너지경제연구원

  • 발행일

    2018-09-10

  • 등록일

    2018-09-20

중국은 ▲2020년까지 신에너지자동차 500만 대 생산・보급, ▲2020년까지 신에너지자동차 연간 200만 대의 생산・보급 능력 확보, ▲2025년까지 신차 보급 대수 중 신에너지자동차 비중을 20% 이상으로 확대 등의 목표를 제시하는 한편, 신에너지자동차 보급・확대 기반을 확충하여 신에너지자동차의 상용화 실현에 주력하고 있음.

2017년 말 기준, 중국의 신에너지자동차 보급 규모는 전 세계 보급의 약 55%(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2017년 중국의 신규 신에너지자동차 보급 대수도 전 세계 신규 신에너지자동차 보급의 60%에 달하고 있음.

하지만, 중국은 신에너지자동차 충전인프라 부족 및 낮은 이용률 문제에 동시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는 신에너지자동차 보급・확대에 가장 큰 장애요소로 작용하고 있음. 2017년 중국의 충전시설 이용률은 15%에 불과하며 공공 충전시설 설치 및 일반 개인 충전시설 설치 공간 부족 등의 어려움에 봉착해 있음.

정부는 신에너지자동차 보급・확대를 위한 선결 과제로서 신에너지자동차 충전인프라 확충 필요성을 인지하고, 신에너지자동차 충전설비 확충을 위해 2018년에 충전설비 60만 개(공공 충전설비 10만 개, 개인 충전설비 50만 개) 설치 계획을 발표하였음.

또한 신에너지자동차 충전인프라 확충과정에서 봉착한 애로요인을 해결하고자, 충전시설의 확충, 충전시설 전력 공급 보장 강화, 충전시설 Network 확충을 위한 정책대안을 마련 중에 있음.


<목 차>

1. 중국의 신에너지자동차 보급 정책 및 보급・확대

2. 신에너지자동차 충전인프라 구축 현황

3. 충전인프라 확충 애로요인과 해소방안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