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 2022년 중국 클라우드 신년 인사
2022년 2월 3일 시장조사 기관인 아이미디어 리서치(艾媒咨 )는 「2022년 중국 신년 인사 방식 및 행동 모니터링 특별보고(中 新春拜年方式及行 告)」를 발표함. - 응답자 60% 이상은 기존의 대면 방식보다 ‘클라우드 신년 인사(云拜年)’를 선택함. 클라우드 신년 인사는 춘절 기간 인터넷 등 매체를 통해 온라인으로 세배를 하고 서로 축원을 나누는 방식을 말함. -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2021년 클라우드 라이프 시대에 진입하였으며 클라우드 인사는 최고의 신년 인사 방식으로 자리 잡음. - 5G, 홀로그램, 영상통화 등 기술 혁신으로 몰입감과 현장감이 강화됨. - 이용 방식으로 위챗 홍바오( 包, 세뱃돈), 동영상 세배, 위챗기반 플랫폼 샤오청쉬(小程序)의 클라우드 쇼핑(云 街) 등이 있음. 중국 정부는 코로나19의 확산 방지를 위해 지역을 이동하지 말 것을 권장하며 불필요한 인력 이동을 최소화함. - 클라우드 신년 인사는 사람 간 접촉 빈도를 줄여 교차 전파 위험을 줄이는 데 효과적 작용을 함. 2022년 네티즌을 대상으로 어떻게 신년 인사를 했냐는 질문에 온라인 음성통화 59.7%, 화상통화 55.7%, QQ 혹은 문자 메시지 발송 55.3%, 신년 영상 발송 53.5%로 답했고, 방문 인사는 29.9%에 그침. - 응답 네티즌 67.9%가 클라우드 신년 인사를 통해 외출 빈도를 줄일 수 있었다고 답함. - 그러나 응답자의 50% 이상은 클라우드 신년 인사는 핸드폰이 익숙하지 않은 노인들은 사용에 어려움이 있고, 친지 방문이 없으니 명절 분위기가 반감된다는 문제점이 있다고 응답함. <출처: “艾媒咨 |2022年中 新春拜年方式及行 告” 艾媒 . 2022. 2. 10.>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2022년 중국인 귀향 부동산 매입 의향
2022년 2월 21일 중국 부동산 전문 연구 플랫폼인 베이커연구원( 究院)은 「2022년 귀향 부동산 매입 보고(返 置 告)」를 발표함. - 보고는 2022년 1월 20~30대 전문대 이상 졸업자 약 4,000명을 대상으로 귀향 부동산 의향에 대한 설문을 진행 2022년 ‘귀향해 직장을 구하고 부동산을 매입할 계획이 있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44.7%로 2021년 대비 0.1% 감소함. - 응답자 중 17.3%는 ‘귀향할 계획이 없다’라고 응답하는 등 2022년 귀향 후 부동산 매입을 희망하는 비율이 2021년 대비 1.2% 감소함. 주링허우(1990년대생)와 주우허우(1995년생)가 실수요층으로 귀향 후 부동산을 매입하겠다고 56.9%가 응답함. 기혼자 66.1%가 귀향 후 부동산 매입을 희망했고 이들 중 대다수가 가족의 생활 여건 개선과 자녀의 취학 편의를 위해 귀향을 원한다고 응답함. - 응답자 중 49.1%가 월 소득 5,001~15,000위안에 집중된 중산층으로 조사됨. 주링허우는 1선 도시보다 집값이 저렴하고 인재 우대 정책이 있는 2~3선 도시 생활을 선호한다고 응답함. 귀향 후 매입 가능한 부동산 규모 범위에 관한 질문에 100만 위안 미만 25.6%, 100~150만 위안에 27.9%, 150~200만 위안에 20.8%, 200~250만 위안에 12%, 250~300만 위안에 6.8%가 수용 가능하다고 답함. - 300만 위안 범위내 응답자의 90% 이상이 수용 가능하다고 답함. 