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건너뛰기 버튼

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중국 위안화 가치의 상승 가능성과 대응방향

  • 저자

    김화섭

  • 출처

    KIET

  • 발행일

    2004-10-08

  • 등록일

    2004-10-29

위안화는 중장기적으로 강세를 보일 전망
한국무역에 미칠 영향
중국진출 기업그룹별 대응전략
무역 대응전략

<요 약 >
○ 최근 국제회의에서 중국정부가 변동환율제의 채택 가능성을 언급함에 따라 달러화에 고정되어 있는 위안화 가치가 유동화되고 중장기적으로 상승할 것 으로 전망

○ 위안화 가치의 상승에 따라 세계경제 내에서 중국경제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중국 거시경제에 대한 환율의 영향력이 증대되고 경제시스템의 개혁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

○ 변동환율제로의 이행을 비롯한 중국경제의 펀더멘털의 변화는 중국과 긴밀한 무역 및 투자관계를 맺고 있는 우리나라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

○ 우리 기업들은 위안화 가치의 변화에 따른 상대가격 변화를 적절히 활용하여 중국기업들과의 가격경쟁 관계에서 지속적인 우위를 확보하고 비가격경쟁력을 제고하여 중국의 추격에 대응할 필요

- 위안화 가치가 상승하더라도 중국의 수출경쟁력 약화는 일시적인 현상으로 그칠 가능성
- 위안화 강세에 따른 중국의 수입수요 증대를 계기로 부품 및 중간재부문에서 중국과의 기술경쟁력 격차 유지에 노력

확인

아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