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2023년 중국 물가 전망
2023년 1월 17일 중국국가통계국( 家 局)은 「2022년 국민경제 운영 현황발표회( 民 行情 布 )」를 통해, 2023년 중국은 물가 상승 요인이 적어 물가 상승은 제한적일 것으로 발표함. 2022년 중국 물가는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유지하였으며, 2022년 소비자물가 지수(CPI)는 2% 증가하였고 시장 전망치보다 3% 밑돎. 중국국가통계국 캉의(康 ) 국장은 아래와 같은 요인으로 2023년 중국 물가가 안정적일 것이라고 밝힘. 첫째, 중국은 통화 과잉 공급이 없었으며, 가격은 여전히 공급과 수요를 반영하고 있음. - 미국은 인플레이션을 억제를 위해 금리를 지속해서 인상하였고, 12월 미국 CPI는 6.5%, 유럽 CPI는 10% 이상 상승하였고 최근 일본 CPI도 상승 중임. 둘째, 공급과 안정을 위한 조치가 효과 보임. - 최근 물가 상승 요인인 지정학적 갈등, 에너지 가격 상승, 수입 인플레이션 등을 해소하기 위해 중국은 상품의 안정적인 공급을 통해 물가 안정에 기여 - 2022년 석탄 총생산량은 45억 톤으로, 안정적 석탄공급으로 전력 공급을 보장함. - 곡물 생산량은 8년 연속 1조 3,000억 근 이상으로 19년 연속 풍작을 달성함. 곡물 가격의 상승은 많은 제품의 가격 상승을 동반함. 셋째, 산업재와 서비스업의 공급이 충분함. - 중국의 산업 체계 완비로 상품과 서비스의 적절한 공급은 소비자 가격 안정에 기여 <출처: “官方 !2023年物价不具 大幅上 基 ” 中新 . 2023. 1. 17.>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2022년 초혼인구 37년 만에 최저치
2022년 12월 1일 중국 경제 매체 제일재경(第一 )의 발표에 따르면, 최근 중국 혼인인구는 감소추세를 보임. - 2021년 혼인 신고한 커플은 764만 3,000쌍으로 혼인 건수가 800만 건을 밑돈 것은 2003년 이후 처음임. - 또한 초혼 연령이 늦어지고 있으며 비혼주의자는 나날이 증가하고 있음. 혼인신고 수는 초혼과 재혼을 합한 수이며, 초혼 수는 출생 인구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 중국국가통계국( 家 局)이 발표한 「중국통계연감(中 年 ) 2022」에 따르면, 2021년 중국의 초혼자 수는 1,157만 8,000명으로 전년 대비 70만 8,000명 감소함. - 초혼자 수가 1,200만 명 아래로 감소한 것은 1985년 이후 처음임. 지역별 초혼자 수는 광둥성이 1위로 98만 7,400명, 허난성이 92만 1,200명으로 2위이며, 장쑤성, 쓰촨성, 산둥성이 3~5위를 차지함. 중국 초혼자 수는 2013년 2,385만 9,600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지속해서 감소하여 2021년 51.5% 감소함. - 초혼자 수 감소 원인은 결혼 적령기 인구 감소, 높아진 초혼 연령, 경제적 스트레스, 결혼과 연애의 개념 변화 등이 있음. - 「중국 인구조사 연감(中 人口普 年 ) 2020」에 따르면 2020년 중국의 평균 초혼 연령은 28.67세로 2010년 평균 초혼 연령(24.89세)보다 3.78세 증가함. 2022년 1~3분기, 중국의 혼인 건수는 지속해서 감소하고 있음. - 2022년 3분기 혼인신고 건수는 544만 5,000건으로 2021년 같은 기간보다 7.5% 감소함. - 이는, 2007년 3분기 대비 가장 낮은 수치임. <출처: “ 家 布|去年我 初婚人 跌破1200万 37年 新低” 四川省婚 行 . 2022. 12. 9.>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의 지역별 대만 무역 규모
중국 지역별 대만과의 무역 규모가 가장 큰 지역은 광둥성으로 전체 대만 무역의 30.3%를 차지함. - 2022년 중국 지역별 대만 무역 규모는 광둥성이 969억 9,633만 달러로 가장 많고, 장쑤성 581억 3,886만 달러, 상하이시 412억 6,930만 달러 순으로 나타남. 2022년 對대만 지역별 수입 비중은 광둥성 35.2%, 장쑤성 17.4%, 상하이시 11.8%, 허난성 5.2%, 저장성 4.1%, 충칭시와 산둥성 3% 순으로 나타남. - 수출 비중은 장쑤성이 20.6%로 가장 높고, 상하이시와 광둥성이 16.2%로 공동 2위, 푸젠성 11.7%, 저장성 6.8%, 산시(陝西)성 5.2%, 랴오닝성 4% 순임. 중국과 대만 무역의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반도체의 경우, 대만 파운드리 업체는 중국에 반도체 공장을 건설해 운영 중임. - TSMC는 상하이시와 장쑤성 난징, UMC는 광둥성 샤먼에 공장이 위치함. <출처: 중국해관총서 홈페이지(http://www.customs.gov.cn/)>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과 대만 무역방식