부동산 매입 자금 출처에 관한 질문은 응답자의 34.1%가 개인자금+부모지원이라고 답했고, 부부 공동구매 30.1%, 부부 공동출자+부모지원 20.7%이라고 답함. - 또한 개인자금 12.9%, 부모지원 1.8%로 응답함. - 부모의 전액 지원으로 매입하는 경우는 적지만, 부모의 지원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54.8%로 집계됨. 단기적으로는 코로나19가 효과적으로 통제되었고 관련 호재가 더해지면서 귀향 수요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나, 장기적으로는 인구구조 변화와 수요공급 영향으로 3, 4선 도시에 대한 귀향 수요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출처: 究院(2022), 「2022返 置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레저식품 산업 발전 현황
중국 시장조사 기관인 아이미디어 리서치(艾媒咨 )는 2021년 11월 「2021~2022년 중국 레저식품산업 현황 및 소비행동 데이터 연구 보고(中 休 食品 及消 行 据 究 告)」를 발표함. - 레저식품이란, 여가나 휴식 시간에 섭취하는 식품으로 베이킹 제품, 초콜릿, 견과류, 절임 식품, 건어물 등 기타 식품을 일컬음. 중국 레저식품 산업 규모는 2010년 4,100억 위안에서 2021년 1조 1,562억 위안으로 성장 - 또한 2022년 7.2% 증가한 1조 2,391억 위안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 중국의 1인당 가처분소득이 해마다 증가함에 따라, 중국 레저식품 업계 시장 규모는 지속해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 2013~2019년 중국인 1인당 가처분소득과 1인당 소비지출 평균 증가율은 각각 9.9%, 8.5%로 레저식품 산업의 성장 동력으로 작용함. - 2020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1인당 소비지출은 전년 동기 대비 1.6% 감소하였으나 코로나19 통제로 중국 레저식품 산업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됨. 2019년 중국의 1인 평균 레저식품 소비량은 2.2kg이며 일본, 영국, 미국은 각각 5.6kg, 9.5kg, 13kg으로 조사됨. - 중국의 레저식품 소비량은 주요 선진국에 비해 적은 수준이며, 중국인의 소비수준 향상에 따라 시장의 성장 잠재력이 크다고 판단됨. 아이미디어 리서치는 기업 종합 역량, e-커머스 플랫폼 판매, 온라인 매체 전파 현황, 사용자 평판 조사, 전문 분석가 팀의 평가지표 등을 종합해 2021년 중국 캐주얼 식품 브랜드 순위 Top30을 발표함. - 이번 종합 브랜드파워 TOP3에 싼즈송슈(三只松鼠), 량핀푸즈(良品 子), 바이차오웨이(百草味)가 선정되었으며 비교적 높은 인지도를 자랑하는 중국브랜드인 왕왕(旺旺), 차차(洽洽), 웨이룽( ) 이 순위에 랭크됨. <출처: 艾媒咨 (2021), 「2021-2022年中 休 食品 及消 行 据 究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2021년 중국 게임산업 현황
