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중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소비쿠폰 발행
중국 국무원은 2022년 4월 25일 코로나19로 인한 봉쇄 조치로 둔화한 소비를 활성화하기 위해 「소비잠재력 해소와 소비 회복 촉진을 위한 의견( 于 一步 放消 力促 消 持 恢 的意 )」을 발표함. - 「의견」은 중국 국민의 소비 경제 발전에 기초를 다지고, 내수시장 발전 등을 위한 5개 분야 20개 조치를 포함 소비쿠폰 발행은 「의견」의 소비 촉진의 수단 중 하나로 활용되고 있음. - 쿠폰 발행 업종은 코로나19로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요식업, 문화관광업, 레저 등의 업종 외에 자동차 소비쿠폰을 발행한 지역도 있음. 산둥성은 자금 5억 위안으로 자동차 소비쿠폰 15만 장을 발행했고, 광둥성 포산(佛山)은 해당 지역의 주요 산업과 관련된 가전제품 소비쿠폰을 발행했음. 소비쿠폰은 정부가 출자하고, 인터넷기업 플랫폼을 통해 온라인으로 발급하고 기업들이 협조하는 방식으로 진행됨. - 각 지방정부는 위챗 등의 App를 통해, 특정 기간 내 판매·선착순·추첨 등의 방식으로 발급하고, 주요 플랫폼은 위챗, 알리페이(Alipay, 支付 ), 징둥(京 , JD.COM), 메이퇀(美 ) 등임. 베이징대학교 광화관리학원(光 管理 院)과 앤트금융연구원( 金服 究院)이 공동으로 발표한 보고에 의하면 정부가 1위안의 소비 쿠폰을 발행하면 평균 약 3.5위안의 새로운 소비가 발생한다는 결과가 도출됨. - 여러 지역과 플랫폼은 레버리지 효과까지 포함하면 5배에서 10배에 이름. 위챗 플랫폼 데이터에 따르면 2020~2021년 위쳇페이를 통해 정산된 소비쿠폰 금액은 229억 위안이며, 5,200억 위안의 소비가 창출됨. - 닝샤 인촨지역의 경우, 2022년 3월 초부터 6월 6일까지 13차례 정부 소비쿠폰이 발급되었고, 참여자는 260만 명, 온라인 결제 횟수는 55.7만 회, 직접거래액은 1.5억 위안으로 집계되었으며, 이로 인한 간접 소비는 19억 위안에 달함. 반면, 소비쿠폰 발급과 사용에서 미흡한 점이 존재함. - 주로 App나 온라인으로 발급하는 소비쿠폰은 젊은 세대에게 유리해, 연령대가 높은 소비자들 획득 경쟁력에서 밀려남. - 또한 소비쿠폰의 사용 규정이 완벽하지 않아, 어렵게 얻은 쿠폰을 사용하지 못하거나, 특정 비용은 쿠폰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 - 일부는 소비쿠폰 거래, 재판매가 이루어지기도 하고, 쿠폰을 사용하면 일반 가격보다 비싸게 비용을 청구하는 일도 있음. 소비쿠폰 효과에 대해 중국 전문가들은 다양한 의견과 방법을 제시함. - 소비쿠폰이 필요한 저소득자 또는 코로나19로 직접 피해를 받은 사람을 집중 대상으로 한 발급 방안을 모색하고, 디지털 기술로 실시간 쿠폰의 수요와 효과를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 - 지금과 같은 온라인 중심 발급 방법과 함께 특정지점에서 종이 쿠폰으로 발급하여 오프라인에서 쓰는 방법 제안 - 디지털 위안화와 연계해 정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방안 현재 베이징과 정저우에서는 친환경 소비쿠폰을 발급해 소비자들이 친환경 상품을 구매하도록 장려함. 공안기관은 소비쿠폰의 사용으로 문제가 되는 환매, 현금성 상품권 환매, 사행성 상품권 투기 등 부정 사용에 대한 단속을 지속할 것임. <출처: “全 多地 消 券之后的市 察” 新 . 2022. 6. 13.>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2년 6월 중국 대도시 봉쇄 해제 현황
