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최근 중국의 대한국 투자 증가 배경 및 시사점

  • 저자

    최지원, 박민숙

  • 출처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발행일

    2025-08-07

  • 등록일

    2025-08-13

▶ 2024년 중국(+홍콩)의 대한국 직접투자 신고액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는데, 실제 투자 집행(도착액)은 업종별로 상이한 양상을 보이며 신고액과 큰 괴리를 보임.

- 2024년 신고액은 전년대비 147.4% 증가한 67억 9,000만 달러이고, 도착액은 전년대비 94.4% 증가한 12억 3,000만 달러에 그쳐 신고액과 도착액 간 차이 역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함.

- 2024년 투자 도착액의 77.7%가 제조업에 집중되었으며, 특히 배터리(일차전지 및 축전지), 액정 표시장치 제조업 등 전략적·기술적 중요도가 높은 업종에 대한 투자가 많음.

- 서비스 분야에서는 경영 컨설팅과 생활용품 도매업 등의 투자는 꾸준히 집행되고 있으나, 일부 디지털·정보 서비스, 부동산 업종의 투자는 최근 감소세를 보임.

- 특히 배터리와 특수 목적용 기계 업종은 미중 기술경쟁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 과정에서 신고액이 빠르게 증가했으나, 이후 미국의 대중 견제 강화에 따른 규제 불확실성, 글로벌 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실제 투자 집행은 상대적으로 부진하여 신고액과의 괴리가 확대됨.


▶ 중국의 대한국 투자 의향의 증대는 미중 기술 경쟁, 글로벌 공급망 재편, 내수시장 성장 한계 등에 기인함.

- 중국은 첨단기술·친환경 산업 등 고부가가치 분야의 해외 투자를 확대하고 있고, 미국·EU의 투자 심사 강화 및 내수 부진의 영향으로 투자지역을 다변화하고 있음.

- 이 과정에서 한국은 생산·진출 거점, 유통·물류 허브 등 다양한 전략적 목적의 투자 대상지로서 그 중요성이 부각됨.


▶ 한국 정부는 업종별 특성에 따른 투자 유치 및 관리 전략을 수립하여 지속가능한 협력을 위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

- 한국 기업은 중국이 강점을 보유하거나 경쟁력이 있는 배터리 신소재 개발, 폐배터리 재활용 등 분야의 공동연구 등 협력을 추진할 수 있음.

- 특히 배터리, 반도체 등 미국의 대중 규제와 관련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업종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함.


<목 차>

1. 개요

2. 투자 집행 현황 및 사례

3. 투자 증가의 주요 배경

4. 업종별 투자 특징

5. 평가 및 시사점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