2021년 12월 17일 중국 영상 디지털 출판 협회 게임위원회(中 音 游 工委)와 중국 게임산업 연구원(中 游 究院)은 공동으로 「2021년 중국 게임산업 보고(中 游 告)」를 발표함. - 2021년 중국 게임시장 사용자는 6.66억 명, 매출액은 2,965억 1,3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6.4% 증가함. - 특히, 모바일 게임시장 매출액은 2,255억 3,8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7.57% 증가했고 전체 게임시장의 76.06%를 차지함. 2021년 중국산 게임의 해외 매출액은 180억 1,300만 달러로 2020년 대비 25억 6,300만 달러 증가, 전년 대비 16.59% 상승함. - 주요 해외 진출지역은 미국, 일본, 한국, 유럽 등이며, 게임 장르는 SLG(전략 전쟁 시뮬레이션), MMO(대규모 멀티플레이어형 게임), 슈팅게임, 퍼즐게임 등임. 해외시장 진출은 게임업계 실적 성장의 중요한 버팀목이 됐고 그중 텐센트( ), 넷이즈( 易)와 같은 중국 내수시장 1위 기업들의 해외시장 확장 속도가 빠름. - 2021년 3분기 텐센트의 해외시장 매출은 약 113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 증가함. 중국 모바일 게임의 주요 해외 진출 국가는 미국, 일본, 한국이며 해외 매출액의 약 60%를 차지함. - 2021년 3분기 모바일 중국 게임의 국가별 점유율은 미국 23.30%, 일본 27.40%, 한국 24%이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3%p, 1.8%p, 3%p 증가함. 글로벌 앱 조사업체 앱애니(App Annie)에 따르면, 코로나19 발생 전 대비 전세계 모바일 게임 이용자들의 게임 참여 시간이 증가한 것으로 집계됨. - 2021년 상반기 해외시장 모바일 게임 이용자의 게임 참여 시간은 2018년 상반기 대비 92% 증가함. <출처: 中 音 游 工委(2021), 「中 游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새로운 코로나19 진료 방안 발표
2022년 3월 15일 중국국가위생건강위원회( 家 生健康委 )는 「코로나19 진료 방안(新型冠 病毒肺炎 方案)(실행 제9판)」(이하 「방안」)을 발표함. - 중국은 2020년 한 해 동안 7번의 「코로나19 진료 방안」을 발표하였고, 2021년 4월 15일 제8판을 발표함. - 이번에 발표한 「방안(제9판)」은 최근 유행하는 오미크론과 델타 변이를 집중적으로 분석한 방안임. ▣ 항원검사 확대 「방안」은 코로나19 조기 발견으로 코로나 확산 방지를 목표로 함. - 조기 발견을 위해 자가진단 키트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자가진단 키트 양성자는 즉시 PCR 검사를 시행하거나, 상급 의료기관으로 이송하여 PCR 검사를 진행하도록 함. 국가위생건강위원회는 3월 11일 「코로나19 항원검사 적용방안(시행)」을 발표했음. - 3월 15일 국가약품관리감독국( 家 局)은 2개 기업의 코로나19 항원 자가진단 키트를 추가로 승인하면서 중국 내에서 허가된 코로나19 항원 자가진단 키트는 12개에 달함. 최근 코로나19 확진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지린성은 2022년 3월 14일 「코로나19 검사 응용 방안(新冠病毒抗原 用方案)」을 발표하여, 단기간 내 중국 전역의 1,200만 명분 항원검사키트를 주문하여 일부는 이미 배포함. ▣ 증상별 치료 중국의 오미크론 확진자의 대부분이 무증상이거나 가벼운 수준의 증상으로 치료를 요구하지 않는 상황과 의료기관의 과중을 막기 위해, 「방안」은 가벼운 증상 확진자에 대한 집중 격리관리를 시행하기로 함. - 격리기간 동안 증상을 철저히 관찰하여 증세가 악화하면 거점병원으로 이송하여 치료하는 방식으로 대응체계를 수정 3월 15일 기준 지린성의 코로나19 입원 환자는 8,201명으로 위중증 환자 비율은 약 4%이며, 임시병원 5개를 신설하였음. ▣ 코로나19 치료제 사용 「방안」은 중국 독자 개발 치료제 BRII-196, BRII-198와 팍스로비드를 진료 방법으로 명시함. - 2021년 12월 8일 국가의약품관리감독국은 브리바이오사이언스, 칭화대, 선전시 제3인민병원이 공동 개발한 코로나19 항체 치료 주사액 BRII-196, BRII-198을 승인했고. 