중국의 대만 무역방식은 일반무역 비중이 가장 높음. - 2022년 중국의 對대만 일반무역 수입 규모는 853억 9,383만 달러, 수출은 398억 5,142만 달러로 전체 무역의 39.2%의 비중을 차지함. - 임가공무역은 수입 941억 4,708만 달러, 수출 251억 1,713만 달러로 37.3%를 차지함. - 보세무역 수입 규모는 580억 달러, 수출은 149억 달러로 22.8%임. 무역방식의 비중을 수입과 수출로 나누어 살펴보면, 수입은 임가공무역이 39.5%, 일반무역은 35.9%로 3.6%p 격차를 보임. - 임가공, 일반 수입 품목 모두 반도체 관련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음. 반면 수출은 일반무역이 48.8%를 차지하고, 임가공무역 30.8%, 보세무역 18.3% 순으로 나타남. - 중국의 대만 수출 일반무역 품목은 전자집적회로가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는 저가 간이 통관 상품으로 집계되었고, 의류, 식품, 차량용 부품 등이 상위 10개에 포함 <출처: 중국해관총서 홈페이지(http://www.customs.gov.cn/)>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과 대만 무역 품목
▣ 수입 품목 HS코드 2자리 수를 통해 품목을 산업별로 분류해 살펴보면, 2022년 중국의 對대만 수입 품목은 기계와 전기기기가 83.7%로 압도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함. - 이외에는 플라스틱과 고무 3.5%, 화학공업품 3.3%, 광학·측정·의료기기·시계·악기 2.3%, 비금속 2.2% 순으로 나타남. 상위 10개 수입 품목을 살펴보면 전자집적회로가 1,590억 달러로 전체 수입액의 66.8%를 차지함. - 이 밖에도 반도체와 관련된 품목이 대부분을 차지함. 대만은 글로벌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업체인 TSMC를 비롯해 UMC, PSMC, VIS 등이 있음. - 2022년 2분기 트렌드포스가 발표한 세계 파운드리 시장 업체별 점유율에서 대만기업의 점유율은 64%임. TSMC는 53.4%, UMC 7.2%, PSMC 1.9%, VIS 1.5% 등임. - 삼성전자는 16.5%로 2위임. ▣ 수출 품목 2022년 중국의 對대만 수출 품목 역시 기계류와 전기기기가 60.3%를 차지하고, 화학공업품 6.9%, 비금속 제품 6.9%, 플라스틱과 고무 3.4% 순으로 나타남. 상위 10개 수출 품목은 전자집적회로, 자동자료처리기계, 휴대전화가 1~3위를 차지하고, 소액의 간이 통관 상품은 27억 1,993만 달러로 4위를 차지함. <출처: 중국해관총서 홈페이지(http://www.customs.gov.cn/)>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과 대만 무역 규모
중국과 대만 무역은 안정적인 규모를 이어가고 있음. - 2022년 중국과 대만의 무역 규모는 3,196억 7,845만 달러로 전년 대비 2.5% 감소했음. - 중국과 대만 교역은 코로나19가 발생한 이후에도 급락하지 않았으며, 2020년 14.3%, 2021년 26% 증가율을 보임. 2022년 중국의 對대만 수입 규모는 2,380억 9,170만 달러, 수출 규모는 815억 8,675만 달러로 집계됨. 중국의 對대만 무역 구조는 수입이 수출보다 많음. - 2022년 중국의 대만 수입 비중은 74.5%이고, 수출 비중은 25.5%임. - 수입과 수출 비중은 2014년 이후 대체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함. 중국과 대만의 무역 규모는 2014년 1,983억 달러에서 소폭 하락과 상승세를 보이다 반도체 수입의 증가로 2020년과 2021년 각각 14.3%, 26%의 증가율을 보임. 중국은 대만과 정치적 관계 악화에도 불구하고 경제·산업 관계는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반도체 수출을 바탕으로 대만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음. <출처: 중국해관총서 홈페이지(http://www.customs.gov.cn/)>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2022년 중국 문화 관련 기업 영업이익
