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 중국 10년간 교육 분야 성과
2022년 6월 28일 중국 교육부( 育部) 발표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 10년간 표준어인 ‘푸퉁화(普通 , 보통어)’를 대대적으로 보급한 결과 푸퉁화 보급률은 2012년 70%에서 2022년 80.72%로 향상됨. - 또한 식자( 字: 한자를 읽을 수 있고 뜻도 이해) 인구 중 푸퉁화를 사용하는 비율이 95%로 증가함. - 15세 이상 인구 대비 문맹률은 2010년 4.08%에서 2.67%로 감소함. 2020년 제7차 전국인구조사에 따르면, 대학교 졸업자 수는 2억 1,836만 명임. - 중국 인구 10만 명당 대학교 졸업자 수는 2010년 제6차 전국인구조사 8,930명에서 2020년 15,467명으로 증가함. - 고등 교육 이상 이수 인구는 3억 8,500만 명으로 43.79%이며, 2010년 대비 12.8%p 상승함. - 전문대 이상 이수 인구는 23.61%로 2010년 대비 11.27%p 증가함. 15세 이상 인구의 평균 교육 연한은 2010년 9.08년에서 9.91년으로 증가함. - 생산가능인구 16~59세의 평균 교육 연한은 2010년 9.67년에서 10.75년으로 증가함. 2021년 유네스코(UNESCO),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세계관광기구(UNWTO) 등 10개 유엔 산하 전문기관은 중국어를 공용어로 채택함. 전 세계 180여 개국에서 중국어 교육을 시행하고 있으며, 76개 국가에서 정규교과 과정으로 채택됨. - 외국인 약 2,500만 명 이상이 중국어를 학습하고 있으며, 중국어 구사자는 2억 명에 달함. 중국 교육부는 ‘국제 중국어 교육 중국어수준 등급표준( 中文 育中文水平等 准)’을 제정하여 세계화함. - 중국어가 모국어가 아닌 외국인을 대상으로 평가하는 ‘국제 한어수평고시(HSK)’를 설립하고 브랜드화함. - 글로벌 중국어 학습 플랫폼을 구축하고 2년 동안 182개 국가, 600만 명 이용자를 확보했고, 플랫폼 방문량은 1억 회를 돌파함. <출처> 1. “ 育部:十年 全 普通 普及率 70%提高到80.72%” 中 . 2022. 6. 29. 2. “中 受 育程度大幅提升:文盲率降至2.67%” 略. 2021. 5. 11.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하계 양로 생활 적합 도시 순위
2022년 7월 14일 상하이교통대 업종연구원(上海交通大 行 究院)은 「2022 중국 철새식 양로 하계 생활 적합 도시 지수(中 候 式 老夏季栖息地适宜度指 )」를 발표함. - 철새식 양로는 중국의 새로운 양로 방식으로 계절변화에 따라 알맞은 기후의 지역으로 이동하여 생활하는 지역 관광 양로임. - 이 지수는 75개 후보 도시의 기온, 기압, 습도, 공기질, 수질, 의료여건, 교통편의도, 지역 자연풍광과 인문경관, 문명도시, 생활물가 등 15개 지표를 종합 평가해 도시별로 여름철 양로 생활 적합도 지수를 산출함. 하계 양로 생활로 적합한 환경은 △ 북위 40 이상의 지역, △ 적당한 해발고도, △ 동부와 중부지역의 특수한 지형 또는 해양성 기후를 갖춘 섬 지역임. - 위 세 가지 조건을 충족하면서 7월 월평균 최고기온이 30도 이하인 지역으로 75곳이 선별되었음. 중국 하계 양로 생활 적합도 순위 10위권에 쿤밍, 구이양, 다리 등 윈구이고원(云 高原) 6개 지역이 포함됨. - 중국 동부권의 하얼빈, 다롄, 후룬베이얼, 창춘 등 지역이 적합 도시로 선정됨. - 화북, 화중, 서북 지역 중 전통적으로 피서지로 유명한 지역은 칭다오, 친황다오(秦皇 ), 청더(承德), 루산( 山)임. -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으나, 최근 자연경관이 아름답고 여름철 시원하여 주목받고 있는 도시는 쓰촨성의 마얼캉( 康), 신장의 아러타이(阿勒泰)와 이리(伊犁), 칭하이의 시닝(西 ), 네이멍구의 아얼산(阿 山)이 있음. 윈구이고원(云 高原)은 윈난성 동부에서 구이저우성 전역에 걸쳐있는 대고원임. <출처: “夏季 老 里适宜?上海交大 告 昆明、 、大理最佳” 中 年 . 2022. 7. 19.>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2022년 중국 대학 졸업자 주택임대 현황
