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경제의 서비스화 추이와 시사점

  • 저자

    이건우

  • 출처

    산업연구원

  • 발행일

    2020-01-22

  • 등록일

    2020-02-13

1978년 개혁·개방 이후 중국 서비스산업은 중국경제 전체의 발전과 더불어 꾸준하게 성장

● GDP 성장에 대한 서비스산업의 기여율은 2013년 광공업의 기여율을 앞지른 이후 계속하여 격차를 확대

● 서비스산업 비중의 지속적인 확대에도 불구하고 선진국이나 여타 BRICS 국가에 비해 서비스화의 정도는 아직 매우 낮은 수준

2012년 이후 제조업 성장률이 한 자릿수로 크게 둔화하면서 서비스산업은 고용면에서도 중국경제를 지탱하는 주요 부문으로 등장

서비스산업은 GDP와 고용의 양면에서 중국경제를 견인하고 있으나 서비스산업의 노동생산성은 2000년대 후반 이후 상승률이 크게 둔화

● 최근 중국경제의 성장이 둔화하는 가운데 서비스산업이 잉여 노동력 흡수부문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시사

상품무역과는 달리 중국의 대세계 서비스무역은 여행, 운송, 지식재산권, 보험 등을 중심으로 장기에 걸쳐 큰 폭의 적자를 기록

중국 서비스시장의 확대는 외국기업들에는 새로운 진출기회의 창출을 의미하므로 우리 기업들도 이에 적극적으로 대비할 필요

● ‘외상투자법’ 및 ‘외상투자산업장려목록’ 등에 포함된 지원제도나 규제완화 내용 등을 면밀히 파악하여 분야별·지역별 투자전략을 수립

 #보고서찾기-715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