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과 일본의 대중국 투자 성과 비교와 시사점
2001년 이후 한국과 일본의 대중 투자는 크게 늘어나고 있다. 해외 총투자에서 중국에 대한 투자가 차지하는 비중으로 볼 때 한국기업들이 일본기업들보다 중국에 2배 이상 집중 투자하고 있다. 그러나 건당 투자 금액은 일본의 절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업종별 투자에서는 양국 모두 제조업에 집중 투자하고 있으며, 제조업 중에서는 한국이 일본보다 노동집약적 업종에 더 많이 투자하고 있다. 지역별 투자에서도 한국기업들이 특정 지역에 더 편중된 투자 양상을 보이고 있다. 투자 동기에서는 한국 기업들이'노동력 활용'에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두는 반면, 일본 기업들은'시장 확대'에 더 관심을 두고 있다. 대중 투자 성과 면에서는 큰 차이는 없으나 한국 기업들이 일본 기업들에 뒤지는 것으로 나타난다.중국내 경영 활동 면에서는 양국이 비슷한 양상을 보이나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는 중국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중국 내수용 제품 개발과 현지 R&D 체제의 확립 등이 필요하다. 총 10쪽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해외직접투자(走出去) 전략의 시사점
Ⅰ. 연구 목적 ・・・・・・・・・・・・・・・・・・・・・・・・・・・・・・・・・・・・・・・・・・・・・・・・・・・・・・・・・・・・・・・・・・・・・・・・・・・・・・・ 1 Ⅱ. 해외직접투자(走出去)의 위상 및 배경 ・・・・・・・・・・・・・・・・・・・・・・・・・・・・・・・ 3 1. 개방정책의 새로운 축 ・・・・・・・・・・・・・・・・・・・・・・・・・・・・・・・・・・・・・・・・・・・・・・・・・・・・・・・・ 3 2. 경제환경 변화 ・・・・・・・・・・・・・・・・・・・・・・・・・・・・・・・・・・・・・・・・・・・・・・・・・・・・・・・・・・・・・・・・・・・・・ 5 3. 산업정책 측면 ・・・・・・・・・・・・・・・・・・・・・・・・・・・・・・・・・・・・・・・・・・・・・・・・・・・・・・・・・・・・・・・・・・・・・ 7 4. 기업정책(기업 집단화) 측면 ・・・・・・・・・・・・・・・・・・・・・・・・・・・・・・・・・・・・・・・・・・ 10 Ⅲ. 해외직접투자(走出去)의 현황 및 전망 ・・・・・・・・・・・・・・・・・・・・・・・・・・・・・ 12 1. 추이 및 특징 ・・・・・・・・・・・・・・・・・・・・・・・・・・・・・・・・・・・・・・・・・・・・・・・・・・・・・・・・・・・・・・・・・・・・・ 12 2. 투자 목적 ・・・・・・・・・・・・・・・・・・・・・・・・・・・・・・・・・・・・・・・・・・・・・・・・・・・・・・・・・・・・・・・・・・・・・・・・・・・ 22 3. 투자 전망 ・・・・・・・・・・・・・・・・・・・・・・・・・・・・・・・・・・・・・・・・・・・・・・・・・・・・・・・・・・・・・・・・・・・・・・・・・・・ 25 (1) 투자 규모 ・・・・・・・・・・・・・・・・・・・・・・・・・・・・・・・・・・・・・・・・・・・・・・・・・・・・・・・・・・・・・・・・・・・・・・ 26 (2) 투자 대상 지역 ・・・・・・・・・・・・・・・・・・・・・・・・・・・・・・・・・・・・・・・・・・・・・・・・・・・・・・・・・・・・・ 26 (3) 투자 업종 ・・・・・・・・・・・・・・・・・・・・・・・・・・・・・・・・・・・・・・・・・・・・・・・・・・・・・・・・・・・・・・・・・・・・・・ 27 (4) 소유제 ・・・・・・・・・・・・・・・・・・・・・・・・・・・・・・・・・・・・・・・・・・・・・・・・・・・・・・・・・・・・・・・・・・・・・・・・・・・・ 27 (5) 투자 형태 ・・・・・・・・・・・・・・・・・・・・・・・・・・・・・・・・・・・・・・・・・・・・・・・・・・・・・・・・・・・・・・・・・・・・・・ 28 (6) 투자 목적 ・・・・・・・・・・・・・・・・・・・・・・・・・・・・・・・・・・・・・・・・・・・・・・・・・・・・・・・・・・・・・・・・・・・・・・ 30 Ⅳ. 해외직접투자(走出去) 관련 정책 ・・・・・・・・・・・・・・・・・・・・・・・・・・・・・・・・・・・・・・・ 32 1. 국가 전략 ・・・・・・・・・・・・・・・・・・・・・・・・・・・・・・・・・・・・・・・・・・・・・・・・・・・・・・・・・・・・・・・・・・・・・・・・・・・ 32 2. 관련 정책 ・・・・・・・・・・・・・・・・・・・・・・・・・・・・・・・・・・・・・・・・・・・・・・・・・・・・・・・・・・・・・・・・・・・・・・・・・・・ 33 3. 