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사례로 이해하는 중국 소비 트렌드

  • 저자

    KOTRA

  • 출처

    KOTRA

  • 발행일

    2024-11-28

  • 등록일

    2024-12-13

최근 중국 소비 시장은 고령화, 저출산으로 사회구조가 급변하고, 디지털 발전에 따라 사회 전반에 걸쳐 기술 확장이 일어나면서 새로운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비록 팬데믹 이후 다소 완만한 성장을 보이고 있지만, 세계 2위 규모의 소비 시장으로서 중국은 우리에게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사례를 통해 이해하는 중국 소비 시장>은 KOTRA가 우리 기업이 중국의 소비 변화를 더욱 세밀하게 읽어내고 효과적으로 대응하도록 하기 위한 고민에서 출발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시장에서 나타나는 주목할 만한 소비 현상과 문화를 16가지로 정의하고, 이를 선도하는 사례와 그렇지 못한 사례를 찾아 원인을 분석하였습니다. 

첫째, 최근 중국인들은 이성(理性) 및 자아실현(Egoism)을 위한 가치 소비를 추구하는 경향이 짙어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나만의 공간’을 디자인할 수 있는 감각적인 제품으로 중국 Z세대의 감성을 사로잡은 사례가 주목받기도 합니다.

둘째, 정부 주도로 빠르게 디지털 사회로 전환하고 있는 중국은 여느 시장보다 적극적으로 소비 시장에서 AI 혁신 기술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휴먼 라이브 스트리밍은 이미 새로운 마케팅 수단으로 자리 잡았으며, 많은 기업이 AI 기술로 개별 고객에게 최적화된 제품을 추천하고, 고객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셋째, 중국인의 소득 수준 향상은 건강 우선주의와 녹색소비를 추구하려는 열망을 불러일으켰습니다. 건강 요소를 가미하거나 환경친화적 전략을 내세운 마케팅의 확산은 더욱 고급스러우며, 글로벌 스탠다드에 따라가려는 중국 소비자들의 수요를 반영합니다. 

넷째, 중국 소비 시장은 단순히 상품 구매를 넘어 서비스를 누리는 시장으로 업그레이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수요로 구독경제, 라이브 커머스, 전문 편집숍, 특가 마트 등 새로운 유통 방식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다섯 번째, 중국 본토와 더불어 강력한 소비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홍콩과 대만도 우리가 놓치지 말아야 할 시장입니다. 홍콩에서는 몇 년 사이 전자상거래를 활용하여 브랜드 정착에 성공한 사례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한류의 원조 격인 대만에서 K-Food, K-Pet이 꾸준히 성장하며 현지 소비 문화의 한 부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이번 책은 현지 유통상, 수입상, 소비자들과의 직접 인터뷰 내용을 넣어 중국 소비 시장을 이해하는데 생생함을 더했습니다. 

아무쪼록 <사례로 이해하는 중국 소비 트렌드>가 현재 중국의 변화하는 소비 지형을 폭넓게 이해하고, 향후 비즈니스 방향을 가늠하는 든든한 풍향계가 되기를 바랍니다. 


<목 차>

서문 변화 속에 기회를 찾다


Part 1. 소비자

[가치변화]

이성소비|중국 소비시장을 관통하는 가성비(價性比)와 가심비(價心比) 공략

자아실현|나를 위한 소비, 나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제품을 원하다

여성경제|새로운 시대, 여성소비자를 사로 잡는 방법

남성경제|피부를 가꾸는 남성의 세심한 니즈에 맞춘 전략

[사회구조 변화]

실버경제|내 나이가 어때서, 왕성한 성장세의 중국 실버경제

애국소비|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거침없이 부는 애국소비 열풍

맘코노미|출생인구 최저 기록 중에도 중국 유아용품 시장은 성수기?


Part 2. 기술

[디지털 확장]

AI형 소비|온라인 소비에 녹아드는 인공지능 서비스 82

디지털 의료|디지털 헬스케어, 중국 의료서비스 시장의 바로미터


Part 3. 품목

[녹색소비]

건강 우선주의|건강한 삶을 위한 헬스케어 열풍, 수면케어와 이너뷰티

식품의 진화|식물성 단백질 음료 시장이 전하는 메시지

그린슈머|화장품, 식품, 물류까지 ‘녹색’을 입는다


Part 4. 유통방식

상품을 넘어선 서비스 향유

구독경제|중국 구독경제를 탐독하다

중고유통 서비스|‘꿩먹고 알먹는’ 중고 거래가 뜨고 있다

유통 개념의 확장|신개념 유통망으로 급부상하는 특가마트

오프라인 유통의 부활|뒤바뀌는 화장품 편집숍 판도를 읽다


Part 5. 지역

[홍콩]

전자상거래 소비 방식의 확산|오프라인 성지 홍콩에서 떠오르는 전자상거래 시장

[대만]

외식문화 변화와 반려동물 시장의 성장|알고 보면 한류의 원조 대만, K-Food와 K-Pet이 보여주는 가능성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