2022년 6월 22일 베이커연구원( 究院)은 「2022 졸업시즌 임대 어려움 조사 보고서(2022 季租住痛点 告)」를 발표함. - 보고서는 올해 갓 졸업한 대졸자의 주택임대 시 느끼는 어려움과 수요를 조사함. 대졸자의 한 달 임대료 지출은 2,000위안 이내가 70%, 3,000위안 이내가 9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남. - 응답자 80% 이상은 전체 소득에서 임대료가 차지하는 비율이 30% 이내가 비교적 합리적으로 느낀다고 답함. 수입 대비 임대료 지출 비율이 30%가 넘으면 임대료 부담이 크다는 것을 의미 - 대도시 대졸자는 수입 대비 임대료 지출이 많아 경제적 부담이 큼. 응답자 20%는 임대계약체결 시 임대료, 보증금, 중개수수료 등을 한 번에 지급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고 답함. - 응답자 15%는 1개월분 보증금과 3개월분 임대료를 함께 지출해야 해, 초기 자금 부담이 상당하다고 응답함. 2022년 임대자금 출처를 묻는 물음에 개인저축이 50%로 이 비율은 2018년 대비 10%p 증가함. - 3개월 안에 본인 수입만으로 단독 임대가 가능하다고 응답한 비중은 57%임. 대졸자 거주 면적은 20㎡ 이하가 50.2%로 임대료 절감을 이유로 작은 평수를 선호함. - 도시등급별로 20㎡ 이하에 거주하는 응답자 비율은 1선 도시가 61%, 2선 도시 이상은 47%로 뚜렷한 차이를 보임. 1인 가구 대졸자는 14.6%이며 대다수가 룸메이트와 함께 거주하고 있음. - 공동 임대 시 선호하는 룸메이트 유형은 동창(69%), 직장동료(19%)임. - 여학생(73%)이 남학생(63%)보다 동창을 더 선호하였고, 남성(23%)이 여성(15%)보다 더 직장동료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룸메이트와의 주요 갈등 원인은 위생 습관 문제 40%, 사생활 존중 문제 22%, 소음 17%, 휴식 습관 차이 11% 등임. - 공동 임대 시 응답자 62%는 연인의 방문, 45.7%는 반려동물과 동거를 꺼린다고 답함. 옵션 유무는 임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꼽힘. - 선호하는 옵션으로는 정수기 61%, 밥솥 54% 등 소형가전과 아파트 관리 서비스 34%, 엘리베이터 35% 등임. 가장 인기 있는 인근 시설은 1㎞ 생활권 내 먹자골목, 신선마트, 지하철 등임. <출처: “ 告:近六成 生相信3 月后能 立租房,超5成第一 租金主要 源于 人 蓄” 金融界. 2022. 6. 22.>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링링허우와 주링허우의 소비 형태와 분야
2022년 6월, 남도여론조사센터(南都民 中心)는 링링허우와 주링허우를 대상으로 소비의식과 소비행태를 분석한 「링링허우의 소비관 통찰 보고서(2022)(00后消 洞察 告)」를 발표함. 주링허우(90后, 1990~1999년 사이 출생한 세대)와 링링허우(00后, 2000년~2009년 사이 출생한 세대) 소비의 가장 큰 차이는 주링허우는 주로 가계 지출에, 링링허우는 자기계발 등 자신을 위한 소비에 집중함. 링링허우, 주링허우 응답자의 소비 형태는 생활수요에 따라 차이를 보임. - 링링허우와 주링허우는 일상생활에 각각 71.5%, 80.1%로 가장 많은 소비를 하였고 취미생활에 각각 70.72%, 63.51% 소비함. - 링링허우는 취미생활과 자기계발에 각각 7%, 3%를 지출했고 주링허우는 일상생활, 재테크, 헬스케어에 더 많은 지출을 함. - 또한 링링허우는 월 소득이 증가할수록 일상생활에서의 지출은 줄고 취미생활, 재테크, 자기계발 등의 지출이 증가함. 