정책 전망 ・・・・・・・・・・・・・・・・・・・・・・・・・・・・・・・・・・・・・・・・・・・・・・・・・・・・・・・・・・・・・・・・・・・・・・・・・・・ 35 (1) 담당 부서 확대 ・・・・・・・・・・・・・・・・・・・・・・・・・・・・・・・・・・・・・・・・・・・・・・・・・・・・・・・・・・・・・ 35 (2) 경쟁력 강화 지원 조치 ・・・・・・・・・・・・・・・・・・・・・・・・・・・・・・・・・・・・・・・・・・・・・・・・ 36 (3) 불법 및 부작용 방지 대책 ・・・・・・・・・・・・・・・・・・・・・・・・・・・・・・・・・・・・・・・・・・ 38 (4) 권익 보호 ・・・・・・・・・・・・・・・・・・・・・・・・・・・・・・・・・・・・・・・・・・・・・・・・・・・・・・・・・・・・・・・・・・・・・・ 39 Ⅴ. 한국에 대한 직접투자 현황 및 대응 방향 ・・・・・・・・・・・・・・・・・・・・・・ 40 1. 추이 및 특징 ・・・・・・・・・・・・・・・・・・・・・・・・・・・・・・・・・・・・・・・・・・・・・・・・・・・・・・・・・・・・・・・・・・・・・ 40 2. 투자 전망 ・・・・・・・・・・・・・・・・・・・・・・・・・・・・・・・・・・・・・・・・・・・・・・・・・・・・・・・・・・・・・・・・・・・・・・・・・・・ 45 (1) 시장 개척 및 기술 습득에 중점 ・・・・・・・・・・・・・・・・・・・・・・・・・・・・・・・・・ 45 (2) M&A가 주를 형성 ・・・・・・・・・・・・・・・・・・・・・・・・・・・・・・・・・・・・・・・・・・・・・・・・・・・・・・ 46 (3) 브랜드 구입 증대 ・・・・・・・・・・・・・・・・・・・・・・・・・・・・・・・・・・・・・・・・・・・・・・・・・・・・・・・ 47 (4) 구미 기업과의 연대를 통한 직접투자 ・・・・・・・・・・・・・・・・・・・・・・ 48 (5) 중간재 및 부품에 집중 ・・・・・・・・・・・・・・・・・・・・・・・・・・・・・・・・・・・・・・・・・・・・・・・・ 48 (6) 투자환경 개선 요청 전망 ・・・・・・・・・・・・・・・・・・・・・・・・・・・・・・・・・・・・・・・・・・・・ 51 3. 중국 투자 도입시 고려 요인 ・・・・・・・・・・・・・・・・・・・・・・・・・・・・・・・・・・・・・・・・・・ 52 (1) 중국 시장 접근 용이성 ・・・・・・・・・・・・・・・・・・・・・・・・・・・・・・・・・・・・・・・・・・・・・・・・ 53 (2) 원활한 분업체계 구축 ・・・・・・・・・・・・・・・・・・・・・・・・・・・・・・・・・・・・・・・・・・・・・・・・・・ 54 (3) 산업 공동화 가능성 예방 ・・・・・・・・・・・・・・・・・・・・・・・・・・・・・・・・・・・・・・・・・・・・ 56 (4) 지역사회 개발에 대한 기여 ・・・・・・・・・・・・・・・・・・・・・・・・・・・・・・・・・・・・・・・・・ 56 4. 대응 방향 ・・・・・・・・・・・・・・・・・・・・・・・・・・・・・・・・・・・・・・・・・・・・・・・・・・・・・・・・・・・・・・・・・・・・・・・・・・・ 58 (1) 한국 기술과 중국 자본의 결합 유도 ・・・・・・・・・・・・・・・・・・・・・・・・・・ 58 (2) 부품ㆍ중간재는 수출과 연계된 다양한 전략 필요 ・・・・ 58 (3) 지방 단위 유치 사절단 파견 ・・・・・・・・・・・・・・・・・・・・・・・・・・・・・・・・・・・・・・・ 59 (4) 차별적 입국 절차 간소화 고려 ・・・・・・・・・・・・・・・・・・・・・・・・・・・・・・・・・・・ 60 Ⅵ. 한ㆍ중 산업협력의 새로운 지평 ・・・・・・・・・・・・・・・・・・・・・・・・・・・・・・・・・・・・・・・ 61 참고문헌 ・・・・・・・・・・・・・・・・・・・・・・・・・・・・・・・・・・・・・・・・・・・・・・・・・・・・・・・・・・・・・・・・・・・・・・・・・・・・・・・・・・・・・・ 63
홈 > 추천연구보고서 -
한ㆍ중ㆍ일 전자산업의 역내 무역구조 분석
1. 한중일 3개국의 수출비중 <표1> 한중일 3개국의 수출비중 2. 전자산업에서의 한중일 3국의 수출액 및 비중 <표2> 세계 전자산업의 국별 생산액 <표3> 세계 전자산업의 국별 생산비중 <표4> 한중일 전자산업의 수출액 <표5> 한중일 전자산업 주요 품목의 수출비중 <표6> 한중일 전자산업의 수입액 <표7> 한중일 전자산업의 수입 비중 3. 품목별 무역 분석 <표8> 한국 전자산업의 주요 품목별 수출액 및 비중 <표9> 중국 전자산업의 주요 품목별 수출액 및 비중 <표10> 일본 전자산업의 주요 품목별 수출액 및 비중 총 11쪽
홈 > 추천연구보고서 -
동북아시대 한국 자동차산업의 진로
