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기업들이 외국에 있는 농업자산이나 식품 관련 사업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해외농업투자의 주된 목적은 다른 투자와 마찬가지로 중국 투자자들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그러나 국가의 식량안보를 공고히 하는 것과 외국에서 중국의 영향력을 높이는 것도 그 목적에 포함된다.
이에 따라 중국의 해외농업투자는 국제 농업무역의 패턴을 재정립하고 세계시장에서 중국의 영향력을 높이는 국가 전략의 하나로 추진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1) 또한, 농업과 식품산업에 관한 투자를 통해 중국 기업들이 세계시장에서 더욱 경쟁력을 갖추도록 지원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도 있다.
지난 10여 년 동안 중국 정부 관계자들은 농기업의 해외직접투자(outbound foreign direct investment: ODI) 증대를 재촉해왔다. 투자자들은 주로 수익에 의해 움직이지만, 중국 정부와 은행들은, ① 전략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② 투자를 중개하며, ③ 신용을 제공하고, ④ 훈련과 정보 서비스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해외투자를 이끌고 있다.
ODI의 기대효과는, ① 국가 식량안보의 확충, ② 수입한 농산물로부터 중국 기업들의 이익 배분 확대, ③ 세계 가격 결정에서 중국의 영향력 확대, ④ 기술 및 관리 전문지식의 이전, ⑤ 중국제품을 위한 새로운 시장 개척, ⑥ 외국에서 정치적 영향력 투영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중국의 해외농업투자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Gooch and Gale(2018)의 내용을 중심으로, 중국의 ODI 현황과 사례, 이에 영향을 미치는 동인들, 그리고 ODI 활성화를 위한 중국 정부의 정책 지원조치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목 차>
1. 머리말
2. 중국의 해외농업투자 현황과 추이
3. 해외직접투자(ODI)의 동인 분석
4. 중국 정부의 정책 지원
5. 결론과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