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 석유비축 급선무

  • 저자

    中國證券報

  • 출처

    中國證券報

  • 발행일

    2004-02-24

  • 등록일

    2004-02-25

2004년에 들어 국제시장의 석유가격은 연이어 상승하면서, 이라크 전쟁 이후 배럴당 31달러대를 여러 차례 돌파하였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금년 중국에 석유제품 파동현상이 재현될 것인지에 관한 의문을 제시하고 있다. 사실 지난해 석유제품 부족현상이 나타나면서 대다수의 사람들이 석유안보가 국가의 흥망에 관계될 뿐만 아니라 국민복지에도 관계되는 일임을 인식하게 되었다.

경제의 혈액으로 불리우는 석유는 사회재화를 창출하는 관건 요소이자 세계 정치국면과 경제질서 및 군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유형자원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국가가 석유를 에너지 전략의 핵심으로 삼고 있다. 미국 전후의 경제주기, 여러 차례의 경제위기는 석유자원 위기와 관련되어 있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국제적으로 경제파동은 대부분 석유에너지시장의 파동과 관련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최근 중국경제는 연평균 8%의 이상의 급속 성장을 지속하면서 아시아 경제성장을 견인할 뿐 아니라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위상도 날이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중국의 석유 소비량의 국제시장에 대한 의존도는 점차 심화되고 있다. 중국이 생산량과 소비량 면에서 볼 때 석유대국이라 할 수 있고 일정의 성장 잠재력 또한 지니고 있지만, 이에 반해 중국의 석유 및 천연가스 자원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며, 평방킬로미터당 자원량, 확인된 가채 매장량, 잉여 가채 매장량은 모두 세계 평균수준보다 크게 낮은 상황이다

따라서 여러 가지 원인들을 고려했을때,  석유소비의 빠른 증가에 따라 2020년 중국의 석유 대외 의존도는 55%를 넘어설 것이며, 이로 인한 석유안보문제는 매우 중대한 문제가 될 것이다. 만약 국제 석유가격 파동의 타격을 받는다면 중국 국내경제는 재정이나 고용 등에 있어서 난관에 부딪힐 것이다. 미국 등의 서방국가와 달리 중국은 현재 대량의 잉여 노동력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성장지역의 불균형이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경제성장 둔화에 따른 수용능력이 비교적 떨어진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일단 경제 성장률이 하락할 경우 중서부 지역의 재정은 더욱 어려움에 빠질 것이며, 고용상황 또한 한층 악화되어 샤오캉(小康 : 여유로운 생활이 가능한 수준) 사회 건설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볼 때 중국의 석유문제는 매우 큰 문제라고 말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따라서, 중국은 하루 빨리 국내 석유선물시장의 개장을 통하여 석유 전략비축제도 및 예측 시스템을 구축해야 된다. 



2004-02-24일자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