링링허우의 생활비 지출 분야를 살펴보면, 식사 8.6%, 교통 54.6%, 인터넷·통신 46.19%, 생활용품 44.36%, 주거 42.38%, 의류·잡화 21.49%를 지출함. - 링링허우 여성은 남성보다 생활용품 19%, 의류·잡화 24%, 뷰티용품 21%, 헤어케어 5%를 더 지출하고 있고, - 링링허우 남성은 여성보다 주거 13%, 인터넷 통신비 7%를 더 지출함. 주링허우는 주로 생활용품에 52.1%를 지출하고 주거에 34.45%를 지출함. - 주링허우는 링링허우보다 대출금 17%, 육아 21%를 더 지출하고 있음. <출처: “00后消 :超六成受 者注重生活品 ,愿 好花 ” 南方都市 . 2022. 6. 21.>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1년 중국의 아세안 국가별 수출입 비중
▣ 수출입 중국과 아세안 10개국의 수출입 비중 추이를 살펴보면 2012년 말레이시아의 수출입 비중이 23.7%로 가장 높았으나, 2021년 20.1%로 수출입 비중 2위로 한 단계 낮아짐. 베트남과의 수출입 비중은 2012년 12.6%로 10개 아세안 국가 중 다섯 번째였으나, 2016년 이후 말레이시아를 제치고 1위를 차지함. - 아세안 10개국 중 베트남의 수출입 규모 비중은 26.2%로 전년 대비 1.8%p 낮아졌으나, 비교적 빠른 증가율을 보임. 필리핀은 꾸준히 약 9%대의 비중을 유지하였고, 캄보디아, 라오스, 브루나이의 비중은 2% 이내로 집계됨. ▣ 수입 중국의 대 아세안 10개국의 수입 비중은 말레이시아가 가장 높음. - 아세안 국가 중 중국의 말레이시아로부터 수입 비중은 2012년 29.8%로 2위였던 태국 19.7%를 크게 웃돌았으나, 2018년과 2020년 빠르게 성장한 베트남에 근소한 차이로 1위를 내주었음. - 2012년 3위였던 인도네시아는 이후 비중이 줄어들었다 다시 회복해 2021년 다시 3위 자리를 되찾음. 베트남은 2012년 8.3%의 비중으로 6위였으나 2015년 이후 중국의 대베트남 수입이 빠르게 증가하며 비중이 높아짐. ▣ 수출 아세안 중 중국의 수출 비중이 가장 높은 국가는 베트남으로 28.5%를 차지함. - 2012년 19.9%로 1위를 차지했던 말레이시아는 2021년 베트남보다 12.2%p 낮은 16.3%로 2017년 이후 격차가 크게 벌어짐. -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싱가포르의 비중은 각각 14.3%, 12.5%, 11.8%, 11.4%로 국가별 비중 추이를 통해 베트남과 중국 간 대외경제 관계가 밀접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음. <출처: 중국해관총서 홈페이지(www.customs.gov.cn)>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1년 중국의 아세안 수출 현황
▣ 수출 규모 2021년 중국의 아세안 수출 규모는 48,369,464만 달러로 전년 대비 26.1% 증가했음. 중국의 대 아세안 10개국 수출 추이는 2016년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한 후 꾸준히 증가함. - 2013년 19.5% 달하던 수출 규모 증가율은 3년 연속 증가율이 둔화하였으며, 2016년 –7.7%를 기록했음. - 그러나 2017년 9.2% 증가하며 2015년 규모로 회복했고, 2021년 많이 증가했음. ▣ 수출 품목 중국과 아세안 7개국(말레이시아,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싱가포르, 필리핀, 미얀마)의 주요 수출 품목은 전자기기 및 영상음향설비 규모가 181,902,750만 달러로 38.7% 비중을 차지하며 수입과 같이 가장 큼. - 다음으로는 비금속류 11.2%, 섬유제품 9.5%, 화학제품 6.9%, 플라스틱 및 고무 5.6% 순으로 나타남. 7개 국가의 수출 품목 1위는 모두 전자기기 및 영상음향설비임. <출처: 중국해관총서 홈페이지(www.customs.gov.cn)>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1년 중국의 아세안 수입 현황
