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중국 민영기업 수 10년간 두 배 이상 증가
2022년 3월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 家市 督管理 局)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21년까지 중국 민영기업 수는 1,085.7만 개에서 4,457.5만 개로 10년 새 두 배 이상 증가함. - 전체 기업 중 민영기업의 비중은 79.4%에서 92.1%로 성장하며, 중국 경제사회의 안정성장, 혁신 촉진, 고용증대, 민생 개선 등에 이바지함. 2021년 중국 신규 민영기업 수는 852.5만 개로 전년 동기 대비 11.7% 증가하였고, 말소 민간기업 수는 390.1만 개이며, 그 비율은 2.2:1로 민영기업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2022년 1~2월, 민영기업의 수출입 증가율은 16.1%이고, 전체 수출입 비중의 48.2%이며 전년 동기보다 1.1%p 증가함. 2020년 이후, 당 중앙위원회, 국무원은 고용안정, 민생 보호, 시장보장을 거시경제 정책 기조로 삼고, 조세, 금융, 고용, 사회보장 등 다방면의 포괄적 지원책을 시행함. - 이와 같은 정책조치로 민간기업의 발전환경이 지속해서 개선되었고, 민영기업의 세수 공헌율은 전체 비중의 50% 이상, 투자 비중의 60% 이상, 발명혁신 비중의 70% 이상을 차지함. - 2022년 1월 8일 중국 최초 민간자본투자 사업인 ‘항타이 고속철도(杭台高 )’가 개통되는 등 점차 많은 민영기업이 국가 핵심 산업에 진출하고 있음. 항타이 고속철도는 저장성의 항저우(杭州)시에서 타이저우(台州)시까지 운행하며 길이는 226㎞, 최고시속은 350㎞로 설계됨. 민영기업인 푸싱(復星)그룹의 지분율이 51%임. 2019년, 중국 중앙공산당과 국무원은 《더 나은 발전환경을 조성하여 민영기업의 개혁 발전을 지원하는 의견( 于 造更好 展 境支持民 企 改革 展的意 )》을 통지하여 국가 주도의 비효율성을 탈피하고, 시장진출을 위한 행정비준 조건 등을 더욱 간소화함. - ‘금지하지 않으면 진입하고, 제한하지 않으면 진입한다(非禁 入,非限 入)’는 원칙에 따라, 민영기업의 시장진입장벽을 허물고 충분한 발전 공간 마련함. <출처: “我 民 企 量10年 番 成 推 社 展重要力量” 人民日 . 2022. 3. 23.>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규모 세계 1위
2022년 3월 10일 공업정보화부(工 和信息化部) 발표에 따르면 2021년 중국 제조업 부가가치 규모는 31조 4,000억 위안으로 전체 GDP 비중의 27.4%를 점유함. - 2010년부터 중국의 제조업 부가가치 규모는 12년 연속 세계 1위를 차지함. 2012년 공업 부가가치 규모는 20조 9,000억 위안에서 2021년 37조 3,000억 위안으로 증가함. - 그중 제조업 부가가치는 16조 9,800억 위안에서 31조 4,000억 위안으로 증가함. 중국은 공산품 생산량 세계 1위로 UN이 분류한 모든 상품 유형을 생산하고 있음. - 2021년 중국의 규모 이상 산업 부가가치 증가율은 9.6%로 2020년보다 6.8%p 상승했고 2년 평균 6.1% 증가함. 태양광·풍력발전·선박 등 산업 사슬의 국제 경쟁우위가 강화되면서 컨테이너 생산량은 전년 동기 대비 110.6% 증가하였고 반도체 생산량은 33.3% 증가함. - 신형 디스플레이, 공작기계, 신소재 등의 분야에서 단계적 성과를 거둠. 중국의 첨단기술 제조업은 18.2%, 장비 제조업은 12.9% 증가했고, 규모 이상 공업의 성장 기여도는 각각 28.6%, 45%에 달함. - 규모 이상 공업단위 에너지 소비량은 전년 동기 대비 5.6% 감소함. 