위중증 환자 치료에 사용했음. - 또한 2022년 2월 11일 화이자가 개발한 경구용 치료제 팍스로비드 수입 등록을 승인했음. 지린성 확진자를 대상으로 1차 수입분의 절반 수준인 1만 갑을 사용함. ▣ 격리해제 관리, 퇴원 기준 조정 「방안」은 코로나19 감염자의 격리해제 기준을 조정함. - 코로나19 회복 중인 감염자의 Ct값이 35 이상일 때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고, 전파력이 거의 없는 것을 확인했음. 통상 Ct값은 35~40을 기준으로 양성과 음성을 구분하고, 값이 35 이하이면 양성, 이상이면 음성으로 판정함. 새로 발표한 「방안」은 기존 격리 관리 해제 및 퇴원 기준인 '2회 연속 핵산 검사 음성‘을 '2회 연속 핵산 검사에서의 N유전자와 ORF 유전자 Ct값 35 이상' 또는 '2회 연속 핵산 검사 음성'으로 수정하여 완화함. 또한 2주 격리 치료 후 재택격리 기간을 14일에서 7일로 단축함. 이 밖에도 어린이 확진자에 대한 치료와 중의학 활용 치료 내용을 담음. <출처: “五大要点 解第九版“新冠肺炎 方案” 中 年 . 2022. 3. 6.>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코로나19 도시 봉쇄
중국은 ’제로 코로나‘ 정책을 시행하며,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지역을 봉쇄하는 관리체계를 진행하고 있음. 최근 급증하는 오미크론 확진자로 봉쇄지역이 확대되고 있음. ▣ 상하이 상하이는 2022년 3월 28일부터 단계적 봉쇄 조치에 들어감. - 상하이를 중심으로 흐르는 황푸강을 중심으로 동서로 지역을 나눠 3월 28일~4월 5일까지 단계적으로 봉쇄하여 거주민 PCR 전수검사를 진행하기로 함. 3월 28일~4월 1일은 황푸강 동쪽지역, 4월 1~5일은 나머지 지역 검사 시행 상하이는 봉쇄 기간 지역 내 모든 대중교통의 운행을 중단, 도로를 폐쇄하고, 재택근무를 당부함. - 3월 20일부터 상하이는 부분 봉쇄지역 범위가 확대하여, 도시 봉쇄설이 퍼지고 있었으며, 주민들의 사재기가 이어졌었음. ▣ 광둥성 선전 광둥성 선전시는 2022년 3월 14일부터 20일까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도시 전체를 봉쇄하였음. - 선전시는 중국의 실리콘밸리라고 불리며, 중국 최대 인터넷기업 텐센트, 통신장비 업체 화웨이, 폭스콘 공장 등이 위치하고, 홍콩과 맞닿은 지역으로 홍콩과 대륙과의 관문 도시임. 선전시는 3월 13일 발표를 통해 △전체 시민을 대상으로 PCR 진행, △재택근무실시, △급수, 에너지, 통신, 환경, 식량 공급 등 생활을 위한 필수 공공서비스 기업을 제외한 모든 생산·경영 활동 중지, △불필요한 이동 및 활동 중지를 위해 대중교통 운행 중단 등을 시행하고, 상황에 따라 조정하겠다고 밝힘. - 선전시는 전수조사 결과 제로 코로나 지역으로 확인된 행정구역을 3월 18일부터 일부 봉쇄 해체하며, 도시 기능을 정상화함. - 선전 봉쇄로 공급망과 물류망 중단 등 세계 경제에 다양한 영향을 끼쳤음. 하지만, 여전히 제로코로나를 목표로 부분별 봉쇄 관리를 하고 있음. - 선전시 위생건강위원회는 일일 코로나19 발생현황을 발표하고, 확진자의 거주 단지를 봉쇄하고, 동선을 공개함. 