▣ 수입 규모 2021년 중국이 아세안에서 수입한 상품 규모는 39,451,242만 달러로 전년 대비 30.8% 증가함. - 중국의 대 아세안 수입 추이는 2012~2016년까지 약 20,000,000만 달러 수준이었으나 2017년 전년 대비 20.2%로 증가했으며, 이후 꾸준히 증가함. ▣ 수입 품목 중국해관총서는 수출입 통계 월보를 홈페이지에 게시함. - 통계 월보는 아세안 10개국 중 라오스, 캄보디아, 브루나이를 제외한 7개국의 수출입 품목 데이터를 공개함. 국가별 수입 규모를 살펴보면, 말레이시아가 9,806,243만 달러(25.3%)로 가장 많고, 베트남 9,227,415만 달러(23.8%), 인도네시아 6,376,065만 달러(16.5%), 태국 6,181,119만 달러(16%) 순으로 나타남. 중국의 대 아세안 수입 품목 규모는 전자기기 및 영상음향설비가 17,274,594만 달러로 전체 수입의 44.6%를 차지함. - 다음으로는 광산물 16.8%, 비금속류 7.4%, 플라스틱 및 고무 5.8%, 화학제품 4.5% 순으로 나타남. 말레이시아, 베트남, 태국, 싱가포르, 필리핀의 최대 수입 품목은 전자기기 및 영상음향설비이고, 인도네시아에서는 광산물을 가장 많이 수입함. <출처: 중국해관총서 홈페이지(www.customs.gov.cn)>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1년 중국과 아세안 무역 규모
중국과 아세안 10개국의 수출입 규모는 10년간 2배 이상 증가함. - 아세안(ASEAN: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10개국은 필리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태국, 브루나이,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임. 2021년 중국과 아세안의 상품 수출입 총액은 87,820,706만 달러로 전년 대비 28.1% 증가함. - 수입 총액은 39,451,242만 달러, 수출 총액은 48,369,464만 달러로 각각 전년 대비 30.8%, 26.1% 증가했음. 아세안 국가별 중국과의 수출입 총액은 베트남이 23,020,424만 달러로 가장 많으며, 말레이시아 17,680,441만 달러, 태국 13,114,940만 달러, 인도네시아 12,443,400만 달러 순으로 나타남. - 국가별 비중은 베트남 26.2%, 말레이시아 20.1%, 태국, 인도네시아, 싱가포르가 각각 14.9%, 14.2%, 10.7%임. - 라오스, 브루나이는 각각 434,518만 달러, 284,650만 달러로 0.5%, 0.3%의 비중을 차지함. <출처: 중국해관총서 홈페이지(www.customs.gov.cn)>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인 남녀 평균 신장 및 체중 현황
2022년 8월 8일 중국 운동의 날을 맞아 중국 대형 계량기 그룹 향산(香山, SENSSUN)은 「2022년 중국인 키와 몸무게 건강 데이터 보고서(中 居民身高 重健康 据 告)」를 발표함. - 본 보고서는 2021년 하반기부터 2022년 상반기까지 66만 명을 대상으로 벌임. 중국인 남성과 여성 모두 평균 신장이 증가했고, 남성 평균 BMI는 모든 성(省)에서 평균을 초과함. 2022년 중국인 18~44세 중, 남성 평균 키는 174cm, 여성은 161.4cm로 조사되었고 이전 세대보다 남성은 0.8cm, 여성은 0.6cm 증가함. - 성별로 남성은 헤이룽장(175.9cm), 산둥(175.71cm), 랴오닝(175.68cm)이, 여성은 산둥(163.2cm), 랴오닝(163.2cm), 헤이룽장(162.9cm) 순으로 평균 신장이 큼. 2022년 중국인 남성 18~80세 평균 몸무게는 75㎏, 여성은 59.8㎏임. - 남성은 35~39세가 76.1kg으로 체중이 가장 많이 나갔고, 여성은 20~24세가 58.4kg으로 가장 적게 나가는 것으로 조사됨. 