중국은 2022년 3월 오미크론 확진자 급증으로 지역 봉쇄 조치에 들어갔음. - 상하이, 베이징, 선전, 지린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봉쇄로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침. 2022년 6월 중국의 도시 봉쇄 조치가 대부분 해제되어 일상 회복에 나섬. - 전면적인 봉쇄 조치가 해제되었으나, 도시 지역을 세분화한 방역 조치를 이어 감. 2022년 중국의 현지 발생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3월 1일 75명을 시작으로 4월 28일 5,646명이 확진되어 최고점을 기록하고 빠르게 감소했음. 상하이시는 3월 28일부터 시작한 단계적 봉쇄 조치를 6월 1일부로 해제하고 정상화를 추진하였으나, 지속적인 감염자 발생으로 다시 방역 강도를 높이고 있음. - 봉쇄 범위는 5월 말 확진자 발생 주거단지로 축소했으나, 재확산 기미가 보이자 범위를 확진자 발생지 가로, 세로 각각 1㎞로 확대함. 베이징은 6월 6일부터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봉쇄를 해체했으나, 해제한 지 일주일만의 도심 클럽발 감염 확산으로 9일~11일 사흘간 115명이 확진되어 확진자들이 거주하는 단지를 봉쇄하고 학생들의 전면 등교 계획을 연기하였음. 베이징시정부는 2022년 6월 2일 「베이징시 코로나19 방역 및 경제 안정·성장에 관한 실시방안(北京市 疫情防控和 定 增 的 施方案)」을 발표하여 도시 정상화를 위한 정책을 제시함. - 방안은 6개 분야 45개 조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기업의 어려움 해소, 산업네트워크 형성뿐만 아니라, 베이징의 기업이 업계 우위를 점해 선도할 수 있는 역할과 첨단산업 육성 등의 내용을 담고 있음. <출처> 1. “重磅解 !6方面45 !北京版“ 防疫情 一 子政策措施” 了” 北京商 . 2022. 6. 2. 2. 疫情 大 据 告(https://voice.baidu.com/act/newpneumonia/newpneumonia/?from=osari_aladin_banner)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2년 6월 중국 28개 은행 정기예금 금리
2022년 6월 20일 경제 신문사 중신징웨이(中新 )에 따르면, 중국 6대 국유은행 중 우정저축은행을 제외한 5대 국유은행 정기예금 상품의 기간별 이율이 같음. - 5대 국유은행의 금리는 3개월 1.35%, 6개월 1.55%, 1년 1.75%, 2년 2.5%, 3년 2.75%, 5년 2.75%로 동일함. - 우정저축은행은 6개월, 1년 금리가 각각 1.56%와 1.78%로 다소 높음. 기존 4% 이상 금리는 찾기 어려움. 중국 12개 주식제 상업은행과 10개 도시 상업은행의 예금 금리는 국유은행보다 높음. - 핑안은행, 싱예은행, 푸파은행, 광다은행, 중신은행, 민성은행, 화사은행, 광파은행의 정기예금 금리는 평균적으로 3개월 1.4%, 6개월 1.65%, 1년 1.95%임. 동일 기간 5대 국유은행 상품과 비교시 5bp, 10bp, 20bp 높은 수준임(1bp=0.01%포인트). - 12개 주식제 상업은행의 2년 만기 금리는 2.35%~2.65%, 3년 만기 금리는 2.75%~3.25%, 5년 만기 금리는 2.80%~3.25%로 국유은행보다 높음. 10개 도시 상업은행 중 청두은행의 금리가 가장 높고, 샤먼국제은행, 청두은행, 창사은행의 3년, 5년 정기예금 금리가 비교적 높은 편임. 일반적으로 금리는 예치 기간이 길수록 금리가 높으나, 3년 만기와 5년 만기 금리가 역전을 보이기도 함. - 건설은행의 경우 1만 위안 이상을 예금할 경우, 3년 만기는 3.15%, 5년 만기는 3.05%로 3년 만기 금리가 더 높음. - 또한 여러 은행에서는 5년 양도성예금증서는 잘 판매하지 않고, 대부분 1년, 2년 만기를 판매하고 있음. - 은행들은 3년 이하의 예금을 권장하고 있는데, 이는 만기가 길어질수록 원가가 높아지기 때문에 5년 만기 금리가 낮아진다고 설명함. <출처: “ 28家 行存款 品:4%以上年利率 ,50万存三年利息少近万” 中新 . 2022. 6. 20.>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첫 글로벌 발전 보고서 발간