중국의 5G 기지국은 142만 5,000개, 5G 휴대전화 단말기 접속 수는 5억 2,000만 가구에 달하는 등 세계 최대 규모의 광섬유와 이동통신망을 구축함. - 중국 제조업의 디지털화·녹색화 전환 속도는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음 - 또한 제조업의 중점분야 핵심 공정 제어율은 55.3%, 디지털 R&D 설계 도구 보급률은 74.7%에 달하는 등 경제사회 발전의 동력을 제공함. <출처: “我 制造 增加 12年世界第一” 人民日 . 2022. 3. 10.>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1년 중국의 결제시스템 현황
2022년 4월 2일 중국인민은행은 「2021년 지급결제시스템 운영 현황(2021年支付 系 行 情 )」을 발표함. 중국의 지급결제 수단은 크게 예금계좌와 비현금 결제 서비스로 나눔. - 비현금 결제 서비스는 카드, 어음, 지로결제, 전자결제 등이 있음. 2021년 중국의 은행 계좌 수는 136.64억 개로 전년 대비 9% 증가했으나, 증가세는 1.43%p 둔화함. - 기업 계좌 수는 증가했으나, 개인 계좌 수의 증가는 둔화함. 비현금 결제 서비스는 4,395.1억 건으로 금액은 4,415.56조 위안으로 각각 23.9%, 10% 증가함. 2021년 중국에 발급된 은행카드는 종 92.47억 장으로 전년 대비 3.26% 증가했고, 그중 체크카드 84.47억 장, 신용카드 8억 장으로 각각 3.3%, 2.85% 증가했음. - 중국의 1인당 평균 체크카드 보유량은 6.55장이고, 신용카드는 0.57장임. - 은행카드 결제 건수는 4,290.2억 건, 결제액 규모는 1,002.1조 위안에 달해, 전년 대비 각각 24.2%, 12.9% 증가함. 2021년 중국의 수표발행 건수는 전년 대비 8.5% 하락한 1.37억 건이며, 규모도 9% 하락한 112.65조 위안으로 집계됨. - 그러나 전자어음의 발행 건수와 규모는 증가했음. 2021년 중국의 은행 전자결제 서비스는 2,749.7억 건으로 규모는 2,976.22조 위안임. - 그중 인터넷 결제 건수는 1,022.8억 건, 모바일 결제는 1,512.3억 건, 결제 금액은 각각 2,354조 위안, 527조 위안으로 집계됨. - 비은행 지급결제 서비스는 대표적으로 알리페이가 있으며, 결제 건수는 1조 283.2억 건, 결제 355.5조 위안으로 각각 24.3%, 20.7% 증가함. <출처: 中 人民 行(2022), 「2021年支付 系 行 情 」>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 외환보유액과 위안화 결제
▣ 외환보유액 중국인민은행 국가외환관리국이 발표한 2022년 3월 중국의 외환보유액은 3조 1,880억 달러이며, 전월 대비 258억 달러(0.8%) 감소하여 3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임. - 2022년 4월 1일 기준 위안화 환율은 달러당 6.3482위안임. ▣ 위안화 결제 2022년 1분기 국경 무역 위안화 결제 규모는 2조 700억 위안이며, 위안화 직접투자 결제는 1조 4,300억 위안 발생함. - 그중, 국경 간 화물무역 1.59조 위안, 서비스무역 4,800억 위안, 해외직접투자 3,900억 위안, 외국인직접투자 1.43조 위안으로 집계됨. 2022년 1월 국제결제시스템(SWIFT)가 발표한 국제 결제 통화 비중 순위에서 중국 위안화는 4위로 3.2%를 차지함. <출처: 인민은행 홈페이지(http://www.pbc.gov.cn/)>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2년 중국 통화정책
