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조정 통해 드라마 시장의 건전한 발전 유도
콘텐츠 : ‘출연료 제한’, ‘회차 제한’ 등의 정책을 통해 콘텐츠 제작 시장을 관리하고 드라마 품질과 제작 규범의 보다 높은 수준을 요구함.
창작 : 담당 부서가 영화 및 드라마의 주제, 기획, 창작에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고 ‘중요한 혁명 소재’, ‘역사 소재’, ‘현실주의 소재’ 드라마 제작을 장려함.
편성 : 국가신문출판광전총국(国家新闻出版广电总局, 이하‘광전총국’)에서추천한100편의주요작품중‘빈곤퇴치 드라마’, ‘임무극(가치 유도형 드라마, 任务剧)’ 등이 선도적 역할을 시범 수행하여 위성 방송국의 편성에 영향을 줌.
시청률 : 광전총국은 ‘중국 시청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황금 시간대1) 드라마 시청 지표 평균치를 발표하여 시청률 조작을 단속하고 다운스트림(콘텐츠 소비 단계)의 송출 시장을 통제함.
시대에 맞추어 드라마 산업 변혁 촉진
제작 : 단기적 휴업 공백을 딛고 다시 빠르게 업무를 재개했으며 제작 분야 업스트림(콘텐츠 기획, 제작 단계)의 생산 능력이 회복되고, 드라마 시장 규모도 확대되기 시작함.
배급·홍보 : 온라인 론칭, 온라인 라이브 방송 흥행 등 배급·홍보 경로를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전환하면서 새로운 기회를 맞이함.
송출 : (1) 콘텐츠 확장: 인터렉티브(쌍방향), 모바일 맞춤형, 미니 시리즈 콘텐츠 증가.
(2) 형식 혁신: 단편 드라마가 점차 웹 드라마의 주류로 자리를 잡음.
(3) 운영 혁신: 동영상 플랫폼이 ‘극장’ 운영 모델 적용, 세분화된 콘텐츠별로 규모 성장, 소재별 콘텐츠의 브랜드화 주력.
<목 차>
1. 거시적 관점 : 시대의 새로운 추세, 드라마 시장의 새로운 동향
2. 중국 TV·웹 드라마 시장 현황 : 양보다는 질적 향상으로
3. 변화 : 단편 드라마의 급성장과 장르 세분화 추세
4. 전망 : 이성 · 변혁 · 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