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미사일 방어정책에 대한 중국의 인식과 대응전략 [국가전략 10권 1호 (통권 제27호)]
-----요약----- 이 글은 미국의 MD 정책에 대한 중국의 기본 인식과 대응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중국은 미국이 일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NMD, TMD에 대한 반대입장을 견지해왔다. 우선 NMD는 전지구적 차원의 전략적 균형과 안정을 깨뜨릴 위험이 있고, TMD 역시 동아시아 지역 안정과 평화를 해칠 수 있는 시도로서 미 국의 주도하에 일본의 군사 대국화와 대만의 독립화를 조장함으로써 중국의 국익에 치명적인 손실을 초래할 것으로 본다. 이런 인식을 바탕으로 한 대응방식은 대체로 3가지 방향으로 집약된다. 첫째, 새로운 안보환경과 중국의 국제적 지위에 걸맞는'신안보 전략'을 세워 국방현대화와 다극화를 추진하는 것이고; 둘째,한편으로 핵전력의 증강을 통해 대미 억지전략을 극대화시키는 강경대응방식과 다른 한편으 로 안정적 미중관계를 근간으로 온건한 대응방식을 통해 경제적 실리주의를 추구병행 결합시키는'이중적 모호전략'이 필요하고; 셋째, 미국의 군사적 일방주의를 제어하기 위해 중・러 간에 대미 反-MD 전선을 강화・발전시키는 것 등이다. NMD: National Missile
홈 > 추천연구보고서 -
북한의 개혁개방과 중국
----차례------ 1. 서론 2. 한중수교 이후 북한과 중국 관계의 변화 3. 북한의 개혁개방을 위한 중국의 역할 4.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위한 한중협력의 방향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발 에너지 위기 가능성과 에너지 안전보장
중국발 에너지 위기 가능성과 대응방안 각국의 에너지 확보 경쟁 및 한국의 대응방안 동북아 에너지 정책 현황과 방향 에너지 안보와 동북아 에너지 협력 방향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석유화학 현지투자의 3대 Check Point
국내 석유화학산업은 향후 성장 기반 마련을 위해 중국 현지투자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 장기적 경쟁력 확보가 가능한 품목 위주로 선별적인 진출을 모색하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차스닥시장 개설에 따른 영향
Ⅰ. 중국 션전거래소의 차스닥시장 개설 Ⅱ. 선젼 증시는 창업증시로, 상하이 증시는 대형기업 위주로 양분 Ⅲ. 중국 증권거래소 역사와 증시 규모 Ⅳ.정보통신(IT) 산업의 전성기 Ⅴ. 차스닥시장 개설이 가져올 우리 증시에 미칠 영향 - 중국 국무원의 비준을 거쳐 증권감독위원회가 5.17일 션전(심천) 증권거래소 중소기업창업증시(약칭 차스닥)를 정식인가됨 - 중소 벤처기업들의 자금유치를 돕고 나스닥과 비슷한 첨단 정보기술주 중심의 차스닥이 개설됨에 따라 하반기 아시아 주식시장내 정보기술주 투자흐름에도 변화가 예상됨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WTO가입과 한・중 농업협력
중국의 WTO가입과 한・중 농업협력 제1장 중국 WTO 가입의 의미: “기회와 도전” 1 제2장 WTO 가입 전후 중국 농업의 구조조정: 농업의 산업화 중심 1. 농업개혁정책의 성과 3 2. 농업발전전략: 농업의 산업화 12 3. 우리나라의 대응방안 15 제3장 WTO 가입 후 한・중 농업관계 1. 중국의 한국 농업에 대한 기본입장: 개도국 지위 인정 인색 16 2. 중국의 “쌀” 수출 정책 변화 18 제4장 중국의 FTA 전개 과정 및 전망 1. 중국・아세안 FTA 23 2. 중국・홍콩간 CEPA 협정 25 3. 한・중・일 FTA 27 4. 소결: 중국・아세안 FTA에 전력투구, 한・중・일 FTA는 초기단계 29 부 록 30 참고문헌 37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노동시장과 노사관계
제1부 중국의 고용관계 1 Ⅰ. 중국 노동시장에서의 정책적인 취업지원 3 1. 노동시장에서 취업취약계층의 범위와 그 구성 4 2. 중국의 공회(工會) 및 공회의 취업취약계층에 대한 지원 8 3. 취업취약계층에 대한 정부의 취업지원정책 11 4. 정책적 취업지원 강화:소강사회(小康社會) 실현을 위한 전략적 임무 15 참고문헌 19 Ⅱ. 중국의 비전일제 고용문제 연구 21 1. 비전일제(非全日制) 고용이 갖는 중요한 의미 21 2. 비전일제 고용의 발전 상황 23 3. 비전일제 고용이 직면한 주요 문제 26 4. 건의 35 Ⅲ. 취업구조로 살펴본 중국의 취업현황 변화추세 39 1. 중국 취업 문제의 지역별 비교 39 2. 취업과 산업구조의 지역별 비교 40 3. 도시 취업구조의 지역별 비교 42 4. 지역별 취업구조와 근로자 교육수준 비교 43 5. 중국 취업상황의 변화와 이에 대한 건의 44 참고문헌 45 제2부 중국의 노사관계 47 Ⅳ. WTO체제에서의 노사관계 문제에 관한 소고 49 1. 노사관계 및 그 발전 과정 49 2. 변화 중의 경제 및 노사관계의 새로운 문제 51 3. 새로운 노동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구상 56 4. 결론 59 참고문헌 60 Ⅴ. 