최근 동북아지역이 세계 자동차산업의 중심지로 부상하면서 다국적기업의 직접투자가 급증하고 있다 . 동북아지역에는 세계 최고의 자동차기술과 2위의 시장을 보유하고 있는 일본과 세계에서 가장 높은 자동차생산 및 수요증가율을 기록하고 있는 중국, 그리고 수출주도형 성장을 통해 단기간 내에 세계 6위의 자동차생산국으로 부상한 우리나라가 자리잡고 있다. 특히 동북아지역에는 세계 30대 완성차업체 중 12개 업체가 자리잡고 있으며, 시장개방에 따라 구미 완성차업체의 진출이 증가하면서 동북아시장은 세계 자동차업계의 격전장으로 변모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자동차산업의 경쟁환경 변화와 동북아 자동차산업의 현황 및 전망에 대해 분석해 본 후 한국 자동차산업의 진로에 대해 고찰해 보기로 한다. 자동차 산업의 경쟁환경변화 동북아 자동차 산업의 현황과 전망 한국 자동차 산업의 진로 총 11쪽.
홈 > 추천연구보고서 -
對중국 투자기업의 철수 결정요인 분석
1988년부터 시작된 한국의 대중투자는 매년 급속히 증가하여, 2003년 말 현재 중국은 미국에 이은 제2의 투자 대상국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철저한 사업타당성 분석 없이 거대한 내수시장만 믿고 투자를 행하는 감이 없지 않다. 최근 국내 기업들에 의한 대중투자 철수 사례가 증가하고있다는 것이 그 반증이다. 2003년 6월 말 현재 누계기준으로 청산 건수와 청산을 통한 회수금액이 각각 586건, 13억 6,966만 달러에 달하고 있다. 중국시장에서 재투자한 기업들에 의한 청산과 청산을 국내 관계기관에 신고치 않은 기업들을 포함하면 실제 대중 철수기업들은 공식통계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시장에서 외자기업간, 외자기업과 중국기업간 경쟁이 심화되고, 저임금 노동력 활용에 따른 비용우위 메리트가 점차 사라지는 추세에 비춰볼 때, 향후 대중 투자기업의 철수 사례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가 이처럼 심각해지고 있는데도 , 왜 투자철수를 하게 되는가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어떠한 요인에 의해 투자철수를 하게 되는가를 살펴보고 있다. 분석 대상기간은 1988년부터 2002년말 현재까지이며, 표본은 상장기업 중 제조부문에 속한 기업들의 중국 자회사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각 성・시별로 한국기업이 투자한 산업과 동일한 산업에 속한 외국기업과 중국기업의 밀도 수준은한국기업 자회사 철수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동종산업에 속한 한국기업들이 많을수록 자회사 생존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국내 기업간 투자집적지 형성에 따른 정(positive)의 네트워크 외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투자 모기업이 재무자원 가용성에 있어문제가 있는 경우, 해당 기업 자회사들의 철수 가능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단독투자기업보다는 합작투자를 통해 현지시장에 대한 경험과 학습을 획득한 기업들의 철수 가능성이 낮게 나타났다. 넷째, 중국시장 진입 후 보통 4년 안에 생존의 최대 고비를 맞이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투자기업의 32% 정도가 이 기간 내에 철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소기업의 50% 정도가 4년 안에 철수를 단행하는 것으로 나타나, 투자초기 불안정한 시기가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의 경우 보다 현저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목차> 1. 머리말 2. 대중투자 철수 결정요인 분석 3. 연구의 시사점 총 16쪽.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다양한 모습과 한국의 대응