2022년 중국의 규모 이상 문화 및 관련 산업 기업 69,000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2022년 문화 관련 기업의 영업이익은 121,805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0.9% 증가함. 업종별로 문화 관련 새로운 유망업종인 16개 업종의 영업이익은 43,86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5.3% 증가함. - 이는 전체 문화 관련 기업의 영업이익 증가율보다 4.4% 빠름. 업종별로는 뉴스 정보 서비스 영업이익이 1조 4,464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3.3% 증가, 콘텐츠 창작생산이 2조 6,168억 위안으로 3.4% 증가, 창조 디자인 서비스가 1조 9,486억 위안으로 0.2% 감소함. - 문화 전파 채널은 1조 3,128억 위안으로 1% 감소, 문화 투자 운영은 504억 위안으로 3.2% 증가, 문화·오락·레저 서비스는 1,141억 위안으로 14.7% 감소함. - 문화 보조 생산과 중개 서비스가 1조 6,516억 위안으로 0.6% 감소, 문화 장비 생산이 6,904억 위안으로 2.1% 증가, 문화 소비 단말 생산이 23,494억 위안으로 0.3% 증가함. 산업 유형별로는 문화제조업의 영업이익이 44,781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2% 증가했고, 문화 도소매업은 19,376억 위안으로 1.2% 감소했으며, 문화서비스업은 57,648억 위안으로 1.4% 증가함. 영역별로는 문화 핵심 영역 영업이익이 74,891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3% 증가했고, 문화 관련 영역은 46,914억 위안으로 0.2% 증가함. 지역별로는 동부지역의 영업이익이 91,714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0.1% 증가했고 중부지역은 18,269억 위안으로 5.8% 증가함. - 서부지역은 10,793억 위안으로 0.5% 증가했으며 동북지역은 1,029억 위안으로 1.0% 감소함. <출처: “2022年全 模以上文化及相 企 收入增 0.9%” 家 局. 2023. 1. 30.>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2년 중국 지급시 재정력 순위
2023년 3월 1일 중국주간지 ‘중국경제주간(中 周刊)’은 「2022년 중국 지급시(地 市) 재정력(全 地 市 力10强城市)」 순위를 발표함. - 지급시 재정력 순위 상위 10개 도시는 장쑤성의 쑤저우( 州), 우시(无 ), 창저우(常州), 난퉁(南通), 광둥성의 포산(佛山), 둥관( 莞), 산둥성의 옌타이(烟台), 웨이팡( 坊), 산시성의 위린( 林), 네이멍구는 어얼둬쓰(鄂 多斯)가 포함 지급시(地 市)는 성 정부 관할에 속하는 성급 하부 행정단위이며, 우리의 시(市)에 해당 2022년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상위 10개 지급시 중 주요 석탄생산 도시인 위린과 어얼둬쓰는 각각 57.8%, 52.7% 성장했으나 나머지 8개 도시는 마이너스를 기록함. 지급시 중 재정 수입 1위는 장쑤성의 쑤저우로 2022년 재정 수입 증가율은 2021년에 비해 7.2% 감소했으나, 2022년 일반 공공예산 수입은 2,329억 1,800만 위안으로 가장 많았으며 전국 도시순위에서 6위를 차지함. 2위는 장쑤성 우시로 일반 공공예산 수입은 1,133억 4,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5.6% 감소하였으나 장쑤성에서는 쑤저우, 난징(南京)에 이어 3위임. - 우시는 장쑤성에서 총재정 수입 1,000억 위안 이상인 3개 도시 중 하나임. - 2022년 우시의 규모 이상 공업기업의 부가가치는 5,585억 9,7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5.4% 증가하며 지역 경제발전을 견인함. 주요 석탄생산도시인 산시( 西)성 위린시와 네이멍구성 어얼둬쓰의 2022년 일반 공공예산 수입은 926억 8,000만 위안과 842억 8,000만 위안으로 각각 3위, 4위를 차지함. - 2021년 위린시는 9위, 어얼둬쓰는 10위로 최근 증가한 석탄생산의 영향이 있음. <출처: “全 地 市 力10强城市出 : 州居首, 林、鄂 多斯、烟台逆 ” 中 周刊. 2023. 3. 1.>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2023년 구직 희망 도시 신(新) 1선 도시
