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동북3성 재건 배경과 전략
동북지역은 1949년 공산당 정부 설립이후 석유, 석탄, 철광, 목재 등의 풍부한 천연자원을 바탕으로 중앙정부의 집중적인 투자에 힘입어 석유화학, 철강, 기계 등의 중화학 공업기지로 부상하여 중국 경제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해왔다. 이 때문에 동북지역은 '중국의 맏형'이라고 칭송되기도 하였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반덤핑 조례 등의 주요 개정내용과 전망
중국은 2002년 1월 '대외무역법(對外貿易法)'에 근거하여 대외무역 구제조치 관련 법률인 '보장조치(세이프가드) 조례', '반덤핑 조례', '반보조금 조례'를 제정하였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긴축 정책과 한국경제
1. 중국 경제의 과열과 원인 2. 향후 중국 경제의 방향 3.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 4. 대응 방안
홈 > 추천연구보고서 -
한중 경제 분석:한-중간 가공무역 현황과 시사점
2003년 한․중간 가공무역방식의 교역은 300억 달러로 양국간 교역액(중국 통계 기준)의 47.4%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2001년 50.4%에서 3.0%포인트 감소한 것이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세계경제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 분석
세계경제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 확대 중국이 세계의 경제성장과 교역 증가는 물론 원유, 철강, 비철금속 등의 소비를 주도하면서 세계경제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소장 玄旿錫)는 '세계경제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 분석'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중국경제가 9.1%의 높은 성장률을 유지하여 세계 국내총생산(GDP) 증가에 대한 중국의 기여율이 일본과 같은 수준인 14.8%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3년 중국의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9%로 미국(31.2%), 일본(15.1%), EU(25.2%)에 비해 낮으나, 지난 해 중국의 세계경제성장에 대한 기여율은 미국(37%)에 비해서는 낮으나 EU(7.4%)의 두 배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질구매력(PPP)으로 평가한 GDP의 경우 중국의 기여율은 23.5%로 미국(18.6%)과 일본(5.3%)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이 세계 교역 증대에 미치는 영향력도 커져, 2003년 세계 수출증가(15.5% 증가)에 대한 중국의 기여율은 11%로 EU(42.6%)에 이어 2위를 차지하였으며, 미국(3.2%)과 일본(5.9%)의 2~3배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 수입증가(15.6% 증가)에 대한 중국의 기여율은 11.5%로 EU(42.9%)에 2위를 차지하였으나, 미국(10.3%)과 일본(4.5%)을 크게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경제성장과 더불어 세계 원유 소비와 수입 증가에 대한 기여율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3년 중국은 일본을 제치고 세계 2위 석유 소비국으로 부상하였으며, 2003년 세계 원유소비 증가(1.9%)에 대한 중국의 기여율은 31.2%로 미국(21.1%)과 일본(6.9%)을 크게 상회하였다. 특히 중국은 2003년 프랑스와 이탈리아를 제치고 세계 5대 석유(원유 및 석유제품 포함) 수입국으로 부상하였으며, 2002년을 기준으로 세계 원유수입 증가의 22.3%가 중국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 최대 강재 소비국인 중국은 2003년 전 세계 강재 소비의 30%를 차지하였으며, 세계 강재소비 증가(8.9%)중 81.6%가 중국의 소비 증가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미국의 기여율은 -1.4%, 일본은 2.1%, 한국은 2.1%, 독일은 -0.6%로 나타났다. 