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미ㆍ중 전략 경쟁 시대 글로벌 기업의 대응과 중국 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 저자

    현상백, 문지영, 박민숙, 오종혁, 오윤미

  • 출처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발행일

    2023-07-17

  • 등록일

    2023-07-20

▶ 미ㆍ중 전략 경쟁의 심화와 장기화는 세계화라는 시대적 흐름과 패러다임의 거대한 전환을 의미하므로 중국 진출 기업들의 대중국 전략을 새롭게 수립할 필요가 있음.

- 미ㆍ중 갈등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응하는 주요국의 대중국 전략과 글로벌 기업의 대응전략을 분석하여 중국 진출 한국기업의 대중전략 수립에 참고할 필요가 있음.


▶ 중국정부 또한 미국의 견제에 대응하는 동시에 중국 경제산업 고도화에 도움이 되는 글로벌 기업의 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

- 중국은 향후 5년간 미국 견제에 대응하는 ‘쌍순환’ 전략하에서 첨단기술산업, 전략성 신흥산업, 현대 서비스업 분야에 대한 적극적인 외자 유치를 통해 외자 이용구조를 더욱 개선할 계획


▶ 미ㆍ중 경쟁 심화와 글로벌 기업의 유형별 대응 사례를 분석하여 우리 기업의 대중국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 글로벌 기업의 대중국 전략은 미ㆍ중 전략 경쟁으로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어떤 산업에 속하는지에 따라 △ 중국 사업 철수 및 해외이전 △ 미ㆍ중 간 공급망 분리 △ China+1 또는 N의 생산거점 다변화 △ ‘In China, For China’와 같은 중국 진출 확대 전략을 추진하고 있음.

- 이러한 중국 진출 글로벌 기업의 전략과 한국기업의 실태를 반영하여 △ 한국형 공급망 안정 및 업그레이드 종합전략 수립 △ 안정적인 대중 비즈니스 환경 조성 △ 미ㆍ중 전략 경쟁 관련 정보 플랫폼 구축 △ 중국 내 기업 지원기관의 역할 강화 △ 한국 내 글로벌 기업 유치 △ 동남아, 인도 내 생산 네트워크 구축 및 리쇼어링 지원 등을 추진할 필요가 있음.



<목 차>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조사 및 분석 결과

3. 정책 제언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