2022년 6월 20일 중국국제발전지식센터(中 展知 中心)는 「글로벌 발전 보고서(全球 展 告)」를 최초 발표함. - 이는 중국이 ‘글로벌 발전 이니셔티브’ 선언 후 처음 발표한 종합연구보고서로 2030년 지속가능발전 목표 이행에 따른 국제사회의 성과와 당면 과제를 분석함. ▣ 위생·건강 발전 2000년부터 2019년까지 전 세계 기대수명은 66.8세에서 73.3세로 늘어났고, 건강 기대수명은 58.3세에서 63.7세로 늘어남. - 같은 기간, 전 세계 5세 이하 아동 사망률은 76%에서 38%로 감소함. - 5세 이하 발달지연 아동은 2015년 대비 2.4%p 감소한 2020년 1,420만 명임. ▣ 에너지·전기통신 등 인프라 보급률 확대 전 세계 전력 공급 수준은 2010년 83%에서 2019년 90%로 증가함. 재생에너지가 최종 에너지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16.4%에서 2018년 17.1%로 상승함. 2021년 세계 인구 95%가 모바일 광역대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고, 2015년 이후 4G 보급률은 두 배로 증가해 전 세계 인구의 88%가 사용 가능함. ▣ 생태환경 보호 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2014년 이후 지속해서 감소해 2018년 59억 톤에 이름. - 2020년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현저히 감소함. 세계 해양생물다양성 핵심지역 중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면적이 2000년 28%에서 2020년 44%로 증가함. 2022년 5월, 90개 국가에서 환경경제통합계정체계(SEEA)를 시행 중이며 2017년 대비 30% 증가함. ▣ 지속가능발전 글로벌 파트너십 지표 개선 2016년부터 OECD 회원국의 공적개발원조 규모가 증가하여 2021년 1,789억 달러로 신기록 달성 유엔 무역개발회의(UNCTAD)이 발표한 「세계투자보고서 2021」에 따르면, 2020년 코로나19 영향에도 저개발국 대상 외국인직접투자 투자 총액은 1.5%에서 2.4%로 증가했고, 2003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임. <출처: “全球 展 告:全球人口 期 命增 至73.3 ” 中新 . 2022. 6. 20.>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 10년간 공업・정보화 성과
2022년 6월 14일 중국공산당 중앙선전부(中共中央宣 部)는 「중국의 10년(中 十年)」 시리즈 언론브리핑을 통해 제18차 공산당 대회 이후, 중국의 공업·정보화 발전의 성과를 소개함. 2012년부터 2021년까지 중국 공업 부가가치는 20조 9,000억 위안에서 37조 3,000억 위안으로 연평균 6.3% 증가함. - 제조업 부가가치는 16조 9,800억 위안에서 31조 4,000억 위안으로 전 세계 비중의 20%에서 30%로 상승함. 세계 500대 주요 공산품 중 중국 공산품 생산량은 40%로 세계 1위임. - 중국은 유엔(UN) 산업 분류에 따라 공업 대분류 41개, 중분류 207개, 소분류 666개를 생산 중이며 공고한 산업 사슬을 형성을 통한 공급망 유연성과 경쟁력을 높임. 중국의 제조업 발달로 에너지절약·스마트 가전이 전면 보급되었고, 천 명당 자동차 보유 수는 2012년 89대에서 2021년 208대로 증가함. - 중국 제조업 중간품 수출은 세계 20%임. 