중국 금융당국이 가용 가능한 통화정책은 3가지로 꼽을 수 있음. - 대출우대금리, 예금지급준비율, 중기유동성지원창구로 각각의 추이를 살펴봄. ▣ 대출우대금리(LPR) 중국의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1년 만기 대출우대금리(LPR, Loan Prime Rate)는 2022년 1월 3.7%로 인하한 후 3개월째 동결함. - 5년 만기 LPR은 4.6%로 유지 현재 미국을 포함한 경제 선진국들은 통화긴축 정책으로 금리를 인상하고 있으나, 중국은 경제둔화로 금리인하 정책을 펴고 있음. - 중국의 금리가 추가 인하되면 해외로의 자본 유출이 가속화될 우려가 있음. - 그러나, 상하이 봉쇄, 부동산 리스크 등으로 추가 인하 가능성은 충분함. ▣ 예금지급준비율(RRR) 중국인민은행은 2022년 4월 15일 예금지급준비율(RRR, Reserve Requirements Rate)을 11.25%로 0.25%p 인하함. - 이번 인하로 5,300억 위안의 자금을 시중에 풀게 됨. 이번 지급준비율 인하의 목적은 세 가지임. - 첫째, 금융기관의 자금구조를 최적화하여, 장기적으로 안정 자금 공급원을 늘려 분배 능력을 강화하고, 실물경제에 대한 지원 강화 - 둘째, 코로나19로 피해가 큰 업종과 중소기업·영세기업 지원 - 셋째, 금융기관은 연간 약 65억 위안의 자금조달비용을 줄일 수 있음. ▣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중국인민은행은 2022년 4월 15일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MidTerm Lending Facilities)을 2.85%로 유지한다고 발표 - MLF는 인민은행이 시중에 자금으로 공급해, 유동성과 금리를 조절하는 수단으로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LPR)를 결정하는데도 영향을 미침. 전문가들은 중국정부가 코로나19 오미크론의 확산으로 금리를 인하해 경기부양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으나, 금리를 동결하며 금리 속도 조절에 나섬. <출처> 1. 인민은행 홈페이지(http://www.pbc.gov.cn/) 2. “央行: 施 健 政策 保持流 性合理充裕” 和 . 2022. 4. 15.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2년 1분기 중국 통화공급량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2022년 4월 11일 「2022년 1분기 금융통계 데이터 보고(2022年一季度金融 据 告)」를 발표함. ▣ 통화공급량 증가 2022년 3월 말, 중국 광의통화(M2) 잔액은 249조 7,700억 위안으로 전년 1분기 대비 9.7%, 전월 대비 0.5%p, 전년 동월 대비 0.3%p 증가함. 협의통화(M1) 잔액은 4.7% 증가한 64조 5,1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p 낮아짐. 본원통화(M0) 잔액은 전년 동기 대비 9.9% 증가한 9조 5,100억 위안을 기록함. - 2022년 1분기에 중국 시중에 풀린 현금은 4,317억 위안임. ▣ 위안화 신규 대출 규모 2022년 1분기 위안화 신규 대출은 8조 3,4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6,636억 위안 증가했음. - 주택담보대출이 1조 2,600억 위안을 기록했고, 그중 단기대출과 중장기대출은 각각 1,943억 위안, 1조 700억 위안 증가했음. - 기업 대출은 7조 800억 위안 증가했고, 그중 단기대출 2조 2,300억 위안, 중장기대출 3조 9,500억 위안, 어음대출 8,027억 위안 증가함. - 비은행업 금융기관 대출은 81억 위안 감소함. 2022년 3월 위안화 신규 대출 규모는 3조 1,300억 위안으로 전월 대비 3배 증가했고. 