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한류, 체계적 활용전략 필요-"최근의 한류현황과 활용전략"

  • 저자

    무역연구소

  • 출처

    무역연구소

  • 발행일

    2004-09-23

  • 등록일

    2004-09-30

아시아를 중심으로 불고 있는 한류가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기대했던 만큼 크지 않아 체계적인 활용전략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所長 玄旿錫)가 발표한 "최근의 한류현황과 활용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지금까지의 한류는 연예기획사 및 관광여행사들에 의한 스타중심의 상업전략만 있을 뿐 문화적 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활용전략이 없어 한류의 장기적인 지속에 대한 우려를 낳게 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97년 한국드라마 '별은 내가슴에'의 인기를 바탕으로 중국에서 불기 시작한 한류열풍은 장르면에서 음반, 영화로, 지역면에서는 중화권, 동남아, 일본은 물론 미주지역에까지 확산되어 왔다.
한류열풍은 방송, 영화 등 문화콘텐츠의 수출증대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나 비한류국에 대한 수출증가율이 더 높다는 점을 감안하면 한류 때문만은 아닌 것으로 분석되고 있고, 음반의 경우 불법복제 성행으로 수출증가세가 크게 둔화되고 있다.

상품수출 증대효과는 휴대폰, 가전, 화장품 등 일부 소비재에서 나타나고 있으나 직접적인 수출증대효과보다는 바이어와의 협상시 우호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정도의 간접적인 효과에 그치고 있어 전반적인 수출증대에 직접 연계되지 못하고 있다.

관광객 증가는 한류와 관련된 테마관광상품의 개발로 금년 들어 7월까지 전년보다 47% 늘어난 174만명을 기록하였지만 특정 드라마, 특정 스타와 관련된 것이 대부분이어서 지속적인 관광객 유인수단이 되기에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처럼 한류효과는 크지 않으면서 중국, 대만 등 일부 국가에서는 갑자기 밀려오는 異文化에 대한 거부감 때문에 반한류 조짐도 감지되고 있다.

따라서 한류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미디어 및 연예, 관광산업분야에서 상업적 차원으로만 전개되어 온 한류현상을 이제 국가가 정책적으로 다루어 한류를 통한 국가이미지 제고는 물론, 지식기반 콘텐츠 및 상품수출 확대기회로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무역연구소 보고서는 지적하고 있다.

이를 위해 ①한류국가와의 청소년 인적교류 및 공동 문화행사 개최 확대로 한류지속 기반을 다지는 한편, ②전문인력 양성 등 문화컨텐츠 제작 인프라 구축, 문화컨텐츠 제작의 질적 수준 제고, 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지역별 수출마케팅 전략 추진, 홍콩스타TV 등 광역매체를 통한 문화컨텐츠 저변 확산 등을 통해 문화컨텐츠 수출을 늘려나가는 것이 필요하며, ③저질문화의 수출방지를 위해 해외수출 영화, 드라마 등의 사전 심사 추천시스템 도입도 권고하고 있다.

그리고 무역연구소의 실태조사결과 한류를 제품마케팅에 활용하는 방법을 모르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한류와 상품수출을 연계시키기 위해 기업들로 하여금 ①수출드라마 내용에 맞춘 기업광고 제작, ②영화개봉 이벤트와 기업프로모션 연계, ③한국문화공연을 마케팅에 연계시키는 전략 등을 적극 전개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관광의 경우 '대장금'의 수랏상을 음식관광상품으로 개발하고 한방치료도 관광패키지로 개발함으로써 한국의 고유문화와 연계한 고부가가치의 테마관광상품을 통해 외국관광객을 지속적으로 유인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
목 차

<요 약>

<본 문>
Ⅰ. 최근의 한류현황 1

1. 한류의 발생 1
2. 한류의 확산 1
3. 지역별 한류 현황 3

Ⅱ. 한류의 영향 및 효과 10

1. 문화컨텐츠 수출증가 10
2. 상품 수출증가 15
3. 관광객 증가 21
4. 국가이미지 개선 22

Ⅲ. 한류에 대한 평가 및 활용전략 23

1. 종합평가 23
2. 한류의 활용전략 24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