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캔산업협회는 중국의 캔생산기업이 원료의 알선, 개발, 생산, 관리에 이르기까지 점차 국제화시대로 급부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캔식품은 건강식품으로 안정성, 영양성이 중시된다. 일부 주민들은 캔에 방부제가 들어있을까 염려하지만 캔포장시 고압살균하여 장기 보존에 문제가 없다. 독일 Willich식품품질연구소와 Niederrbein의 연구에 의하면 캔식품에는 비타민 A1, B1, B2, B6, E와 엽산 등 함량과 야채에 포함된 함량이 대체적으로 균등할 뿐만아니라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의 함량도 큰 차이가 없었다.
캔식품은 발전잠재력이 크다. 중국 캔산업협회의 조사에 의하면 캔식품 선호도에서 과일캔이 수위를 차지하고 다음으로 참치 등 생선캔, 죽캔, 돈육캔, 야채캔순이다. 최근 한국 동원참치캔을 위주로 캔식품에 대한 소비가 늘고 있지만 선진국 소비량의 수십분의 1에 불과하다.
2003년 중국 캔식품의 수출은 약 160만톤으로 약 12억달러를 기록하여 여타 식품산업의 수출액을 초과하였다. 2002년 캔식품의 수출규모는 140만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 10.4억달러에 달하였다.
일부 중국산 캔식품은 국제시장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귤캔이 세계의 75%, 버섯캔이 국제무역거래액의 65%, 죽순캔이 국제거래액의 70%에 달하며 이밖에 케쳡생산량이 세계 3위이다.
(국제상보)
캔식품은 건강식품으로 안정성, 영양성이 중시된다. 일부 주민들은 캔에 방부제가 들어있을까 염려하지만 캔포장시 고압살균하여 장기 보존에 문제가 없다. 독일 Willich식품품질연구소와 Niederrbein의 연구에 의하면 캔식품에는 비타민 A1, B1, B2, B6, E와 엽산 등 함량과 야채에 포함된 함량이 대체적으로 균등할 뿐만아니라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의 함량도 큰 차이가 없었다.
캔식품은 발전잠재력이 크다. 중국 캔산업협회의 조사에 의하면 캔식품 선호도에서 과일캔이 수위를 차지하고 다음으로 참치 등 생선캔, 죽캔, 돈육캔, 야채캔순이다. 최근 한국 동원참치캔을 위주로 캔식품에 대한 소비가 늘고 있지만 선진국 소비량의 수십분의 1에 불과하다.
2003년 중국 캔식품의 수출은 약 160만톤으로 약 12억달러를 기록하여 여타 식품산업의 수출액을 초과하였다. 2002년 캔식품의 수출규모는 140만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 10.4억달러에 달하였다.
일부 중국산 캔식품은 국제시장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귤캔이 세계의 75%, 버섯캔이 국제무역거래액의 65%, 죽순캔이 국제거래액의 70%에 달하며 이밖에 케쳡생산량이 세계 3위이다.
(국제상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