중국의 신흥산업 발전 가속화로 서비스 로봇, 스마트 웨어러블 제품이 매우 증가함. - 신에너지차 생산 판매량은 7년 연속 세계 1위를 기록함. 신소재산업 생산액은 2배로 증가하였고, 전통산업 고도화, 디지털화, 녹색화 등이 전면적으로 시행됨. - 첨단기술제조업과 장비 제조업이 규모 이상 공업 부가가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2012년 9.4%, 28%에서 2021년 15.1%, 32.4%로 상승함. 세계 500대 기업에 포함된 중국 공업기업은 73개이며, 지난 10년간 규모 이상 공업기업 자산규모는 두 배로 증가함. - 중국은 전문화·정밀화·특성화·혁신 중소기업( 精特新中小企 ) 4만여 개, 중견기업 4,762개, 제조업 분야별 우승기업 848개 기업을 육성함. - 글로벌 연구개발 기업 TOP 2500에 중국의 570여 개 공업기업이 진입함. <출처: “中 十年|工信部:十年 中 工 增加 年均增速6.3% 史性跨越” 光明 . 2022. 6. 14.>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2022년 중국 1선 도시의 상업 매력 지수 순위
2022년 6월 1일 중국 언론사 제일재경(第一 )과 신 1선 도시연구소(新一 城市 究所)는 도시상업 매력 지수를 기준으로 신 1선 도시(新一 城市) 순위를 발표함. - 주요 소비브랜드 170개 지점, 17개 인터넷기업이 수집한 고객 행동 데이터와 도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337개 이상 도시의 ‘도시상업 매력 지수’를 산출함. 도시상업 매력 지수는 상업자원 밀집도, 도시 거점화, 도시인구 유동성, 생활방식 다양성, 미래 잠재력 등 5개 항목으로 평가 1선 도시 순위는 상하이가 141.8로 1위, 베이징이 137.69로 2위를 차지함. - 광저우와 선전이 각각 108.16, 103.42로 그 뒤를 이음. 2022년 신 1선 도시에 청두(成都), 충칭(重 ), 항저우(杭州), 시안(西安), 우한(武 ), 쑤저우( 州), 정저우( 州), 난징(南京), 톈진(天津), 창사( 沙), 둥관( 莞), 닝보( 波), 포산(佛山), 허페이(合肥), 칭다오( )가 진입함. - ‘신 1선 도시’는 향후 1선 도시가 될 가능성이 큰 경쟁력 있는 도시임. 충칭은 2016년 6위에서 2022년 2위를 기록하며 경쟁력이 강화되었으나, 톈진은 같은 기간 4위에서 9위로 하락했음. 2022년 2선 도시 순위는 쿤밍(昆明), 선양(沈 ), 지난( 南), 우시(无 ), 샤먼(厦 ), 푸저우(福州), 원저우( 州), 진화(金 ), 하얼빈(哈 ), 다롄(大 ), 구이양( ), 난닝(南 ), 취안저우(泉州), 스자좡(石家庄), 창춘( 春), 난창(南昌), 후이저우(惠州), 창저우(常州). 자싱(嘉 ), 쉬저우(徐州), 난퉁(南通), 타이위안(太原), 바오딩(保定), 주하이(珠海), 중산(中山), 란저우( 州), 린이( 沂), 웨이팡( 坊), 옌타이(烟台), 사오싱( ) 순으로 30개 도시가 선정됨. <출처: “2022年城市商 魅力排名:一 4 ,新一 15 , 的城市是 ” 易. 2022. 6. 8.>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2년 6월 중국 에너지 생산량
중국국가통계국 발표에 따르면, 2022년 6월 중국 공업 원탄, 원유, 천연가스, 전력 생산 모두 증가함. 2022년 6월 중국의 원탄의 생산량은 3.8억 톤으로 15.3% 증가했고, 전월 대비 5%p 증가함. 하루평균 생산량은 1,264만 톤임. - 원탄의 수입량은 1,898만 톤으로 33.1% 감소하였음. 중국의 원유생산 증가로, 원유 수입은 감소세를 보임. - 2022년 6월 원유 생산량은 1,719만 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 증가했으며, 일평균 생산량은 57.3만 톤임. 