선전의 신규확진자 수는 3월 13일 86명이었으며, 16일 91명, 23일 9명으로 집계됨. ▣ 지린성 최근 많은 신규확진자가 나오고 있는 지린성은 3월 14일부터 전면 봉쇄에 들어갔음. 랴오닝성의 성도인 선양시도 2022년 3월 24일부터 7일간 도시 전면 봉쇄에 나섬. - 선양시는 3월 14일부터 학교의 부분적인 휴교를 진행했고, 18일부터 실내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을 금지했음. - 선양시 주민들은 봉쇄 기간 3차례의 PCR 검사를 받게 될 예정임. 2022년 3월 22일 국가위생건강위원회는 방역관리 지침을 기존 도시 전체 3일 이내 검사 진행에서 검사 범위를 축소하고, 검사기한을 24시간으로 단축한 표적 방역으로 수정하겠다고 밝힘. <출처> 1. “ 于做好全市新一 核酸 工作的通告” 上海市 生健康委 . 2022. 3. 27. 2. 深 市 生健康委 (http://wjw.sz.gov.cn/)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코로나19 방역 정책, 제로 코로나
’제로 코로나‘는 중국의 종합적인 코로나19 확산 방지 정책으로 2021년 12월 11일 국무원 코로나 합동방역회의에서 처음 사용됨. 제로 코로나는 감염자 0명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확진자가 발생하면 짧은 시간 내에 통제하여 지속적인 전파를 막고, 추가 감염경로를 차단하는 것을 의미함. - 중국정부는 제로 코로나 정책을 시행하지 않는다면, 중국의 대규모 확산이 지속되어 의료체계 마비로 이어질 것을 우려 제로 코로나를 위해 ’네 가지 조기‘ 조치를 엄격히 시행함. - △ 조기 발견, △ 조기 보고, △ 조기 격리, △ 조기 치료 중국은 확진자가 발생한 아파트 단지를 봉쇄하고, 거주민 전수검사를 실시하는 방식을 시행 - 이러한 조치를 강화하여 2022년 3월 대도시들의 전면 봉쇄도 이뤄졌음. - 강력한 봉쇄식 방역 조치에 지친 중국 곳곳에서는 봉쇄에 항의하는 등 불만이 나오고 있음. 2022년 3월 15일 환추시보( 球 )는 ’중국은 왜 제로 코로나를 고수하는가?‘라는 제목의 기사를 게시하며, 중국 당국의 코로나19 책임자들을 인터뷰함. - 기사에서 중국 국가전염병의학센터( 家 染病 中心) 장원훙( 文宏) 주임은 급증하는 오미크론 확진자를 대응하는 방법은 철저한 확산 통제가 가장 중요하지만, 그 방법이 꼭 봉쇄식, 전수조사만은 아니라고 밝힘. 그러나 2022년 3월 22일 국무원 합동방역회의에서 제로 코로나 정책을 유지하고, 빠른 시일내 확산세를 막겠다고 발표함. - 이를 위해 더욱 꼼꼼한 방역과 지역 방역을 강화하겠다고 밝힘. - 지역 방역은 전체 방역의 가장 기본이자 최전방 방어지라고 표현하며, 엄격하고 빠른 방역 조치를 시행할 계획 2022년 3월 18일 국가위생건강위원회는 「지역 코로나19 PCR 검사 조직 실시 지침( 域新型冠 病毒核酸 施指南) 제3판」을 발표함. - 「지침」은 지난 2년간의 코로나19 검사 경험을 종합하여 가능한 한 빨리 감염자를 발견할 수 있는 체계를 재정비함. - 주요 개정 내용은 PCR 검사 대상자를 전수조사에서 특정 지역으로 축소한 것임. <출처> 1. “ 什 中 要 持“ 零”?多位 家剖析原因” 球 . 2022. 3. 15. 2. “ 持“ 零” 做好精准防控 快 制疫情 散蔓延 “ 人民日 . 2022. 3. 23.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오미크론 확진자 급증
