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의 스마트농업 현황과 우리기업의 협력방안 : 사례를 중심으로 보는 비즈니스 협력기회

  • 저자

    강경성

  • 출처

    KOTRA

  • 발행일

    2025-09-19

  • 등록일

    2025-10-21

□ 중국의 스마트농업 산업 현황

◦ (규모) 2024년 기준 전년 대비 11.7% 성장하여 1,050억 위안에 달하며, 2025년에는 14.3% 증가한 1,200억 위안에 이를 것으로 전망

◦ (특징) 스마트농업은 비교적 늦게 형성되어 농가 활용률이 낮으나, 중국 정부의 정책지원과 IT·기계 선도기업의 진출로 급성장하고 있음


□ 중국의 스마트농업 주요 분야별 현황

◦ (디지털 플랫폼) 대형 농장과 농업 기업을 중심으로 도입 중

- 알리바바, 농신후롄(农信互联) 등 기업이 클라우드·AI 플랫폼을 선보이고 있으나, 고급 정밀 센서와 핵심 칩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함

◦ (스마트 농기계) 정부 정책지원에 힘입어 자율주행 시스템 중심으로 급성장

- 웨이차이레이워(潍柴雷沃) 등 주요 기업이 ‘북두 위성 항법(중국이 자체 개발한 GPS)’ 기반 자율주행 시스템을 탑재한 장비를 도입 중

◦ (저공기술 활용) 식물보호 드론 시장은 최근 5년간 연평균 10% 이상 확대

- 다장(DJI), 지페이(XAG) 등 주요 기업의 제품이 중국 시장의 90%, 세계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함


□ 우리기업의 비즈니스 협력기회

◦ (유망분야) 중국이 수입에 의존하고 있거나 개발단계에 있는 ▲고성능 센서, ▲특수기능 농기계·부품, ▲농작물 모니터링·재배 제어 시스템 등

◦ (협력방안) ▲특정지역에 특화된 잠재 파트너 발굴, ▲다품목보다는 고부가·정밀제품 중심, ▲제품 수출부터 프로젝트 공동 참여까지 단계별 진출 필요

- 정책적인 진입장벽, 중국 기업의 기술 약진·경쟁 격화 등 면밀한 검토 필요


<목 차>

Ⅰ. 중국의 스마트농업 산업 현황 및 정책 기반

Ⅱ. 중국의 스마트농업 분야별 현황    

Ⅲ. 사례로 보는 비즈니스 협력 기회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