< 요약 > 1980년대 이후 고도성장을 지속해온 중국은 향후에도 고도성장을 지속할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중국은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에도 세계의 공장및 세계의 시장으로 자리잡게 될 것이다. 중국의 이러한 발전은 우리에게 기회인 동시에 도전으로 작용하고 있다 . 중국이 세계의 시장 역할을 한다면 우리에게도 시장 역할을 한다. 이는 우리에게 기회요인이 된다. 중국이 세계로 많은 제품을 수출하는 세계 공장 역할을 하는 경우에도 우리에게 기회로 작용한다. 중국에 의한 대세계 수출이 증대되면 중국이 수출에 필요한 다량의 부품 및 중간재를 한국으로부터 수입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중국이 세계로의 수출을 증대시키면 세계시장에서 우리와의 경쟁이 불가피하다. 이는 분명 우리에게 도전요인이다. 또한 중국이 세계의 공장 역할을 한다는 것은 전세계의 많은 기업이 중국으로 생산시설을 이전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여기에서 한국 기업도 예외일 수 없다. 만약 중국으로 생산시설을 이전하는 한국기업이 기술 수준에 상관없이 무차별적으로 이전한다면 국내에 산업공동화의 위협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이것 또한 중국이 우리에게 도전 역할을 하는 경우이다. 즉 중국의 경제가 발전하게 되면 다양한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서는바 중국의 다양한 모습에 대해 다양한 대응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금리인상, 4/4분기 전후 예상
<내용> - 경기과열 억제정책이 부분적으로 진정되고 있으나 여전히 중국의 금리인상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분분함 - 이는 여전히 높은 고정자산 투자와 지속적인 물가상승 때문에 기인된 것으로 보임 - 더욱이 최근 중앙은행장을 비롯한 통화당국 관리의 금리 인상 가능성 발언이 계속되면서 이런 가능성이 높아짐 - 그러나 금리인상은 일부 외신에서 보도되는 것처럼 미국 연준리의 금리 인상 이후인 7월 초에 실시될 가능성은 낮아 보임 - 이는 물가상승이 식료품이 주도하고 있고, 경기과열 분야에 대한 은행감독위의 실사 등이 6월말까지 진행된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결과가 가시화되는 3/4분기가 지나야 가능할 수 있다는 점에 기인 - 따라서 금리인상이 있다면, 4/4분기를 전후하여 실시 가능성이 있으며, 금리인상 폭도 경제의 충격을 최소화하는 차원에서 0.25% 수준으로 전망됨 - 한편, 통화당국자의 금리인상 발언은 기업 등에 대한 경고성 메시지 성격이 강함 (이상 총 5쪽. 끝)
홈 > 추천연구보고서 -
The Role of Infrastructure Investment Location in China's Western Development
1. Introduction 2. Background Description and Theoretical Review 3. Peripheral Degree 4. Growth Determination 5. Simulations 6. Regional Policy Suggestions 7. Conclusions References Hubei, Henan, and Hunan
홈 > 추천연구보고서 -
ADJUSTING CHINA'S EXCHANGE RATE POLICIES
Revised version of the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s seminar China's Foreign Exchange System, Dalian, China, May 26-27, 2004. I. INTRODUCTION II. IS THE RENMINBI OUT OF LINE? III. IS CHINA “MANIPULATING” THE RENMINBI? IV. WOULD A 15 TO 25 PERCENT APPRECIATION OF THE RENMINBI BE IN CHINA'S INTEREST AND IN THE INTEREST OF THE REST OF THE WORLD? WHAT WOULD BE IN CHINA'S INTEREST? V. WHAT KIND OF CURRENCY REGIME WOULD BEST FACILITATE AN APPRECIATION OF THE RENMINBI? VI. CLOSING REMARKS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외환관리방법 강화 내용 발표
중국, 외환관리방법 강화 내용 발표(중국내 외자은행 외채관리 방법 전문 번역 포함) - 중국은 긴축조치의 일환으로 통화량 및 외환에 대한 추가적인 제한을 위해, 외상투자기업의 계좌관리 및 외자은행의 외채관리에 대한 강화 규정을 발표함.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