2022년 3월부터 중국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다시 급증하고 있음. - 중국의 오미크론 확진자는 2021년 12월 9일 첫 발생 2022년 2월까지 일일 신규확진자를 두 자릿수로 유지해왔으나, 베이징 동계올림픽 폐막 후 오미크론 확산으로 중국의 강력한 봉쇄식 방역이 흔들림. - 2022년 3월 4일 102명을 시작으로 3월 26일 5,665명으로 집계됨. 유증상자 1,217, 무증상자는 4,448명 2022년 3월 26일 기준 지역별 확진자 수는 상하이가 2,678명으로 가장 많고, 지린성이 2,078명으로 집계 - 상하이의 신규확진자는 유증상자 47명, 무증상자 2,631명으로 무증상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음. 2022년 3월 21일 기준 중국의 백신 접종 횟수는 32억 3,036.7만 회이며, 접종 완료자 수는 12억 4,041.3만 명으로 인구의 87.98%에 달함. <출처> 1. “截至3月26日24 新型冠 病毒肺炎疫情最新情 ” 生 急 公室. 2022. 3. 27. 2. 바이두 코로나19 실시간 데이터 보고(https://voice.baidu.com/act/newpneumonia/newpneumonia/?from=osari_aladin_banner)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2년 1~2월 중국 재정수입 증가
2022년 3월 18일 재정부( 政部)는 2022년 1~2월 중국 재정(일반 공공예산) 통계 데이터를 발표함. - 2022년 1~2월 중국 재정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10.5% 증가한 4조 6,203억 위안으로 집계되었고, 재정지출액은 3조 8,227억 위안으로 최근 들어 가장 높은 수준임. 2022년 1~2월 중국 재정수입 중 세수는 4조 812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1% 증가함. - 일반 무역 수입이 14%에 증가함에 따라 수입 관련 세수는 전년 동기 대비 30.6% 증가함. - 수출환급금은 918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40.4% 증가하며 수출 모멘텀을 뒷받침함. 중국 비과세 수입은 5,391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7% 증가함. - 비과세 수입이 크게 상승한 주요 원인은 석유 특별수익금, 광물자원 특별수입 등 국유자원(자산) 유상 사용 수입이 빠르게 증가했고, 최근 일부 지역 토지 양도수익에서 계상된 교육자금 수입, 농경지 수리 건설자금 수입이 연초에 집중되면서 특별수입이 급증함. 중국 재정지출은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했고, 예산 지출 진도율은 14.3%로 최근 5년간 가장 높은 수준임. - 특히, 민생 관련 분야 지출이 증가함. 사회보장 및 고용 4.8%, 교육 9.1%, 위생·건강 4%, 도농지역 사회 7.6%, 농·임·수산 4.5%, 교통·운수 14% 증가함. 2022년 중국 국무원은 안정적인 경제 3조 6,500억 위안 규모의 지방정부 특별채권을 발행하기로 함. <출처: “今年前2 月 政收入 平 局 民生和重点 域支出得到有力保障” 日 . 2022. 3. 19.>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2년 2월 중국 주택 매매가 변동 현황
