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중국의 긴축조치 영향으로 아시아 국가들의 경기가 둔화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
(중국 수출입의 지역별, 품목별 편향성)
□ 중국의 수출 상대국은 미국 및 유럽 국가를 중심으로, 수입 상대국은 아시아 국가를 중심으로 편향성이 심화되는 추세
□ 중국의 주요 수출 및 수입품목은 기계류로서 전체 수출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빠르게 상승
(중국 긴축조치가 아시아 주변국에 미치는 충격은 크지 않을 전망)
□ 중국의 긴축조치로 소비가 위축되더라도 아시아 국가들의 對중국 내수용 소비재 수출비중이 미미함에 따라 아시아 국가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평가
□ 아시아 국가들로부터의 부품 수입 및 미국 및 EU에 대한 완제품 수출이라는 중국의 수출입구조에 비추어 아시아 국가들(일본 제외)의 수출은 중국의 내수보다 미국 및 EU의 수입수요에 의해 좌우될 전망
(중국 수출입의 지역별, 품목별 편향성)
□ 중국의 수출 상대국은 미국 및 유럽 국가를 중심으로, 수입 상대국은 아시아 국가를 중심으로 편향성이 심화되는 추세
□ 중국의 주요 수출 및 수입품목은 기계류로서 전체 수출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빠르게 상승
(중국 긴축조치가 아시아 주변국에 미치는 충격은 크지 않을 전망)
□ 중국의 긴축조치로 소비가 위축되더라도 아시아 국가들의 對중국 내수용 소비재 수출비중이 미미함에 따라 아시아 국가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평가
□ 아시아 국가들로부터의 부품 수입 및 미국 및 EU에 대한 완제품 수출이라는 중국의 수출입구조에 비추어 아시아 국가들(일본 제외)의 수출은 중국의 내수보다 미국 및 EU의 수입수요에 의해 좌우될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