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 최근 중국이 경기과열을 진정시키기 위하여 긴축정책 실시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개발이 낙후된 동북 3성 지역이 새로운 투자 유망지역으로 부각
○ 동북 3성 재건계획은 지역간 협조적 발전, 낙후된 경제적 위상의 회복, 중화학공업 발전의 거점 확보 및 금융불안의 해소라는 산업정책적 필요성에 의해 추진
○ 중국 국가발전계획 위원회는 100대 프로젝트 전략, 부가세(增値稅) 감면, 국유기업에 대한 M&A 허용 등을 통해 외자기업을 적극 유치하는 한편, 중국내 다른 지역과 한국을 포함한 주변국가와의 협력을 모색
○ 우리 기업은 면밀한 사전타당성 조사를 통하여 100대 프로젝트에의 참여 가능성을 타진하고 향후 중국의 시장 잠재력이 높은 중화학 및 IT분야에서의 기술·투자협력을 모색할 필요
○ 정부는 민간기업의 중국 동북지역 진출을 촉진하기 위하여 중국기업의 경영상태나 재무구조를 평가하는 기업지원 서비스 제공을 확대하고 EDCF 자금의 제공을 검토할 필요
○ 최근 중국이 경기과열을 진정시키기 위하여 긴축정책 실시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개발이 낙후된 동북 3성 지역이 새로운 투자 유망지역으로 부각
○ 동북 3성 재건계획은 지역간 협조적 발전, 낙후된 경제적 위상의 회복, 중화학공업 발전의 거점 확보 및 금융불안의 해소라는 산업정책적 필요성에 의해 추진
○ 중국 국가발전계획 위원회는 100대 프로젝트 전략, 부가세(增値稅) 감면, 국유기업에 대한 M&A 허용 등을 통해 외자기업을 적극 유치하는 한편, 중국내 다른 지역과 한국을 포함한 주변국가와의 협력을 모색
○ 우리 기업은 면밀한 사전타당성 조사를 통하여 100대 프로젝트에의 참여 가능성을 타진하고 향후 중국의 시장 잠재력이 높은 중화학 및 IT분야에서의 기술·투자협력을 모색할 필요
○ 정부는 민간기업의 중국 동북지역 진출을 촉진하기 위하여 중국기업의 경영상태나 재무구조를 평가하는 기업지원 서비스 제공을 확대하고 EDCF 자금의 제공을 검토할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