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의 해외직접투자와 한·중 간 직접투자

  • 저자

    박재곤

  • 출처

    산업연구원

  • 발행일

    2021-06-30

  • 등록일

    2021-08-23

○ 중국은 한국이나 일본과 달리 시장을 내어주고 외국 기술과 자본을 도입하는 방안으로 외국인투자를 적극 활용하여 경제발전을 달성

○ 중국의 외국인직접투자 규모는 2020년 2조 달러에 근접하며 미국(9조 5,000억 달러)을 제외한 2위 그룹(영국, 홍콩, 중국, 네덜란드, 싱가포르 등)에 포함

○ 중국의 외국인직접투자와 해외직접투자에서 홍콩이 차지하는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이 특징

○ 한국은 대중국 직접투자 규모가 830억 달러로 최근 중국 내 4위를 차지하나, 중국의 대한국 투자는 67억 달러로 중국 해외투자의 0.3%로 미미한 수준

○ 한국의 대중국 직접투자 분야는 제조업이 누계 602억 달러로 전체의 80%를 차지

○ 대중국 직접투자의 목적은 수출 촉진이나 저임금 활용 등이 사라지고 현지시장 진출이 압도적 비중을 차지하며, 현지 생산·현지 판매가 주요 전략

○ 향후 우리나라의 대중국 투자에서 유의해야 할 점으로는 양국 간의 직접투자가 비대칭적이라는 점

○ 다음으로 중국의 성장전략에 부응하여 투자 분야를 제조업 이외의 업종으로 다변화할 필요

○ 제조업 분야에서도 우리가 경쟁력을 갖고 있으며 중국이 필요로 하는 분야에서 기술 격차, 품질 차별화를 유지하면서 투자를 지속할 필요 


<목 차>

1. 서론

2. 중국의 해외직접투자 현황 

3. 한·중 간 직접투자 분석

4. 요약 및 시사점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