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소비 트렌드 라이브 쇼핑・체험형 소비
▣ 라이브 쇼핑 소비자는 다양한 쇼핑 방법을 탐색하고 시도하는 것을 선호하며, 라이브 쇼핑이 대표적인 인기 소매 형태로 떠오르고 있음. - 조사 결과 소비자의 67%가 라이브 쇼핑을 경험했으며, 구매 품목은 의류·패션잡화(39%), 뷰티(34%), 가정용품(30%) 순으로 나타났음. 라이브 쇼핑 요인 비중은 저렴한 가격과 이벤트가 24%로 가장 높았고, 쇼호스트의 설명으로 상품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응답 21%, 라이브 쇼핑 중 구매하면 제공하는 많은 혜택이 18%로 나타남. - 또한 실시간 질의에 바로 답변해주고, 매진 임박 인기 상품을 구매하는 성취감이 각각 4, 5위를 차지함. ▣ 체험형 소비 최근 온라인 소비시장의 급성장과 새로운 소비채널 및 플랫폼의 등장으로 마케팅 수단이 다양화된 상황에서 코로나19 발생으로 소비자의 오프라인 방문 빈도 감소가 뚜렷함. 그러나 동시에 오프라인 소비는 고유한 장점인 투명한 정보, 직관적인 감각, 사실적인 경험, 즉각적인 접근으로 인해 소비자에게 직접적 경험을 제공하며, 오프라인 시장의 대체 불가능한 이점을 인식 - 응답자의 38%는 오프라인 매장을 선택하는 데 있어 상품을 즉시 얻을 수 있는 것이 1~3위, 37%는 상품의 품질이 더 보장된다고 응답했으며, 35%는 상품을 재질과 촉감 등 직접적으로 느낄 수 있으므로 오프라인 매장을 선택한다고 답함. <출처: 딜로이트(2023). 「2023中 消 者洞察 市 展望白皮 」>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소비 트렌드 이성적・친환경 소비
▣ 이성적 소비 코로나19 이후 사용 빈도와 수요가 감소하고 경제적인 압박으로 생활의 불확실성이 증가함에 따라 소비자의 소비 개념과 소비 행동이 실용적이고 합리적으로 변화함. - 소비자는 충동 소비를 줄이고 제품의 품질을 중요시하고, 가성비 높은 제품을 추구함. - 또한 다양한 할인 행사를 활용하여 상품을 구매하려고 하고, 구매에 있어 신중한 태도로 조사와 비교를 거쳐 제품을 선택하며 맹목적인 유행에 따르기를 거부함. 이러한 배경으로 자국 브랜드의 가성비 높은 제품과 사용 습관의 높은 이해도를 갖춘 제품이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며 실용적인 선택으로 이어짐. ▣ 친환경 제품 소비 중국인의 소비수준 향상과 상품 및 방식의 다양화로 소비자는 물질적인 욕구뿐만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만족과 즐거움을 추구함. 최근 '책임 있는 소비로 지구와 인류사회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줄인다'라는 소비 관념이 확산하고 있음. - 응답자의 33%는 이성적인 소비관에서 수요와 가성비 다음으로 ‘환경과 사회에 책임 있는 소비’를 선택하며 소비자의 두드러진 사회적 책임 의식을 반영함. 중국 소비자는 사회적 책임을 위해 56%의 소비자는 10% 이내의 녹색소비 프리미엄을 낼 의향이 있다고 응답함. - 응답자의 34%는 5% 이내의 녹색소비 프리미엄을 낼 의향이 있고, 22%는 5~10% 이내, 9%는 10~20%, 2%는 20% 이상을 낼 의향이 있다고 답함. 녹색소비 프리미엄을 낼 의향이 없다고 답한 응답자는 34%임. 품목별로는 영양 및 건강 관련 제품에는 74%의 소비자가 녹색소비 프리미엄을 낼 의향이 있다고 답했고, 뷰티 70%, 개인용품 70%, 식음료 69% 순으로 나타남. - 식음료 구매에 있어서 39%는 친환경을 구매결정 요인 TOP 3으로 고려함. <출처: 딜로이트(2023). 「2023中 消 者洞察 市 展望白皮 」>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중국 소비자의 소비 변화
백서에 따르면 상당수 소비자가 사치품, 오락용품, 술·담배 등 비생필품에 대한 소비 의향이 감소했음. - 2022년 소비자 43%는 사치품 소비를 줄였다고 답했으며, 이 중 18%는 소비 감소폭이 50%를 넘어섰고, 30% 이상의 소비자는 오락용품과 술·담배 소비를 줄였다고 답했음. 반면 식음료, 개인용품(구강·위생·영양 등), 가정 일상용품 등 생필품 소비 의향은 여전히 강함. - 지난 1년간 소비를 줄인 소비자는 15% 미만이며, 생필품은 30% 이상의 소비자가 소비가 증가했다고 밝혔음. 중국 소비자의 소비 의향 감소 원인 중 코로나19로 인한 외출과 사용 빈도 감소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 이 원인을 1위로 꼽은 비중은 23%이며 상위 3개 원인으로는 58%에 달함.