전년 동월 대비 3,951억 위안 증가함. <출처: 인민은행 홈페이지(http://www.pbc.gov.cn/)>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2022년 중국인 수면의 양과 질
2022년 3월 21일 중국사회과학원 사회학연구소(中 社 科 院社 究所)와 시린먼수면연구원(喜 睡眠 究院)은 공동으로 「중국 수면 연구보고서(2022) (中 睡眠 究 告)」를 발표함. - 2021년 중국인의 수면 지수와 수면 상태 변화에 대한 집단별 수면조사를 실시하고 수면과 심리적 건강 및 삶의 질과의 관계에 대해 분석함.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인의 하루 평균 수면시간은 매년 짧아지고 있으며 수면의 질도 나빠지고 있음. - 응답자 64.75%의 수면시간은 하루 8시간 미만이고, 7.97%만이 8시간 이상 수면한다고 응답함. - 특히, 초보 부모, 대학생, 직장인, 초·중고생에게서 수면 문제가 두드러지고 있음. 건강 중국 행동 추진위원회(健康中 行 推 委 )가 권장하는 초등학생 하루 수면시간은 10시간, 중학생은 하루 9시간임. - 솽젠정책( 政策, 사교육·숙제 부담 완화 정책)시행 이후, 초중고 학부모 응답자 61.53%가 자녀의 취침 시간이 당겨졌다고 응답했으나, 응답자 50.48%는 자녀의 수면시간은 여전히 8시간 이하라고 응답함. 대학생의 경우 수면의 질은 좋으나, 응답자 89%가 잠들기 전 휴대전화 사용으로 취침 시간이 늦어진다고 답하는 등 수면지연증후군이 있는 것으로 조사됨. 직장인은 업무 스트레스, 업무 반추, 환경적 요인 등으로 응답자 50% 이상이 아침 7시에 일어나고, 60% 이상은 수면시간이 8시간 미만인 것으로 나타남. - 디지털문화의 발전으로 대부분 직장인이 잠이 오지 않고, 수면 부족, 수면의 질이 떨어지는 문제를 초래함. 보고서에 따르면, 심각한 불면증이 있는 사람은 일반인보다 우울증을 겪을 가능성이 4배가량 높은 것으로 조사됨. - 수면의 질이 나쁘거나 수면장애가 있는 그룹은 정상수면 그룹에 비해 면역력이 떨어져 비만, 심장병, 당뇨병 등에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남. - 35~55세 중 수면시간이 6시간 미만인 그룹은 7시간 미만 그룹보다 고혈압 발병 위험률이 56% 이상 높았고, 5시간 미만이면 94%에 이름. 높은 수면의 질은 개인의 신체적 피로를 해소할 뿐만 아니라, 건강한 심리발달에도 큰 도움이 됨. - 현재 중국인의 수면 질은 전반적으로 좋은 상태로 삶이 행복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됨. <출처: “ 睡眠日 《中 睡眠 究 告2022》 布” 新 . 2022. 3. 21.>
홈 > 최신중국동향 -
[관광] 2022년 1분기 중국 관광객 유동량
