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전력난 및 용수난 실태
○ 연구목적: 본 연구는 2006년과 2030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중국 내 전력난 및 용수난의 실태를 파악, 진출기업 및 시정부와 중앙정부 차원에서의 대책마련을 촉구하기 위해 작성됨. ○ 연구방법 - 전력난 및 용수난 실태파악을 위한 조사는 주로 저장성, 장쑤성, 산둥성, 텐진 등에 진출한 인천지역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함. - 중국 전력난, 전력산업, 수자원 문제 등에 대한 문헌조사 실시 ○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중국 전력난의 배경 1. 불균형 성장 2. 전력난의 원인 Ⅲ. 중국 전력난 실태 1. 중국 내 영향 2. 진출기업에 대한 영향 Ⅳ. 중국 정부의 대응 Ⅴ. 시사점 * <보론> 중국의 용수난 현황 * 기업용 설문지 * 첨부파일이 다운로드되지 않는 경우, ' IE메뉴 ▷ 도구 ▷ 인터넷옵션 ▷ 고급 ▷ 탐색(가장 하위 메뉴) ▷ URL을 항상 UTF-8로 보냄(다시 시작 필요) '의 체크(√)를 풀고(공란 상태) '확인' 버튼을 클릭하신 후, IE를 다시 시작하시기 바랍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무역정책과 우리의 대응방안
중국은 2003년 교역량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두 번째 대상국이고, 우리나라는 중국의 여섯 번째 대상국이다. 양국의 교역규모는 570억 달러로 전년대비 38.7%가 증가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의 외교전략과 한반도
1. 중국의 외교전략과 한반도 / 이태환 20 2. 중국 쇼크의 허실 / 김시중 24 3. 한중 양국의 상호인식 / 이희옥 28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전력부족 현상, 2006년까지 지속될 전망
예년보다 빠른 무더위로 최근 중국의 전기사용량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것은 보통 6월 하순 경에 나타나는 현상이었으나, 올해는 전년보다 10일 이상 일찍 시작되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사례를 통해 본 경기과열 억제 정책의 속내
중국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일부 산업의 경기과열을 우려해 지급준비율 인상과 부동산 자금대출 축소 등의 경기과열 억제정책을 시행해 왔으며, 물가가 가파르게 상승하는 금년 봄부터 과열분야에 대한 대출제한 등 더욱 강경한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철강, 시멘트, 알루미늄, 부동산 등 중국의 경기과열을 주도하고 있는 산업 가운데 하나인 철강 산업의 위법 혐의 적발 사례를 통해 최근 중국 정부의 경기과열 억제 정책의 속내를 알아본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경제환경 변화에 따른 투자전략세미나
ㅇ 행사명 : 중국 경제환경 변화에 따른 투자전략 세미나 ㅇ 개최일 : 2004. 6. 23(수) 09:30-17:30 ㅇ 장소 : KOTRA 본사 지하1층 국제회의장 동 설명회의 원고집을 파일로 첨부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ㅇ 목차 주제발표Ⅰ 중국의 최근 경제 및 투자환경 변화 /9 주제발표Ⅱ 제조업계의 중국 현지 투자ㆍ경영 실태/31 주제발표Ⅲ 중국 유통시장 진출 전략 - 인사, 조직, 판매, 마케팅 중심으로 /53 주제발표Ⅳ 중국 진출시 유의점/77 주제발표Ⅴ 투자단계에서의 법률분쟁과 예방방법/95 주제발표Ⅵ 투자 후 법률분쟁과 해결방법/127. 끝.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진출기업을 위한 중국경제법령집-최신 투자 법령중심-
ㅇ 행사명 : 중국 경제환경 변화에 따른 투자전략 세미나 ㅇ 개최일 : 2004. 6. 23(수) 09:30-17:30 ㅇ 장소 : KOTRA 본사 지하1층 국제회의장 상기 설명회때 배포한 법령참고자료를 파일로 첨부하오니 많은 참고 있으시기 바랍니다. ㅇ 목차 1. 중화인민공화국외자기업법 /1 (中華人民共和國外資企業法) 2. 중화인민공화국외자기업법시행세칙 /8 (中華人民共和國外資企業法實施細則) 3. 중화인민공화국중외합자경영기업법 /31 (中華人民共和國中外合資經營企業法) 4.중화인민공화국중외합자경영기업법시행조례 /36 (中華人民共和國中外合資經營企業法實施條例) 5. 중화인민공화국중외합작경영기업법 /65 (中華人民共和國中外合作經營企業法) 6. 중외합자대외무역회사설립에관한잠정방법 /71 (關于設立中外合資對外貿易公司暫行辦法) 7. 중외합자대외무역회사설립에관한잠정방법보충규정 /74 (關于設立中外合資對外貿易公司暫行辦法補充規定) 8. 중화인민공화국중외합작학원설립조례 /77 (中華人民共和國中外合作辦學條例) 9. 외국인투자컨벤션회사설립에관한잠정규정 /94 (設立外商投資會議展覽公司暫行規定) 10. 외국인투자지주회사설립에관한규정 /98 (關于外商投資擧辦投資性公司的規定) 11. 중화인민공화국국제화물운수대리업관리규정실시세칙 /109 (中華人民共和國國際運輸代理業管理規定實施細則) 중국진출기업을 위한 중국경제법령집 12. 외국인투자벤처캐피탈기업관리규정 /123 (外商投資創業投資企業管理規定) 13. 외국인투자건축업기업관리규정 /141 (外商投資建築企業管理規定) 14. 외국투자자의내국인기업인수․합병(M&A)에관한잠정규정 /148 (外國投資者幷購境內企業暫行規定) 15. 상장기업의외국기업에대한국유주및법인주양도에관한통지 /159 (關于向外商轉讓上市公司國有股和法人股問題的通知) 16. 외자유치를통한국유기업개조에관한잠정규정 /163 (利用外資改組國有企業暫行規定. 끝.