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원인은 소비관 변화이며, 부정적인 미래 경제, 생활의 불확실성 증대 등이 뒤를 이음. 소비와 관련하여 2022년 12월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와 국무원은 《내수 확대 전략계획 요강( 大 需 略 要(2022-2035))》을 발표했고,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14·5 내수 확대 전략 실시방안(“十四五” 大 需 略 施方案)》을 발표하여 전면적인 소비 촉진, 소비향상 가속화를 내수 확대 전략의 중요한 과제로 추진하고 관련 요구사항과 과업배치를 제시했음. 이러한 강력한 정책 추진하에 중국의 디지털 소비는 지속해서 발전하고 있음. - 온라인 소비 비중은 2019년 20.7%에서 2022년 1~11월까지 27.1%로 증가하며 새로운 소비 모델이 빠르게 발전하는 추세를 보임. <출처: 딜로이트(2023). 「2023中 消 者洞察 市 展望白皮 」>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최근 중국 소비 현황
2023년 2월 2일 글로벌 회계법인 딜로이트(Deloitte)는 「2023 중국 소비자 통찰과 시장 발전 전망 백서(中 消 者洞察 市 展望白皮 )」를 발표하며 중국의 최신 소비 트렌드를 분석함. - 백서는 18~73세 2,000명을 대상으로 소비 배경·행위·개념, 생활 방식, 가치관 등을 설문 조사하였음. 2022년 중국 주민 1인당 가처분소득은 36,883위안으로 전년 대비 5% 증가했으며, 2010년 12,520위안보다 3배 증가한 수준임. 또한 중국의 중산층 인구는 세계 최대 규모임. 중국인의 1인당 저축률은 2019년 29.9%에서 3년 만인 2022년 1~9월까지 35.3%로 매우 증가했으며, 이는 소비자 시장의 잠재력이 여전히 크다는 것을 의미 소비는 중국 경제의 주요 원동력이며, 2021년 최종 소비 지출의 중국 경제성장 기여율은 65.4%에 달함. 중국의 사회소비품판매총액은 2019년 처음으로 40조 위안을 넘겼으며, 2022년 43조 9,733만 위안을 기록함. 그러나 사회소비품판매총액 성장률은 2021년 하반기부터 현저히 둔화하여 2021년 상반기 두 자릿수 증가에서 한 자릿수로 하락하였음. - 주요 도시의 봉쇄 조치로 심각한 경제활동 둔화 영향을 받아 2022년 4월 -11.1%까지 하락하였고, 이후 반등했으나 10월과 11월에 다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였음. 한편 중국 소비자신뢰지수는 2022년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며 저점을 맴돌고 있어 경제 및 소비 동향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중한 태도를 반영 <출처> 1. 딜로이트(2023). 「2023中 消 者洞察 市 展望白皮 」. 2. 중국국가통계국(https://data.stats.gov.cn)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2022년 중국 교육 발전 기본 현황
2023년 3월 23일 중국 교육부( 育部)는 기자회견을 통해 2022년 중국 교육 발전 기본 현황을 발표함. - 2022년 중국 학교 수는 51만 8,500개, 재학생 수는 2억 9,300만 명, 전임교원 수는 1,880만 3,600명으로 집계됨. - 또한 신규 노동인구의 평균 교육 기간은 14년으로 조사됨. 미취학 아동(만 3세 이상 만 6세 미만)은 국립 혹은 사립 유치원을 진학 할 수 있으며 2022년 유치원 총입학률은 89.7%로 전년 대비 1.6% 증가함. - 유치원 수는 28만 9,200개이며 그중 보혜성(普惠性) 유치원 수는 24만 5,700개로 전체 비율의 84.96%를 차지함. - 유치원 원아 수는 4,627만 5,500명이며 그중 보혜성 유치원 원아 수는 4,144만 500명으로 전국 원아 수의 89.55% 차지함. - 전임교원 수는 324만 4,200명이며 전년 대비 1.67% 증가함(합격률 99.39%). 2022년 9년간 의무교육률은 95.5%로 전년 대비 0.1% 증가함. - 초등학교 수는 14만 9,100개로 신입생 1,701만 3,900명을 모집하였으며 재학생 수는 1억 700만 명으로 집계됨. - 초등학교 전임교원 수는 662만 9,400명 임. - 초등학교 중 반 인원이 56인 이상 대형 학급은 4,522개로 전년 대비 2,703개 감소했으며 전체 학급에서 대형 학급의 비율은 0.48%로 전년 대비 0.25% 감소함. 2022년 중국 고등학교 총입학률은 91.6%로 전년 대비 0.2% 상승함. - 일반계 고등학교 수는 1만 5,000개로 전년 대비 441개 증가했고, 신입생 모집 수는 947만 5,400명으로 전년 대비 4.71% 증가, 재학생은 2,713만 8,700명으로 전년 대비 4.18% 증가함. 