2022년 4월 6일 중국관광연구원 문화관광부 데이터센터(中 旅游 究院文化和 旅游部 据中心)와 차이나텔레콤 관광빅데이터연합실험실(中 信旅游大 据 合 室)은 공동으로 「2022년 1분기 여행객 유동 데이터(2022年第一季度 旅游客流 据)」를 발표함. - 보고서는 2022년 1분기 중국 여행객 유동 데이터를 통해 관광시장 현황, 시장 회복 상황, 관광객 추세 등을 분석하고 전망함. 2022년 1분기, 중국 전체 여행객 방문율이 높은 도시는 △1선 도시인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일부 도시를 중심으로 한 청두, 정저우, 충칭, 우한, 허페이, 난징, 쿤밍, 구이양, 시안, 항저우 등 도시군 △계절성 인기 도시인 우루무치, 하얼빈, 창춘, 선양 등임. - 또한 지급시(地 市)별 인기 여행지는 화베이 5개 성인 베이징, 톈진, 허베이, 산둥, 허난과 창장삼각주의 상하이, 저장, 장쑤, 동남 연해도시와 서남 지역인 청두, 충칭, 쿤밍, 구이양에 많은 여행객이 몰림. - 1선 도시와 성회도시에서 유출되는 여행객 비중이 크지 않고 이들 도시를 둘러싼 주변 도시가 중요한 관광지로 부상함. 2022년 1분기, 중국 여행 선호 도시는 선전, 상하이, 샤먼, 광저우, 하이커우, 난징, 정저우, 포산(佛山), 우한, 베이징 순으로 조사됨. - 2월 여행 선호 도시는 시안, 청두, 구이양, 허페이, 우시, 쯔공(自 )으로 조사됨. 2022년 2월 관광객 체류시간은 춘절 장기연휴 영향으로 1, 3월보다 길었으나 관광 거리반경 변화는 크지 않음. - 2022년 1분기 타지역 유입 관광객의 평균 체류시간은 60시간, 현지 관광객은 45시간 미만이었으며, 타지역 유입 관광객의 평균 관광 거리반경은 519㎞이고 현지 관광객은 351㎞ 미만으로 조사됨. 2022년 1분기, 지급시 유출 관광객 회복률은 유입 관광객 회복률보다 양호하며, 여행지는 분산됨. - 평균 유입 관광객 회복률은 30%이며, 80% 이상 지급시의 회복률은 50% 이하에 그침. 관광객 회복률이 가장 높은 도시는 신장과 티베트 일부 지역이고 지린, 쓰촨, 간쑤 등 일부 도시의 회복률은 2019년 같은 기간의 50~75%임. - 중국 대부분 지급시의 회복률은 2021년 동기 대비 마이너스를 기록함. <출처: 中 旅游 究院(2022), 「2022年第一季度旅游客流 据」>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2021년 중국 숙박산업 트렌드
2022년 4월 중국 온라인 여행 플랫폼 퉁청(同程) 여행은 「2021년 중국 숙박산업 발전 및 소비동향 보고서(2021中 住宿 展及消 告)」를 통해 2022년 중국 국내관광업은 낙관적이나 해외여행은 아직 불투명한 상황으로 전망함. - 또한, 코로나19가 숙박산업 규모 확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프랜차이즈화에는 영향이 없었던 것으로 분석함. 2020년부터 2021년 초까지, 중국 숙박시설(호텔 및 기타 숙박업 포함)의 총규모는 60만 8,146개에서 44만 7,178개로 26.5% 감소함. - 그중 호텔은 33.8만 개에서 27.9만 개로 17.4% 감소하였고, 기타 숙박업은 27만 개에서 16.8만 개로 37.8% 감소함. - 중소도시의 숙박산업 감소 현상은 미미하였으나 성급 도시는 상대적으로 두드러짐. 특히, 2성급 비즈니스호텔과 3성급 중급 호텔의 감소가 큼. ▣ 숙박산업 트렌드 : 프랜차이즈화, 경영 다각화, 스마트화 코로나19 침체국면에도 호텔 프랜차이즈화 통해 리스크를 최소화함. - 중국 전체 호텔 수는 전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5성급 고급 호텔을 제외한 모든 유형의 프랜차이즈 호텔 객실 수는 상승세를 유지함. 2성급 이하 비즈니스호텔의 프랜차이즈화율은 20.9%에서 25.3%로, 3성급 중형 호텔은 34.7%에서 39.5%, 4성급 고급 호텔은 22.5%에서 31.8%로 각각 증가함. 4성급 고급 호텔의 프랜차이즈화율이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하였으나, 5성급 고급 호텔은 58.6%에서 53.2%로 소폭 하락함. 