원유 수입량은 3,582만 톤으로 10.7% 감소했음. 천연가스 생산량은 173억 ㎥로 전년 동기 대비 0.4% 증가했음. 2022년 6월 중국의 전기발전량은 7,090억 kWh로 전년 동월 대비 3.3% 증가했음. - 유형별로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은 화력발전 6% 감소, 수력발전 29% 증가, 원자력발전 9% 감소, 풍력발전 16.7% 증가, 태양광발전 9.9% 증가함. <출처: “2022年6月 能源生 情 ” 家 局. 2022. 7. 15.>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주요 도시 전기차 충전인프라 현황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육성으로 중국의 관련 기술과 산업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2022년 6월 중국 도시규획설계 연구원(中 城市 究院)은 주택과 도시건설부 교통인프라 시설관리실험실(住房和城 建 部城市交通基 施 治理 室), 신에너지자동차국가데이터연맹( 合新能源汽 家大 据 盟) 등과 함께 「2022년 중국 주요 도시 충전인프라 시설 모니터링 보고(2022年中 主要城市充 基 施 告)」를 발표 - 보고는 중국의 전기차충전소 1,000대 이상인 32개 도시를 대상으로 조사했음.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 난징, 톈진, 청두, 항저우, 우한, 시안, 정저우, 층칭, 칭다오, 둥관, 샤먼, 다롄, 타이위안, 창저우, 우시, 쿤밍, 지난, 원저우, 쑤저우, 창사, 난창, 닝보, 취안저우, 하이커우, 옌타이, 스자좡, 푸저우, 구이양 중국의 도시 전기차 충전 인프라 보유량은 2020년 167만 2,000대에서 2021년 261만 7,000대로 전년 대비 56% 이상 증가했고, 신에너지차 보유량은 2020년 492만 대에서 2021년 784만 대로 전년 대비 3% 가까이 증가했음. 중국의 전기차 공공충전기 유형은 충전 속도를 기준으로 하는 급속충전기와 완속충전기, 충전 차량 대상을 기준으로 하는 공용충전기와 전용충전기로 나누어짐. 32개 주요 도시의 공용충전기 평균밀집도는 21.5기/㎢로 선전, 상하이, 광저우, 창사, 난징, 하이커우가 상위를 기록했으며, 1위인 선전의 공용충전기 밀집도는 129기/㎢임. - 평균밀집도가 10기/㎢ 이하인 도시는 8곳으로 우시, 쑤저우, 지난, 창저우, 원저우, 취안저우, 다롄, 옌타이임. 옌타이의 밀집도는 3.2기/㎢임. - 중국의 남방지역 도시의 평균밀집도는 24.3기/㎢이며, 북방지역은 15.2기/㎢임. 중국의 전기차 공용충전기 1기당 평균 차량대수는 6.8대이나, 32개 주요 도시는 4.3대로 집계됨. 중국의 공용충전 인프라 설비 투자 확대로 공용충전기 밀집도가 매우 높아짐. - 2020년 대비 24개 도시의 공용충전기 평균 밀집도는 7.7기/㎢로 44% 증가함. 중국 주요 32개 도시의 급속충전기 비중은 57.3%임. - 그중 샤먼의 급속충전기 비중은 84%로 가장 높으며, 선전은 15.5%임. 주요 도시 전기차의 평균 충전시간은 50.8분이며, 급속충전기의 평균 충전시간은 46분, 완속충전기는 170분으로 나타남. <출처: 中 城市 究院(2022), 「2022年中 主要城市充 基 施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2022년 6월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판매현황