2023년 2월 25일 중국 구직 플랫폼 즈롄자오핀(智 招聘)이 발표한 「2023년 춘계 채용시장 주간지(4호)(春招市 行情周 (第四期)」에 따르면, 대다수 구직자는 현재 거주 도시 수준이나 신(新) 1선 도시로 구직을 희망함. - 도시등급별 구직 희망 비율은 1선 도시 91.4%, 신 1선 도시 93%, 2선 도시 89.6%, 3선 도시 74.3%, 4선 도시 64.7%, 5선 도시 53.9%로 신 1선 도시를 가장 선호함. 신 1선 도시는 총 15개로 청두(成都), 충칭(重 ), 항저우(杭州), 시안(西安), 우한(武 ), 쑤저우( 州), 정저우( 州), 난징(南京), 톈진(天津), 창사( 沙), 둥관( 莞), 닝보( 波), 포산(佛山), 허페이(合肥), 칭다오( )를 포함 1·2·3·4·5선 도시 근로자 중 신 1선 도시로 신규취업을 희망하는 비율은 각각 4.3%, 4.1%, 12.2%, 16.1%, 17.5%로 다른 도시보다 높음. - 신 1선 도시는 1선 도시 못지않은 생활 편의성, 상대적으로 낮은 생활 스트레스와 비교적 높은 발전 잠재력 등으로 많은 구직자가 선호함. 2022년 중국 인구가 85만 명 감소하였으나, 신 1선 도시의 인구 유입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 - 2022년 항저우 상주인구는 1,237만 6,000명으로, 2021년 대비 17만 2,000명 증가함. 례핀빅데이터연구원( 聘大 据 究院)이 발표한 「2022년 항저우 유입 인재상 (2022年杭州流入人才 像)」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1년 동안 항저우로 유입된 인재 중 상하이와 베이징 유출이 각각 18.36%, 8.92%로 가장 많았음. 허페이시 통계국(合肥市 局)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2년 허페이시 상주인구는 963만 4,000명으로 전년 대비 16만 9,000명이 증가함. - 안후이성 인구 비중은 2021년 15.48%에서 2022년 15.72%로 0.24%p 증가함. - 2022년 허페이시의 이주인구는 13만 5,000명으로, 이주인구 증가에 따른 상주인구 증가는 도시의 성장 관점으로 볼 수 있음. 2022년 쑤저우와 난징의 상주인구는 각각 약 62,800명, 67,700명 증가함. - 2022년 정저우의 상주인구는 1,282만 8,000명으로 2021년보다 8만 6,000명 증가함. 신 1선 도시가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점차 1선 도시와의 격차를 좁히고 있음. - 신 1선 도시는 1인당 평균 소득수준도 비교적 높고, 취업 기회도 풍부하며, 부동산, 물가 등이 1선 도시에 비해 양호함. - 또한 미래 전망이 우수하고, 교육· 의료 등 공공서비스 자원도 풍부하여 많은 인구가 지속해서 유입되고 있음. <출처: “新一 城市成 地求 者首 ,杭州合肥人口增 快” 第一 . 2023. 3. 4.>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2년 중국 국민경제와 사회발전 통계
2023년 2월 28일 중국 통계국은 「2022년 국민경제와 사회발전 통계공보(2022年 民 和社 展 公 )」를 발표함. 2022년 중국 국내총생산(GDP) 규모는 121조 위안, 1인당 GDP는 85,700위안으로 전년 대비 3% 증가하였고 국민 총소득은 119조 7,00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2.8% 증가함. 2022년 중국 인구는 14억 1,200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85만 명 감소함. - 출생 인구는 956만 명, 사망 인구는 1,041만 명으로 자연 성장률은 –0.6‰임. 2022년 중국 1인당 가처분소득은 전년 대비 5% 증가한 36,883위안으로 월평균 3,073위안에 달했고, 중윗값은 31,370위안으로 4.7% 증가함. - 도시 거주자의 1인당 가처분소득은 49,283위안으로 전년 대비 3.9% 증가했고, 중윗값은 45,123위안으로 3.7% 증가함. - 농촌 거주자의 1인당 가처분소득은 20,133위안으로 전년 대비 6.3% 증가했으며, 중윗값은 17,734위안으로 전년 대비 4.9% 증가하며 증가율이 도시 거주자보다 높음. 2022년 중국 취업자 수는 7만 3,351만 명이며, 도시 취업자 수는 4만 5,931만 명으로 전국 취업자 비중의 62.6%를 차지함. - 2022년 도시 신규 고용은 1,206만 명으로 전년 대비 63만 명 감소하였으며, 도시 실업률은 5.5%로 조사됨. 2022년 전체 농민공 수는 29,562만 명으로 전년 대비 1.1% 증가함. - 그중, 외지 농민공은 1만 7,190명으로 0.1% 증가, 현지 농민공은 1만 2,372명으로 2.4% 증가함. 미국은 여전히 중국의 최대 상품 수출대상국임. - 2022년 중국의 대미국 수출액은 3조 8,70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4.2% 증가하였고 전체 수출 비중의 16.2%를 차지함. - 대아세안 수출액은 3조 7,900억 위안으로 21.7% 급증했고, 대EU 수출액은 전년 대비 11.9% 증가한 3조 7,400억 위안으로 빠르게 미국을 추격하고 있음. <출처: “中 人民共和 2022年 民 和社 展 公 ” 家 局. 2023. 2. 28.>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