홈 > 추천연구보고서 -
부시행정부의 대중국정책에 대한 미 의회보고서의 주요 내용
부시행정부의 對中國政策에 대한 미 議會報告書의 주요 내용 (超黨的 입장에서 부시행정부의 對중국정책 비판) □ 美 공화당 및 민주당 의원 12명으로 구성된 「美‐中 經濟 및 安保 檢討委員會(USCC)」는 6월 15일 의회에 제출한 年例檢討報告書에서 경제 및 안보 분야에서의 부시행정부의 對중국정책을 강도 높게 비판 <美-中 무역불균형> □ 미국의 對중국 무역적자가 2003년 1,240억달러에 달한 데 이어 2004년에는 더욱 확대될 전망이므로 미국의 섬유 및 기타 공산품 제조업체들을 중국업체의 저가수출공세로부터 보다 강력히 보호해 줄 것을 요구 <위앤貨 재평가> □ 위앤貨의 실질적인 절상이 이루어지도록 미국정부가 적절하고 이용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해 줄 것을 요구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중국의 역할> □ 同 위원회는 북핵 프로그램의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핵폐기(CVID)”를 주장하는 부시행정부의 입장을 지지하면서 북핵문제의 조속한 타결을 위해 중국이 보다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도록 부시행정부가 압력을 가할 것을 요구 <대만문제에 대한 중국의 강경대응> □ 중국이 대만독립에 대해 지나치게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부시행정부는 중국의 One China Policy에 대해 재평가할 필요가 있으며 양안문제에 보다 적극적인 중개노력이 요구된다고 주장 (전망 및 시사점) □ 美 의회의 이번 보고서로 미-중국 관계에 있어 급격한 정책 변화는 없을 것으로 예측 — 다만 대선을 앞두고 美 의회가 이례적으로 초당적 입장에서 현 정부의 對중국 정책에 대해 강한 비판을 제기*함으로써 11월 대선결과와 상관 없이 정치권에서는 차기 대통령이 미-중국 관계를 재정립하기를 기대하고 있음을 시사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외채관리 강화 내용과 그 파장
<내용> - 중국 진출 외자계 은행에 대한 외채관리 강화는 단기차입 급증과 내・외자계 은행의 불공평한 경쟁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것임 ㅇ 외자계 은행: 해외 자금 조달에서 유리하나 중국 내 자금 공급은 제한 ㅇ 내자계 은행: 중국 내 자금 공급은 유리하나 해외 자금 조달 어려움 - 외자계 은행에 대한 연간단위의 외화 차입 한도를 설정하고, 차입 자금의 용도를 제한하는 한편, 이들 자금의 조달과 운용 상황에 대해 감사 실시 - 외화 영업만을 하는 외자계 은행의 지점(현지법인)은 외화차입에 대한 자금이 외화대출에 한정되는 점에서 영업활동이 위축될 가능성이 있으며, 위안화 영업이 가능한 경우도 경쟁관계에 있는 내자계 은행이 위안화 자금 제공에 소극적일 수 있기 때문에 영업활동의 위축 가능성이 높음 - 또한 기업의 경우도 외화대출을 위안화로 전환하지 못함에 따라 상대적인 고금리 대출인 위안화 대출이 불가피하여 금리 비용이 증가할 듯 - 중국 역외에 있는 외국은행의 중국에 대한 자금 공급 확대 전망은 불투명함. 이는 외국은행으로부터의 차입이 위안화 전환은 가능하지만, 중국 내의 외화자금 조달이 큰 불편이 없는 상태라는 장점도 있기 때문에 최종적인 판단기준은 외화자금 조달 비용의 높고 낮음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임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최근 중국이 주도하는 세계의 철강시장
최근 중국이 주도하는 세계의 철강시장 (최근 세계의 조강생산 증가는 중국이 주도) □ 세계의 조강생산량은 2000년 이후 크게 늘어나 2003년에는 9억 6천만톤에 이르렀으며 2004년에는 10억톤을 초과할 전망 (중국은 세계 1위의 철강소비국) □ 중국은 세계 철강의 30.5%(2003년 기준)를 소비하는 최대의 철강소비국 (중국은 세계 최대의 철광석 수입국) □ 중국은 철광석의 최대 생산국임에도 불구하고 철강의 생산 및 소비가 급증함에 따라 철광석의 수입도 크게 늘어나는 추세 □ 중국 의 조강생산 급증으로 철광석 수요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철광석 가격도 높은 상승률을 기록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