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 주요도시의 첨단산업 육성전략

  • 저자

    김혜진

  • 출처

    LG경제연구원

  • 발행일

    2002.04.18

  • 등록일

    2003-09-02

□ 중국 주요 3개도시의 첨단산업 육성전략

○ 베이징(北京)

·중국 최고의 연구개발 능력과 고급 인력이 집중
·'중국의 실리콘벨리'로 전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중관춘(中關村) 보유
·중국형 벤처기업 혹은 산학협동기업의 원형에 해당하는 롄샹(聯想), 베이다팡정(北大方正), 칭화둥팡(淸華東方) 같은 첨단기술 기업들이 집중
·향후 다국적기업의 중국 내 연구개발 기지로서, 또 중소형 벤처기업의 요람으로서 장점을 극대화해 나갈 가능성이 큼.


○ 상하이(上海)

·중국 최대의 공업도시로 자동차, 철강, 섬유, 화학, 전자산업을 아우르는 거대한 전통산업군 밀집
·푸둥(浦東)지역을 동아시아 국제금융, 비즈니스 센터로 육성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임에 따라 각국의 금융기관들이 소속 운집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자본운용, 법률, 경영 전문가들이 유입되고 있음. 이러한 선진 금융시스템과 고급 인력의 도입은 외자유치나 첨단기업의 창업 및 성장에 매우 유리한 조건을 형성
·기존 산업 중심지로서 대량의 생산과 판매에 적합한 풍부한 노동력, 생산기반, 사회간접자본, 마케팅능력, 금융 서비스 등을 갖추고 있어, 다국적기업과의 합자를 통한 대규모 첨단산업 공장들이 입지하는데 좋은 조건을 갖춤.

○ 션전(深 )

·특구 정부가 가지고 있는 상대적인 자율성을 바탕으로 필요한 정책을 신속, 과감하게 도입
·홍콩을 통해 일찍부터 시장경제를 이루어, 정부 중심이 아니라 기업 중심의 기술개발 체제 형성
·세계 최대의 전자조립기지로 떠우르고 있는 중국 주강삼각주 지역에 위치하면서, 역시 세계 최고의 중계무역 기지인 홍콩에 인접해 있음.
·80년대 들어서 비로소 산업화가 이루어진 신흥 산업 도시이기 때문에 3개 도시 중 첨단산업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음.(2000년 70%)
·주변 지역에 전자산업이 밀집되어 있어서 이들을 타겟으로 하는 첨단부품산업의 진출에 유리하며, 홍콩과의 접근성을 활용한 수출생산기지로도 매우 유리한 환경을 제공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