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안화 평가 절상 전망과 파급효과
1. 중국의 환율 제도와 환율 추이
○ 중국은 사실상의 고정환율제도 국가로서 97년 이후 8.28 위안/달러 유지
- 중국은 위안화를 달러에 페그(peg)시키는 사실상의 고정환율제도를 채택하고 있는 국가임
- ’97년 이후부터 달러당 8.28위안 수준을 유지
2. 평가 절상 가능성
○ 최근 위안화에 대한 평가 절상 압력 심화
- (대외적 압력) 미국 등 주요 선진국들의 대 중국 무역적자 확대 등으로 최근 주요 교역국들의 위안화 평가절상 압력이 심화되고 있음
- (대내적 압력) 유동성 과잉 공급의 영향으로 중국내 인플레 압력이 심화되고 있음
○ 평가절상 가능성 고조
- 중국 내에서도 위안화의 평가절상 필요성을 인정하는 분위기가 확산
- 외환시장에서도 1년 내 위안화가 5%정도 평가 절상될 것을 전망하는 분위기임
3. 위안화 평가 절상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적 효과
- 한국 수출 제품의 가격 경쟁력 개선으로 제3국에 대한 시장 점유율을 제고 시킬수 있는 기회
○ 부정적 효과
- 중국산 수입품의 상승으로 국내 소비자 물가 상승 압력 증대 예상
- 중국 경제 성장 둔화로 장기적으로 對중국 수출 증가세 또한 둔화될 것으로 예상
○ 업종별 효과
- 위안화 평가절상시 업종별 특징에 따라 그 효과도 다를 것으로 예상
4. 시사점
○ 정부 과제
- 적정 환율 수준을 타겟으로 하는 외환 시장의 개입 필요
- 해외 충격에 의한 경제불안 해소
○ 기업 대응 과제
- 무역 구조 개선으로 수출 및 수입선 다변화
- 체계적인 환리스크 관리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