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 북경 게임시장 호황

  • 저자

    한국무역협회 무역 연구소

  • 출처

    한국무역협회

  • 발행일

    2004-02-06

  • 등록일

    2004-02-09


중국 북경의 Game Street가 생겨난 것은 198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현재 이곳은 북경의 TV 게임시장을 주도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980년대 당시 북경에는 문화적인 생활이라고 할만한 것이 거의 없었다. 당시 텔레비전을 보유하는 것도 흔하지 않은 일이었다.

그러나 점차 가정에서 TV를 보유하게 됨에 따라 비디오게임이 인기를 얻기 시작하였다. 업계 선구자로 통하는 Zhang氏는 당시 새로운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친구와 동업으로 TV 게임매장을 오픈하였다. 당시에는 TV 게임이라는 업종 자체가 없었기 때문에, 사업등록을 할 때 전자제품으로 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사정은 얼마 전까지만 해도 달라진 것이 없었다. 다양한 TV 게임매장이 생겨났지만, 아직도 전자제품 매장으로 사업등록을 해야 했기 때문이다.

Zhang氏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산업통상부에 제안서를 제출하였다. 이러한 제안은 받아들여졌고 또한 해적판과 복사본을 단속하기 위한 특별 부서도 설립되었다.

이제는 TV 게임매장을 사업 등록하기가 수월해졌다. 사업운영자들은 신청서와 등록 증명서를 작성하여 산업통상부에 제출하면 되고, 최소 사업자본은 20만위안이면 된다.

보통 매장은 20평방미터 또는 10평방미터 미만의 초소형 매장도 있다. 그러나 매장규모와는 관계없이 모든 종류의 제품을 구할 수 있다. 특히 Sony의 Play Station, Microsoft의 XBOX, Nintendo의 NGC는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제품이다. 또한 대부분의 매장은 디지털카메라, 퍼스널 컴퓨터, VCD, DVD 플레이어도 같이 판매하고, 게임기 수리와 중고제품 서비스를 제공한다.

▲ 홍콩, 대만, 일본산 소프트웨어
게임 소프트웨어를 사기 위해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이곳을 찾는다. Game Street에서 판매하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는 대부분 홍콩, 대만, 일본산 제품으로 광저우를 통해 수입된다.

그 중에서도 일본산 게임기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중국은 아직 이 부문에 대한 기술을 숙달하지 못한 상태다. 게다가 게임콘솔의 가격대는 1,500∼2,000위안이지만, 가격에 비해 수익 마진은 적은 편이다.

또한 소프트웨어는 새로운 게임기 모델이 등장할 때마다 업데이트 버전이 나오기 때문에 항상 소비자들을 유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한 가지 게임기가 인기를 얻게 되면, 그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인기도 동반 상승한다.

이곳의 한달 임대료는 5년 전보다 2배 오른 4,000위안이지만, 이 지역의 명성 때문에 다른 지역으로 옮겨가는 업체는 거의 없다.

▲ 주요 고객층 - 고소득 성인
지난 20년간 게임을 즐기는 세대가 변화하였다.
오늘날 게임업계의 주요 고객은 고소득 성인층이다. 이제는 많은 제품이 과거의 주요 대상이었던 학생보다는 성인을 대상으로 출시되고 있으며, 고가품일수록 더욱 그렇다.

TV 게임은 중국 게임시장에서 반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한편 세계 게임용 소프트웨어 중 TV 게임용 소프트웨어는 70%, 컴퓨터 게임용 제품은 30%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중국의 게이머들은 아직 컴퓨터/온라인 게임을 즐기고 있는 와중에, 중국 서부지역에서는 PS-2, XBOX, NGC가 인기를 끌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중국 게임 제조업체들도 PC 플랫폼용 게임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최근 수년간 중국에서 온라인 게임은 급성장을 거두었으며, 이제는 그 규모가 9억위안을 상회하고 있다.  더욱이 얼마 전 美스포츠총연맹(SSGA)은 전자게임을 99번째 스포츠 공식종목으로 선정함에 따라, 게임업계는 앞으로 전망이 더욱 밝아질 것으로 보인다.

출처: TDC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