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미중 무역협상 전망과 시사점

  • 저자

    권영선, 황나영

  • 출처

    우리금융경영연구소

  • 발행일

    2019-12-09

  • 등록일

    2019-12-24

● 미중 관세 인상 등에 따른 한국의 수출 감소폭이 주요국 중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 미중 무역협상 결과를 예의 주시할 필요

● 최근 무역협상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엇갈리고 있어 우리 연구소는 12.3~4일중 해외금융기관(18개)를 대상으로 긴급 설문조사를 실시

● 조사 결과 1~2개월내 1단계 합의 가능성(53.6%)이 소폭 높게 나타난 반면, 2020년중 2단계 합의 가능성(31.9%)은 상당히 낮게 나타남

● 한국이 관세 인상의 충격을 가장 크게 받았던 만큼 1단계 협상이 타결되면 2020년 한국 경제성장률(우리 연구소 2.0% 전망)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

● 2단계 협상이 장기화되면 만성적 글로벌 불확실성으로 한국의 중장기 경제 전망에 비우호적 요인으로 작용

- 다만, 미국이 중국의 첨단기술 발전에 제동을 걸면서 한국 기업(특히 반도체)들이 중국과의 기술 격차를 더욱 벌려놓을 기회로 활용할 수 있는 긍정적 측면도 있음


<목 차>

I. 미중 무역분쟁의 영향과 협상 진행 경과

II. 해외 금융기관들의 미중 무역협상 전망

III. 미중 무역협상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IV. 시사점


#보고서찾기-홈-보고서-최신보고서-1928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