경제 구조조정과 노동관계 재구축 61 1. 구조조정과 노동관계 주체 62 2. 국유기업 노동관계 전환의 다원화와 차별화 65 3. 구조조정의 비용 분담 문제: 새로운 노동관계 구축의 기초 68 참고문헌 75 Ⅵ. 15가지 유형의 근로관계 처리 77 1. 제도개편 중 기업과 근로관계를 맺고 있는 4가지 유형 78 2. 제도개편 중 기업과 근로관계가 변경될 가능성이 있는 6가지 유형 83 3. 제도개편 중 기업과 근로관계가 존재하지 않는 5가지 유형 89 Ⅶ. 중국에서 3자제도 구성, 발전 및 확립 95 1. 노동관계 조정: 3자제도의 확립 95 2. 중국에서 3자제도의 구성 및 발전상황 98 3. 3자제도에 관한 반성과 고려 102 참고문헌 105 제3부 중국의 노동쟁의 107 Ⅷ. 중국 노동쟁의의 변화 발전과 노사관계 조정 109 1. 노동쟁의 현황 분석 및 고찰 110 2. 과도기 중국 노동쟁의의 기본 특징 119 3. 건강한 노동쟁의 처리제도 구축 122 Ⅸ. 혼돈에서 질서로: 외상투자기업 노동쟁의처리제도 분석 129 1. 문제 제기 129 2. 노동쟁의처리제도 현황 132 3. 노동쟁의처리제도 개선 136 Ⅹ. 경제 글로벌화에 따른 중국 노동쟁의처리제도의 검토 및 재구축 141 1. 경제 글로벌화에 따른 중국 노동쟁의의 새로운 특징 141 2. 중국 현행 노동쟁의처리제도 검토 및 반성 143 3. 중국의 새로운 노동쟁의처리제도 구축 145 4. 새로운 노동쟁의처리제도 운영 관련 제도 구축 151 제4부 중국의 노동법 153 Ⅺ. WTO 체제하의 노동기준과 국제무역 문제 155 1. 서론 155 2. 노동기준과 국제무역의 미래 동향 157 3. 국제노동기구의 관련 규정 159 4. 중국 국내법 보완 161 5. 결론 169 Ⅻ. 외상투자기업의 노동법 적용에 따른 몇 가지 문제에 관한 탐구 171 1. 중국의 외상투자기업 노동입법에 관한 기본 현황 172 2. 중국․외국의 고위관리직에 대한 동일노동ㆍ동일 임금 문제 173 3. 근로시간 문제 178 4. 외상투자기업 근로자의 파업권 문제 181 5. 결론 187 XIII.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법률성격 189 1.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기업 규칙 190 2.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법률적 배경과 근거 192 3.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법률 성격 197 4.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노동법으로 제도화하기 위한 해결과제 202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혁신클러스터 특성 및 유형 분석: 한국 사례와의 비교
제Ⅰ부 연구의 개요 및 이론적 배경 제 1장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제 2장 혁신클러스터의 이론적 배경 제 1절 혁신클러스터의 이론적 논의 제 2절 혁신클러스터의 주요 이론 제 3절 혁신클러스터의 유형 및 특성 제Ⅱ부 중국 혁신클러스터의 유형별 특성 및 현황 제 1장 중국 혁신클러스터 유형화 제 1절 혁신클러스터 유형별 분류 제 2절 성격별 유형에 따른 혁신클러스터 특징 제 2장 광대역 클러스터: 經濟特區 사례 제 1절 형성 배경 제 2절 현황 분석 제 3장 중규모 클러스터: 經濟技術開發區 사례 제 1절 조성 배경 제 2절 현황 분석 제 4장 단위기관 소규모 혁신클러스터: 淸華大學科技園 사례 제 1절 조성 배경 및 현황 제 2절 발전 전략 및 향후 전망 제 5장 산업 분야별 혁신클러스터: '農業科技園' 사례 제 1절 조성 배경 및 현황 제 2절 정책과 전망 제Ⅲ부 한 ․중 혁신클러스터 사례비교 :'高新技術産業開發區'와 '테크노파크' 제 1장 중국의 혁신클러스터: '高新技術産業開發區' 제 1절 조성 배경 제 2절 현황 분석 제 2장 한국의 혁신클러스터: 테크노파크 제 1절 조성 배경 제 2절 현황 분석 제 3장 한 ․중 혁신클러스터 사례비교 및 정책적 시사점 제 1절 클러스터 모델 비교 제 2절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Summary Contents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동북3성 재건 위해 세제 우대 정책 추진
중국 정부가 개혁개방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동북3성의 노후 공업지대 재건계획을 발표하였다. 동북3성 재건계획은 서부대개발과 비견될 만한 대형 국책 프로젝트로 창쟝(長江)삼각주, 주쟝(珠江)삼각주, 환보하이(還渤海)만 위주의 발전전략에서 벗어나 중국의 균형 발전을 도모한다는 점에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자원 부족난, 하반기에도 계속될 전망
작년 중국, 전세계 자원생산량의 절반을 소비 중국은 예로부터 인구대국, 자원대국이라는 의미의 地大物博하다고 했으나, 최근에는 자원빈국으로 바뀌고 있다. 전세계 인구의 5분의 1이 글로벌 경제에 편입되면서 중국 경제의 고속성장에 따른 거대한 소비력이 원자재와 에너지자원을 블랙홀처럼 빨아들이고 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