최근 호텔은 주요 기능인 숙박을 넘어 레저, 엔터테인먼트, 소셜네트워크 등이 접목된 ‘숙박+X’ 방식인 e스포츠 호텔, 영화호텔, 피트니스 호텔, 크라임씬 호텔 등이 생겨나며 경영방식을 다각화함. - 2020년 e스포츠 호텔의 예약량은 2019년 대비 165.6% 증가하였고, 2021년 1~6월 예약량은 2020년 대비 17% 증가함. 코로나19 시대, 호텔 로봇 서비스 등 비대면 서비스 수요가 증가하면서 숙박산업의 디지털 스마트화는 더욱 가속되고 있음. - 중국 국내 숙박산업의 디지털 스마트화 발전은 크게 3단계로 나눌 수 있음 1단계(2000년 이전) : 호텔 관리가 기계화·자동화로 발전 2단계(2000년~2011년) : 중국 인터넷 산업 발전으로 호텔 운영관리 프로그램이 디지털· 온라인화로 전환 3단계(2012년~현재) : 사물인터넷 및 5G 상용화로 스마트시대를 앞당겼으며 이는 호텔의 운영관리 나아가 경영방식에 영향 미침. <출처: 同程旅行(2022). 「2021中 住宿 展及消 」>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2021년 중국 자산가 현황
2022년 4월 14일, 후룬연구원(胡 究院)은 이차이(意才)와 공동으로 「2021년 부호 보고(意才·胡 富 告)」를 발표함. 중국 부유층의 총재산은 160조 위안으로 전년 대비 9.6% 증가하여 중국 연간 GDP의 1.6배에 달함. - 재산 구조는 고정자산과 투자 가능 자산으로 나눔. 고정자산은 부동산, 비상장 주식을 포함하고, 투자 가능 자산은 투자성 부동산, 유동자산, 주식, 기금, 펀드, 채권, 보험, 예금 등이 포함됨. 부유층이 보유한 160조 위안 중 투자 가능 자산은 49조 위안으로 전체 재산의 30%에 달함. - 부유층의 자산 중 18조 위안은 10년 내, 49조 원은 20년 내, 92조 원은 30년 내 자녀에게 물려줄 것으로 예측됨. 지난 1년간, 중국의 신에너지, 반도체, 바이오, 스포츠 관련 산업은 빠르게 성장했고 부동산, 온라인 교육, 양돈산업, 게임 업종의 성장은 둔화함. - 기업 자산가는 새로운 부 창출을 위한 산업 모델 개발과 기회를 모색함. 보고서에서는 가구의 보유 자산 규모를 600만 위안(한화 약 11.3억), 천만 위안(한화 약 18.9억), 1억 위안(한화 약 189.6억), 3,000만 달러(한화 약 379.8억)로 구분함. - 한화 환산은 2022년 5월 2일 매매기준율 기준 2021년 중국의 600만 위안 이상 보유한 자산 가구는 508만 가구에 이르며 전년 대비 7만 가구 늘었고 1.33% 증가함. - 그중 투자 가능 자산 600만 위안을 보유한 가구는 183만 가구에 달함. 1,000만 위안 이상 보유한 고액 가산 가구는 206만 가구로 전년 대비 4만 가구 증가하였고 1.95% 증가하였고, 1억 위안 이상 보유한 초고액 자산 가구는 13만 3,000가구로 전년 대비 3,300가구 증가했으며 증가율은 2.54%임. 중국의 3,000만 달러의 자산을 가진 세계 수준의 자산 가구는 8만 9,000가구로 전년 대비 2,400가구 증가하였고 증가율은 2.79%임. 도시별 고액 자산 가구 수는 베이징, 상하이, 선전, 광저우, 항저우, 닝보, 포산, 둥잉, 원저우, 샤오싱 순으로 집계되었음. - 베이징의 고액 자산 가구는 29.8만 가구로 전체의 14.4%의 비중을 차지함. 2위인 상하이는 26.2만 가구로 1위인 베이징과 3.6만 가구의 격차를 보임. <출처: “胡 富 告:206万 中 家庭 超1000万, 京占比超四成” 代周 . 2022. 4. 15.>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