평균 몸무게가 많이 나가는 지역은 남성의 경우 신장(79.9kg), 랴오닝(79.7kg), 지린(79.1kg)이며, 여성의 경우 랴오닝(63.6kg), 네이멍구(63.5kg), 신장(63.3kg)임. 중국인 연령별 BMI(체질량지수) 정상 구간은 18~24세이며, 18세 이하는 마른 편, 24세 이상은 다소 비만해 속함. - BMI는 체질량지수로 통상적으로 체격과 건강 여부를 가늠하는 척도로 18~65세의 정상인에게 적용되며, BMI = 체중(kg) ÷ (신장(m)×신장(m))으로 산출됨. 2022년 중국 18~65세 남성 평균 BMI는 24.9로 22세부터 살이 찌기 시작해 41세에 최고치인 25.6을 기록함. - 18~65세 여성 평균 BMI는 23이며 상대적으로 체중이 잘 유지되었다가 60세가 넘으면 기준치를 넘어섬. - 남녀 비만 비중은 남성이 46세 66.2%, 여성은 64세 52.6%로 기본적으로 나이가 들수록 높아짐. 남성의 경우 대부분 지역에서 BMI를 표준 지수를 넘어섰고 특히 신장(26), 허베이(25.9), 랴오닝(25.8)의 지수가 높음. - 여성의 BMI는 허베이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정상이며, 허베이(24.03), 네이멍구(23.98), 신장(23.95)순으로 높게 나타남. 또한 여성이 가장 날씬한 지역은 장시(22.33), 칭하이(22.35), 상하이(22.44) 순임. <출처: “ 告出 !成年男性平均身高1.74米,24 以上人群偏 ” . 2022. 8. 8.>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링링허우가 가장 살고 싶은 도시 순위
2022년 6월 29일 중국사회과학원 사회학연구소(中 社 科 院社 究所)는 트랜드 플랫폼 사오훙수(小 )와 빅데이터 분석회사 DT차이징(DT )과 함께 「도시에 살기: 젊은이들 도시 선택에 대한 새로운 수요 통찰 보고서( 城市 :年 人 城市新需求洞察 告)」를 발표함. - 보고서에 따르면 창사( 沙), 쿤밍(昆明), 청두(成都)가 젊은이들에게 살기 좋은 도시 1~3위에 선정되었고, 전통적인 4대 1선 도시(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 중 광저우만 20위 안에 진입함. 2021년 말부터 사오홍수 앱의 ‘살기 좋은 도시’ 검색 지수가 상승하기 시작해 2022년 4월 검색량은 1월보다 275% 상승함. - 링링허우 중 약 90%는 다른 도시로 이주를 희망하며 그중 35.7%는 적극적으로 대안 도시를 탐색한다고 답함. 살기 좋은 도시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빠우허우(1985~1999년 출생 세대), 주링허우(1990~1994년 출생 세대), 주우허우(1995~1999년 출생 세대)는 여행, 직접경험을 가장 선호하고, 링링허우는 유일하게 온라인 정보공유를 통해 도시를 이해하고 선택하는 것으로 조사됨. 링링허우가 도시에 대해 논할 때 일상생활과 관련된 키워드 언급이 눈에 띄게 증가함. - 링링허우는 주택, 직장 등과 같은 통상적인 기준보다 생활 키워드가 기준이 되어 도시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남. 도시 이주의 내재적 이유는 세대별로 다른 동기를 보임. - 링링허우 38.5%는 더 다양한 삶의 가능성을 접하고 싶다고 응답했고, 주링허우 32.8%는 뿌리 깊은 정착을 고민함. - 주우허우는 링링허우와 주링허우 중간에서 가능성과 현실 모두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남. <출처: “小 合社科院 布 告:近9成00后想 城市生活” 央 . 2022. 6. 30.>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