비철금속 소비 증가 역시 중국이 주도, 2003년 세계 구리수요 증가의 76.8%, 알루미늄 소비 증가의 44.5%, 니켈수요 증가의 141.8%가 중국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는 중국이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증대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중국의 정책 변화, 원자재 수급 동향 등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해외자원 개발, 주요 자원 수출국에 대한 자원외교 활동 강화 등 안정적인 자원 확보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경제의 연착륙 전망
<요 약> □ 대출과 투자증가율 급증 등에 따라 중국경제 과열 우려 대두 ㅇ 지방정부, 공기업 등 주요 경제 주체들의 모럴 해저드와 비효율적 금융시스템, 해외자본 유입, 부동산 투자 열기 등이 원인 □ 이에 따라 중국 정부는 지급준비율 및 재할인율 인상 등 통화정책과 기타 행정 규제를 혼용하여 과열 우려에 대처 □ 정부의 대응에도 불구하고 경기 경착륙을 우려하는 시각 제기 ㅇ 긴축조치가 실패하거나 지나치게 과도한 집행으로 부작용이 드러날 경우 ㅇ 자산가격 폭락 등 경제충격이 발생하거나 사회적 불안 양상이 표출될 경우 ㅇ 해외로부터 유입된 유동성이 유출되거나 선진국 경기가 침체에 빠질 경우 □ 그러나 경착륙 가능성을 제기하는 상기 요인들이 현실화될 가능성은 제한적이며 現 상황에서는 경기의 연착륙 국면을 예상하는 시각이 우세 ㅇ 90년대 중반의 과열국면과 현재 시점의 경제 양상은 상이 - 투자 증가율은 당시보다 높으나 CPI, GDP, M2 등이 낮은 수준 ㅇ 또한 당시보다 긴축조치가 선제적이고 선별적이라는 점 등도 긍정적 - 후속 조치로써 금리인상이 실행되더라도 큰 폭의 인상은 어려울 것으로 보여 경제 충격은 크지 않을 듯 □ 결론적으로 현재의 선별적 긴축조치는 내년초까지 투자 증가율을 10~20%대 초반 수준으로 둔화시키는 정도에서 조절될 듯 ㅇ 다만, 예상과는 달리 경착륙 국면이 도래할 경우 NPL 문제가 부각될 여지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금리인상 논란, 그 현실성은?
외국계 증권사 보고서 요지 금리 인상 하반기에나 가능할 듯, 향후 긴축정책 강도는 그리 크지 않을듯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제2차 韓中경제심포지엄(요약)
제Ⅰ주제 한중 양국에 대한 외국인투자 확대 방안 발표자Ⅰ-1: 윤종용 삼성전자 부회장 발표자Ⅰ-2: 김쌍수 LG전자 부회장 발표자Ⅰ-3: 스지량(史紀良) 중국은행업감독관리위원회 부주석 발표자Ⅰ-4: 왕윈쿤(王雲坤) 지린성(吉林省) 당위원 서기 제Ⅱ주제 외환시장과 환율안정을 위한 한․중 협력 발표자Ⅱ- 1: 김승유 하나은행 행장 발표자Ⅱ- 2: 마웨이화(馬蔚華) 자오상(招商)은행 회장 겸 행장 제Ⅲ주제 한․중 산업 및 기술협력 방안 발표자Ⅲ-1: 강창오 포스코 사장 발표자Ⅲ-2: 왕칭하이(王靑海) 서우두(首都) 강철 사장 발표자Ⅲ-3: 김용구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회장 발표자Ⅲ-4: 천펑(陳峰)하이난(海南) 항공사장 제Ⅳ주제 한중 FTA 체결을 위한 환경조성 방안 발표자Ⅳ-1: 안충영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발표자Ⅳ-2: 김동진 현대자동차 부회장 발표자Ⅳ-3: 둥양(董揚) 베이징(北京)자동차 그룹 사장 발표자Ⅳ-4: 가오더캉(高德康) 보tm덩(波司登) 회장 제Ⅴ주제 한중 IT산업 발전을 위한 제언 발표자Ⅴ-1: 박병엽 PANTEC 계열 부회장 발표자Ⅴ-2: 김신배 SK Telecom 사장 발표자Ⅴ-3: 우잉(吳鷹) UT Starcom 회장 발표자Ⅴ-4: 위야오창(兪堯昌) Galanz 그룹 부사장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외국기업의 중국기업 M&A 현황 및 전망
1. 세계 M&A 현황 2. 중국의 외국인직접투자(FDI) 및 M&A 현황 3. 외국기업의 중국기업 M&A 특징 및 업종별 분석 4. 중국 기업 M&A 장단점 5. 향후 전망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경기과열에 따른 대출제한 품목 발표
<주요 내용> - 중국정부는 경기과열에 따른 긴축조치의 일환으로, 대출금지 및 제한품목을 지정하여 각 은행에 하달함. - 이번 조치는 대출금이 기술 수준이 낮고 규모가 작은 산업으로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통제하는 것이 주요 목적임. 이상 총 14쪽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