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수소 이용 확대는, 교통・운송부문에서는 승용차보다 상용차 성장이 먼저 활발히 이뤄질 전망이며, 에너지저장부문에서는 재생에너지발전 간헐성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수단으로 각광을 받을 전망임.
▶ 산업부문에서는 철강, 정유, 화학, 시멘트 생산부분에서 탈탄소 이행을 위한 주요 수단이 될 것으로 보이며, 건물부문에서는 연료전지를 활용한 마이크로 열병합발전기술이 상업화되어 빌딩 등에 적용될 전망임. 한편, 천연가스 파이프라인에 수소를 혼합하는 방식은 경제성이 떨어질 것으로 보임.
▶ 중국에서는 그린수소 생산에 있어 장기적으로는 AE 전해조 방식과 PEM 전해조 방식이 시장을 양분할것으로 보이며, 2030년까지는 수소충전소 시장규모가 작아 정부 지원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임.
▶ 중국 정부는 수전해, 수소저장・수송, 연료전지 등의 기술혁신 노력과 대량 생산으로 시장 확대를 기대함.
<목 차>
1. 중국의 부문별 수소 이용 확대 전망
2. 중국 수소산업의 성장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