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 경제성장과 도시화

  • 저자

    박재곤

  • 출처

    산업연구원

  • 발행일

    2020-10-30

  • 등록일

    2020-11-19

중국 경제는 개혁개방 이후 40년간 10% 가까운 성장률을 보이면서 보기 드문 성장 사례를 창출

- 성장 요인으로는 큰 시장, 풍부한 노동력, 높은 저축률(투자율), 공업과 상업 전통 등 내부적요인과 글로벌화 진전, FDI 확대, WTO 가입 등 외부 요인, 그리고 개혁개방 정책, SOC 투자 등 정책적 요인을 제시

- 산업구조는 경제성장 과정에서 농업 중심에서 제조업 중심으로 변화했고, 10년 전부터 서비스업 비중이 증가하면서 산업구조 고도화가 진행


중국의 경제성장과 산업화 과정에서 도시가 저렴한 산업용 토지 제공, 농민공 등 풍부한 노동력 제공, 인프라 확충 등에서 기여

- 도시화가 경제성장의 엔진 역할을 하면서 산업화와 공간 부문 측면에서 동시 진행

- 농민공(도시 후커우(戶口)가 없는 이주자)이 2억 9,000만 명으로 농촌에서 도시로 인구가 이동하여 농업에서 공업과 서비스업 부문으로 노동력을 공급


그러나 향후 중국의 경제성장 모델 전환이 필요하듯 도시화도 새로운 모델 전환이 요구

- 그동안 중국의 경제성장은 자원 동원, 투자 주도, 수출 주도로 이루어져 왔으나 향후 자원사용의 효율성을 높여 생산성 주도의 성장이 필요

- 도시화도 과도한 토지 사용, 후커우 제도에 의한 인구이동 제한 등으로 인한 무분별한 도시 확장, 도시 빈곤, 도농 간 불평등, 환경오염과 자원고갈 등의 문제 제기

- 새로운 도시화 모델은 자원 배분의 효율성을 높이고, 포용성을 높여 도시화 성과를 공유하고,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전환할 필요


<목 차>

1. 산업화와 도시화

2. 중국의 도시화 진전

3. 도시화의 개혁과제

4. 결론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