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1년 중국진출 대만기업들이 본 중국의 투자환경
○ 대만기업의 투자추천도시
- 「우선추천」도시 : 蘇州, 寧波, 吳江, 餘姚, 崑山, 無錫 등 6개 도시
- 「임시추천불가」도시 : 汕頭, 海口, 東莞 등 3개 도시
- 「추천절대불가」도시 : 黃岡, 湛江 등 2개 도시
- 「추천가능」도시 : 福州, 北京, 上海, 南京, 大連 등 34개 도시
○ 제안사항
- 투자지역의 각급 정부의 법령규정에 대한 사전 이해 반드시 필요
- 중국에서 기업을 경영할 경우, 반드시 "正派經營(성실하게 경영)" 준수
- 현지 대만상인협회에 가입, 투자경험과 정보 공유
○ 조사결론 및 시사점
- 모든 평가항목에서 長江三角洲지역이 강세를 보임
- 北京, 天津, 大連, 福州, 廣州 등 중국의 대표적인 早期개방도시들이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한 원인은 "고물가, 고임금, 고세금" 등 "3高"요인과 보수적인 法政환경과 社會환경 때문임
- 濟南, 石家莊, 保定, 重慶, 鎭江, 鄭州, 溫州, 南昌, 南寧, 長沙, 昆明, 桂林과 海口 등이 처음으로 설문조사대상에 포함된 의미는 대만기업들이 투자하는 지역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줌.
- 투자리스크 판단에서 經營리스크, 法制 또는 社會리스크 등이 중요한 요소로 대두
○ 대만기업의 투자추천도시
- 「우선추천」도시 : 蘇州, 寧波, 吳江, 餘姚, 崑山, 無錫 등 6개 도시
- 「임시추천불가」도시 : 汕頭, 海口, 東莞 등 3개 도시
- 「추천절대불가」도시 : 黃岡, 湛江 등 2개 도시
- 「추천가능」도시 : 福州, 北京, 上海, 南京, 大連 등 34개 도시
○ 제안사항
- 투자지역의 각급 정부의 법령규정에 대한 사전 이해 반드시 필요
- 중국에서 기업을 경영할 경우, 반드시 "正派經營(성실하게 경영)" 준수
- 현지 대만상인협회에 가입, 투자경험과 정보 공유
○ 조사결론 및 시사점
- 모든 평가항목에서 長江三角洲지역이 강세를 보임
- 北京, 天津, 大連, 福州, 廣州 등 중국의 대표적인 早期개방도시들이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한 원인은 "고물가, 고임금, 고세금" 등 "3高"요인과 보수적인 法政환경과 社會환경 때문임
- 濟南, 石家莊, 保定, 重慶, 鎭江, 鄭州, 溫州, 南昌, 南寧, 長沙, 昆明, 桂林과 海口 등이 처음으로 설문조사대상에 포함된 의미는 대만기업들이 투자하는 지역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줌.
- 투자리스크 판단에서 經營리스크, 法制 또는 社會리스크 등이 중요한 요소로 대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