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 타이어시장 성장으로 틈새시장 각광

  • 저자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

  • 출처

    한국무역협회

  • 발행일

    2004-01-25

  • 등록일

    2004-01-27

중국의 자동차 판매량은 2005년 300만대에 육박할 것이라고 업계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용자동차의 성장에 힘입어 타이어의 수요도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가족형 세단형 자동차의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지난 3년동안 세단형 차량 부문은 자동차 시장에서 30% 성장하였으며, 2004년에는 50%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자동차 시장도 전체적으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2004년 세단형 차량의 생산량은 2002년 전체 자동차 생산량과 비슷한 수준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북경에서 매일 1,100대의 신형 차량이 판매되고 있는 사실만 봐도 알 수 있다.

중국 소비자들이 저렴한 차량 정도는 구입할 수 있을 만큼 여력이 생기자, 타이어에 대한 수요도 더불어 증가해 왔다. 2002년 타이어 생산량은 9.4% 증가했으며, 매출은 12% 성장하였다. 한편 수익면에서는 312% 성장하여, 생산 확대를 위한 투자가 가능해졌다.

2002년 우수한 품질의 레이디얼(radial) 타이어의 매출은 55% 증가했으며, 수출물량은 8% 늘어났다. 또한 레이디얼 타이어의 생산량은 전체 타이어 12억개 중 5,600만개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 부문 수요는 앞으로 전체 타이어 수요의 70%를 차지할 전망이다.

Michelin, Bridgestone, Goodyear를 포함한 주요 타이어 제조업체들은 중국에 생산시설을 모두 갖추고 있다. 현재 중국의 타이어 제조업체 중 1/3이 다국적기업과의 합작회사이다. 이들 업체들은 생산규모 및 시장점유율에 있어서 눈부신 성장을 이룩하였으며, 중국내 전체 생산량의 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합작회사들의 레이디얼 타이어 생산량은 전체의 60%를 상회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 업체들로서는 시장입지가 줄어들고 있다. 게다가 최근 수년간 다국적 타이어 업체들은 기존의 현지업체들과의 합작회사보다는 전적으로 외국자본으로 기업을 설립하는 것을 선호하는 양상을 보여왔다.

현재 중국에는 325개의 중국 타이어 제조업체들이 있다. 그러나 이들 업체들의 연간 타이어 생산규모는 410,000개로 매우 적으며, 게다가 기술수준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반면 합작 및 외국업체들의 연간 평균 생산량은 270만개에 육박하고 있다.

이제 중국 업체들이 레이디얼 타이어 개발에 관심을 집중함에 따라, 보다 최신 기술 및 생산시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외국 공급업체들에게 중국은 타이어 생산기계 및 서비스에 대한 틈새시장으로서의 잠재력이 충분히 있다.

무엇보다도 중국 업체들이 주목하고 있는 기술은 노튜브(tubeless) 및 런플랫(run-flat) 타이어 부문이며, 더불어 고성능 스피드 기술과 연료효율성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출처: US Commercial.com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