중국 자동차유통협회(中 汽 流通 ) 발표에 따르면, 2022년 6월 신에너지 자동차 판매량은 57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141% 증가함. 신에너지 차량 구매 보조금 폐지에도 불구하고 판매량이 증가하고 있음. - 또한, 최근 휘발유 가격의 급등으로 전기차 주문이 폭주함. 중국의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로 각 지방정부는 소비활성화를 위한 보조금과 소비쿠폰을 발행하여 일시적으로 자동차 구매량이 증가했음. 중국은 전기차 판매 비중이 하이브리드보다 월등히 높음. - 2022년 6월 신에너지 자동차 판매량 비중은 전기차 80%, 하이브리드 20%로 집계되었음. - 용도 비중을 살펴보면, 전기차 비영업용 70%, 전기차 영업용(택시) 10%, 하이브리드 비영업용 20%, 영업용 0.1%임. 우리나라의 경우 2022년 6월 누적 등록대수 기준, 친환경차 비중은 하이브리드 76.3%, 전기차 21.9%, 수소차 1.8%로 하이브리드 비중이 높음.(국토교통부 2022/7/21) 지역별 신에너지 자동차 구매를 보면, 대도시 구매 비중이 가장 높지만, 점차 낮아지고 있음. - 2022년 6월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구매 중 특대도시 비중은 22%로 2017년 45%에 비해 감소했음. - 반면, 중소도시·농촌지역의 판매 비중이 꾸준히 증가함. 중국의 전기차 판매 1위 브랜드는 테슬라, 하이브리드 판매 1위 브랜드는 비야디(BYD)가 꼽힘. <출처> 1. “2022年6月新能源乘用 域市 分析” 中 汽 流通 . 2022. 7. 19. 2. “자동차 누적등록대수 2,521만대…, 경유차 감소세” 국토교통부. 2022. 7. 21.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해상풍력발전 산업
해상풍력발전은 탄소중립 목표 달성과 에너지 구조 전환 추진, 녹색경제 발전 등 신에너지 육성에 중요한 의미가 있으며 발전 가능성이 큰 시장임. - 해상풍력발전은 기존 발전방식에 비해 청정 저탄소, 높은 발전 이용효율, 토지자원 불필요, 대규모 개발 적합, 수송 용이 등의 장점이 있음. 2022년 6월 36크립톤연구원(36 究院)은 「2022년 중국 해상풍력발전 산업 통찰(2022年中 海上 行 洞察)」을 발표함. 중국은 해양 풍력에너지 자원이 풍부하여 최근 몇 년간 해상풍력발전 규모가 끊임없이 확대됨. - 국가에너지국에 따르면 중국 해상풍력 신규 설치 용량은 2016년 0.59GW에서 2021년 16.9GW로 연평균 95.6%, 누적용량은 2016년 1.63GW에서 2021년 26.39GW로 연평균 74.5% 증가했음. 중국은 세계에서 해상풍력발전 누적 설치 규모가 가장 큰 국가임. 중국 정부는 해상풍력발전 산업발전을 위한 계획과 정책지원 추진 - 2016년 중국 국가에너지국은 《풍력발전 ‘13.5’ 규획》을 발표하여 2020년까지 해상풍력 설비용량 500만 ㎾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삼았음. - 2020년 1월 재정부,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에너지국은 《비수력 재생에너지 발전의 건전한 발전 촉진에 관한 의견( 于促 非水可再生能源 健康 展的若干意 )》을 발표하여 2020년 신규 풍력·태양광 발전 사업 시작 단계에 더 이상 정부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고, 2021년 12월 31일까지 설비를 완성해야 보조금을 지급한다는 조건을 제시함. - 2022년 1월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에너지국은 《‘14.5’현대 에너지체계 규획(“十四五” 代能源 系 )》을 발표하여 심해지역의 배치, 연구개발 및 시범 적용, 광둥·푸젠·저장·장쑤·산둥 등 해상풍력기지 건설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것을 제안 <출처: “2022年中 海上 行 洞察” 新浪 . 2022. 6. 22.>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