2022년 3월 16일 국가통계국( 家 局)은 2022년 2월 상품주택 매매가 현황을 발표함. - 2022년 2월 중국 70대 도시 가운데 1선 도시 신축주택과 구축주택 매매가는 전월 대비 상승하였고, 2·3선 도시는 보합 또는 하락함. - 1·2선 도시 주택 매매가는 동기 대비 상승 또는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3선 도시는 동기 대비 하락함. - 70대 도시의 1·2·3선 도시 구분은 다음과 같음. 1선 도시(4개): 베이징(北京), 상하이(上海), 광저우( 州), 선전(深 ) 2선 도시(31개): 톈진(天津), 스자좡(石家庄), 타이위안(太原), 후허하오터(呼和浩特), 선양(沈 ), 다롄(大 ), 창춘( 春), 하얼빈(哈 ), 난징(南京), 항저우(杭州), 닝보( 波), 허페이(合肥), 푸저우(福州), 샤먼(厦 ), 난창(南昌), 지난( 南), 칭다오( ), 정저우( 州), 우한(武 ), 창사( 沙), 난닝(南 ), 하이커우(海口), 충칭(重 ), 청두(成都), 구이양( ), 쿤밍(昆明), 시안(西安), 란저우( 州), 시닝(西 ), 인촨( 川), 우루무치( 木 ) 3선 도시(35개): 탕산(唐山), 친황다오(秦皇 ), 바오터우(包 ), 단둥(丹 ), 진저우( 州), 지린(吉林), 무단장(牡丹江), 우시(无 ), 쉬저우(徐州), 양저우( 州), 원저우( 州), 진화(金 ), 벙부(蚌埠), 안칭(安 ), 취안저우(泉州), 구장(九江), 간저우( 州), 옌타이(烟台), 지닝( ), 뤄양(洛 ), 핑딩산(平 山), 이창(宜昌), 샹양(襄 ), 웨양(岳 ), 창더(常德), 사오관(韶 ), 잔장(湛江), 후이저우(惠州), 구이린(桂林), 베이하이(北海), 싼야(三 ), 루저우( 州), 난충(南充), 쭌이(遵 ), 다리(大理) ▣ 1선 도시 신축주택과 구축주택 매매가는 전월 대비 상승, 2·3선 도시는 전월 대비 보합 또는 하락 2022년 2월, 1선 도시 신축주택 매매가는 전월 대비 0.5% 상승하였고, 상승폭은 전월 대비 0.1%p 하락함. - 2선 도시 신축주택 매매가는 전월 대비 0.1% 상승하며 보합세로 돌아섰으며, 구축주택 매매가는 전월 대비 0.3% 하락하며 하락폭은 0.1%p임. - 3선 도시 신축주택 매매가는 전월 대비 0.3% 하락했으며, 전월 대비 하락폭은 0.1%p임. 구축주택 매매가는 전월 대비 0.4% 하락함. 1선 도시별 신축주택 매매가는 베이징 0.6%, 상하이 0.5%, 광저우 0.6%, 선전 0.4%로 전월 대비 각각 상승했고, 구축주택 매매가는 베이징 0.7%, 상하이 0.9%, 광저우 0.9%, 선전 0.2%로 전월 대비 각각 하락함. 2022년 2월 70개 도시 중, 신축주택과 구축주택 매매가가 전월 대비 상승한 도시는 각각 27개와 10개로 증가하였고, 전월 대비 감소한 도시는 각각 40개 도시와 57개로 집계됨. ▣ 1, 2선 도시 신축주택과 구축주택 매매가는 전년 동월 대비 상승 혹은 보합세 유지, 3선 도시는 하락 2022년 2월, 중국 1선 도시 신축주택 매매가는 전년 동월 대비 4.4% 상승하였고 상승폭은 같은 수준임. 구축주택 매매가는 동기 대비 3.5% 상승하였고 상승폭은 전년도 전월대비 0.6%p 하락함. - 2선 도시 신축주택과 구축주택 매매가는 동월 대비 각각 2.1%, 0.3% 상승하였고 상승폭은 전월 대비 각각 0.4%p, 0.7%p 하락함. - 3선 도시 신축상품 주택 매매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0.1% 하락했고, 구축주택은 1.3% 하락하였으며 하락폭은 전월 대비 0.6%p 확대됨. 2022년 2월 70개 도시 중, 신축주택과 구축주택 매매가가 전년 동월 대비 상승한 도시는 각각 46개와 30개이고, 감소한 도시는 각각 24개와 39개로 집계됨. <출처: “ 家 局城市司首席 解 2022年2月 商品住宅 价格 情 据” 家 局. 2022. 3. 16.>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