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코로나19가 중국진출기업에 미친 영향과 대응방안

  • 저자

    정민주

  • 출처

    산업연구원

  • 발행일

    2020-04-29

  • 등록일

    2020-05-19

올해 1월 후베이성의 성도 우한시에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자 대거 발생

중앙정부는 춘절 연휴를 연장하고, 지방정부는 최대 2주 이상 조업 중단 조치를 내리는 등 코로나19를 안정시키기 위해 노력

중국은 2월 말부터 해외 역유입에 의한 신규확진자 증가에 방역 초점을 두고, 내부적으로는 경기정상화를 위해 기업의 조업 재개를 적극 지원

- 감염의 해외유입이 줄지 않고, 내부에서 무증상자에 의한 확산이 부각되면서 사태는 장기화

- 제일 먼저 타격을 입었던 중국은 강력한 봉쇄정책으로 역설적으로 가장 먼저 회복할 것이나, 해외 수요가 급감하면서 단기간 정상화는 어려움

중국 정부는 1월 말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기업들의 조업을 중단하고, 엄격한 조건에서 조업 재개 승인

재중 한국기업은 79.4%가 제조기업으로 중국 내 부품공장의 조업 중단으로 한국의 완제품 공장 조업도 연쇄 영향을 받아 글로벌 가치사슬에 차질

- 자동차 업종은 2월 초 중국 내 와이어링하네스 부품 생산의 차질로 한국 내 완성차 공장들까지 조업이 중단

- 한국 정부와 주중한국공관 등은 방역 조건을 갖추는 전제하에 와이어링하네스 등 자동차부품 공장의 조업 재개를 협의하여 조업을 우선 추진...


<목 차>

1. 코로나19의 발생과 추이

2. 코로나19가 중국진출기업에 미친 영향

3. 중국 정부의 정책

4. 코로나19 이후 재중 기업의 대응방안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