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설문』中, 한국 브랜드 高, 한국기업 이미지 低

  • 저자

    정준규

  • 출처

    KOTRA

  • 발행일

    2004-04-19

  • 등록일

    2004-04-20


중국내 정부출연 단체의 하나인 “中國發展硏究基金會”가 발표한 <해외자본의 중국사회 융화도 연구보고>를 입수하여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 내 한국기업의 상품인지도는 높게 나타나는 반면 기업이미지는 상대적으로 낮으나한국을 대표하는 삼성과 LG는 구미기업이나 일본기업 제품보다 높은 선호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동 보고서는 중국의 주요 컨설팅업체인 零點硏究集團이 정부출연 단체인 “中國發展硏究基金會”의 위탁을 받아 일반시민, 외자기업 근무자, 기업 최고경영자 및 공무원을 대상으로 국가와 외자기업별 현지 융화도와 상품인지도에 대하여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작성되었다.

설문조사 항목은 크게 외부지표와 내부지표로 나뉘며 외부지표는 △선호도 △친밀도 △발전전망 △발전전망 △취업선택 △제품선택 등 외부 이미지 관련 항목으로 구성되고 내부지표는 △기업문화 △내부환경 △관리시스템 △공공관계 등의 내부 관리측면의 항목이 주를 이루고 있다.

모든 평가지표를 종합하여 산출한 결과 국가별로 미국계 기업이 1위를 차지하였으며 유럽계와 일본계 기업이 뒤를 이었고 한국계 기업은 대만계 기업보다 1단계 높은 5위를 차지하였다.

세부적으로 △친숙도 △발전전망 △취업선택 △제품선택 등 외부 이미지 관련 항목으로 구성된 외부지표 순위를 살펴보면 유럽계 기업이 1위를 차지하고 있으나 제품선택 항목에서는 일본계 기업이 1위를 차지하였다. 한국계 기업의 경우 제품선택만이 다소 높은 4위를 기록하였고 나머지 지표에 있어서는 5,6위의 낮은 순위를 보이고 있다.

종업원과 관리자를 기초로 한 내부지표의 경우 미국계 기업은 공공관계 항목을 제외하고 모두 1위로 나타났으며 종합평가에 있어서도 1위를 차지하였다.

국가와 관계없이 기업별 브랜드의 중국내 소비자에 대한 융합도 조사결과 대부분 미국, 유럽, 일본 브랜드가 상위 30위 중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나 한국브랜드 중 삼성과 LG가 각각 5위와 18위로 나타나 한국을 대표하는 두 회사의 약진이 눈에 띄며 결과적으로 삼성과 LG의 현지화 전략은 성공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조사결과 상위 30개 브랜드의 국가별 분포를 살펴보면 △미국 12개사 △유럽 7개사 △일본 7개사 △한국 2개사 △대만 2개사 △홍콩 O개사의 분포를 보이고 있다. 상위 30대 브랜드의 제품군은 △IT 12개사 △일용품 7개사 △자동차 7개사 △소매업 2개사 △식음료 2개사로 나타나고 있다.

일본기업은 조기에 중국시장에 진출하였고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선보이고 있어 중국인의 일본상품에 대한 선호도가 유럽 및 미국기업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일본기업의 종합평가점수가 구미기업에 비해 낮은 이유는 일본기업의 전반적인 기업이미지와 현지 사회와의 융합도면에서 떨어지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다국적기업의 중국진출 역사가 이미 10여년에 달하고 있어 생산의 현지화 뿐만 지역사회와의 관계설정 등 기업조직의 현지화도 중요한 요인으로 부상하고 있다.

한국계 기업의 인지도가 낮게 나타나는 주요 원인은 중국에 진출한 미국, 유럽, 일본의 기업의 경우 글로벌 브랜드를 소유한 다국적 기업이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는 반면,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의 경우 삼성, LG 등 주요 대기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중소기업의 진출이 다수를 이루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글로벌 기업과 브랜드가 미국, 유럽, 일본기업의 대표 이미지로 인식되나 한국기업의 경우 소규모 투자가 주를 이루고 있어 전반적인 소비자의 평가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대중수출 제품은 석유화학, 철강, 화섬 등 소수 품목의 집중도가 높으며 상위 5대 품목의 비중이 40%에 육박하는 중국의 정책 및 환경 변화시 전체 수출이 직접적 타격을 받는 취약한 구조가 약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원부자재 중심의 수출상품구조로 인해 휴대폰 등 일부 하이테크 제품을 제외하면 한국산 제품의 브랜드 인지도는 다소 취약하여 장기적으로 내수시장 개척에 어려움으로 지적되고 있다.

중국시장은 외자기업 및 중국 대기업의 고급품 출시로 브랜드 이미지가 중요한 시장으로 변모하고 있으며 이에 국적기업들은 선진국과 중국시장에 신제품을 동시 출시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어 우리기업의 브랜드 육성은 여전히 절실한 과제로 남아있다. 또한 설문조사 결과 중국내수 시장진출 시 생산의 현지화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와의 관계설정과 기업 이미지 제고가 매우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