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강삼각주(長江三角洲)와 주강삼각주(珠江三角洲) 경제발전 비교
○ 비교
·장강삼각주(상해, 강소성, 절강성 지역)는 90년대 상해 푸둥(浦東) 개발을 시작으로 고도성장 지속
·주강삼각주(광동성 지역)는 대외개방 실험지역으로서의 역할을 통한 고도성장 지속
·두 지역의 수출입 규모가 중국 전체의 65.5%를 차지
·아직은 주강삼각주의 비중이 더 크지만 점차 감소 추세인 반면, 장쟝삼각주의 비중은 꾸준하게 증가 추세에 있음.
- 주강삼각주 교역액은 2000년 1,755억 달러로 중국 전체의 37.0% 차지, 장강삼각주의 교역액은 2000년 1,354억 달러로 중국 전체의 28.5% 차지
·장강삼각주는 경공업과 중공업이 고르게 발달, 주강삼각주는 노동집약형 경공업으로 공업의 기반 형성
○ 문제점
·중복 건설 심각
·경제 발전 차이로 지역간 소득 격차 확대
·심각한 환경오염으로 공업화 추진 둔화
·선진국과 후발 개도국의 위협에 직면
○ 개발방향
·장강삼각주 - 경제, 금융, 무역, 첨단기술산업의 국제적 중심지
·주강삼각주 - 산업구조 고도화와 지역 협력을 통한 시너지 효과 창출
○ 비교
·장강삼각주(상해, 강소성, 절강성 지역)는 90년대 상해 푸둥(浦東) 개발을 시작으로 고도성장 지속
·주강삼각주(광동성 지역)는 대외개방 실험지역으로서의 역할을 통한 고도성장 지속
·두 지역의 수출입 규모가 중국 전체의 65.5%를 차지
·아직은 주강삼각주의 비중이 더 크지만 점차 감소 추세인 반면, 장쟝삼각주의 비중은 꾸준하게 증가 추세에 있음.
- 주강삼각주 교역액은 2000년 1,755억 달러로 중국 전체의 37.0% 차지, 장강삼각주의 교역액은 2000년 1,354억 달러로 중국 전체의 28.5% 차지
·장강삼각주는 경공업과 중공업이 고르게 발달, 주강삼각주는 노동집약형 경공업으로 공업의 기반 형성
○ 문제점
·중복 건설 심각
·경제 발전 차이로 지역간 소득 격차 확대
·심각한 환경오염으로 공업화 추진 둔화
·선진국과 후발 개도국의 위협에 직면
○ 개발방향
·장강삼각주 - 경제, 금융, 무역, 첨단기술산업의 국제적 중심지
·주강삼각주 - 산업구조 고도화와 지역 협력을 통한 시너지 효과 창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