중등직업교육(인적자원관리기술학교 제외)학교 수는 7,201개로 전년 대비 93개교 감소하였고 학생 모집 수는 484만 7,800명으로 전년 대비 0.86% 감소함. - 재학생 수는 1,339만 2,900명으로 전년 대비 2.09% 증가함. 2022년 중국 대학교 총입학률은 59.6%로 전년 대비 1.8% 증가함. - 대학 수는 총 3,013개며 학생 수는 4,655만 명으로 전년 대비 225만 명 증가함. - 일반 대학 및 직업 학교 학부 모집 인원은 총 1,014만 5,400명으로 전년 대비 6.11% 증가함. - 전국적으로 총 124만 2,500명의 대학원생을 모집하였고 전년 대비 5.61% 증가함. <출처: “ 育部:2022年全 育事 展基本情 公布” 新浪 育. 2023. 3. 23.>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2022년 100개 도시 소비자 만족도 평가 보고
2023년 3월 14일, 중국 소비자협회(中 消 者 )는 「2022년 100개 도시 소비자 만족도 평가보고서(100 城市消 者 意度 告)」를 발표함. - 2022년 중국 100개 도시 소비자 만족도 종합 점수는 78.81점으로 전년 대비 2.21% 낮아짐. -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소비자 만족도 평가 추이를 살펴보면 2022년 처음으로 종합 점수가 하락함. 소비자 만족도를 월 소득수준에 따라 3,000위안 이하, 3,000~5,000위안, 5,000~ 8,000위안, 8,000위안 이상 등 4개 단위로 구분한 결과, 월평균 소득 8,000위안 이상 계층의 만족도 점수가 79.60점으로 가장 높음. -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소비자 만족도 점수가 향상되는 경향을 보임. 100개 도시 소비자 만족도 종합 점수 순위 1~10위에 쑤저우, 칭다오, 항저우, 옌타이, 난징, 포산, 우시, 샤먼, 베이징, 이창이 각각 순위에 오름. - 동부 및 남부 지역 도시, 경제 발전 수준이 높은 지역 도시의 점수가 중서부 지역보다 월등히 높음. - 평가대상 100개 도시 중 39개 도시의 점수가 전국 종합 점수보다 높음. 2022년 남성 소비자와 여성 소비자 만족도 점수는 각각 79.01점과 78.62점임. - 최근 5년 조사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연령대별은 만 15~24세(79.09점), 만 55~70세(78.45점)에서 만족도 점수가 가장 낮게 나옴. <출처: “2022年100 城市消 者 意度 果出 , 的家 排第 ?” 中 消 者 . 2023. 3. 14.>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상하이 시민 70.8% 한 자녀 출산 희망
2023년 3월 27일 상하이 통계국(上海市 局)이 발표한 ‘2022년 인구 변동 표본조사 데이터 결과(人口 情 抽 据 果)’에 따르면, 2022년 상하이 상주인구는 2,475만 8,900명으로 집계됨. - 호적인구는 1,469만 6,300명, 외래인구는 1,006만2,600명임. 중국 경제 매체 제일재경(第一 )이 발표한 출산 의향 조사 자료에서 ‘둘째 아이를 낳을 계획이 없는 가장 큰 이유’를 묻는 물음에 ‘현재에 만족한다’라는 응답이 41.8%로 1위를 차지함. - 양육비가 많이 들고 경제적 부담이 크다는 응답이 28.5%로 뒤를 이음. - 나이 또는 신체적 이유가 13%로 3위를 차지함. 희망 자녀 수를 묻는 문항에 1명 58.5%, 2명 36.7%, 3명 2.6%, 0명 2.3%로 조사됨. - 설문에 응답한 상하이 호적인구의 70.8%가 1명의 자녀를 두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응답했고, 자녀 2명은 25.1%, 3명 이상은 1.2%에 불과함. 2023년 2월 20일 상하이시 위생건강위원회(上海市 健委 布)가 발표한 「상하이시 2022년 인구 모니터링 통계(上海市2022年度人口 据)」에 따르면 상하이 상주인구의 한 자녀 비율은 66.01%, 두 자녀 비율은 29.46%, 다자녀 비율은 4.53%임. - 호적인구의 한 자녀 비율은 73.80%, 두 자녀 비율은 24.34%, 다자녀 비율은 1.86%임. - 상하이시 합계 출산율은 0.7이며 평균 초산 연령은 30.36세, 평균 출산 연령은 31.18세로 조사됨. <출처: “上海七成 籍常住人口理想孩子 1 平均初育年 超30 ” 第一 . 2023. 3. 27.>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2022년 베이징 국민경제 및 사회발전 통계
2022년 3월 21일 베이징시 통계국(北京市 局)은 「2022년 베이징 국민경제 및 사회발전 통계 공보(北京市2022年 民 和社 展 公 )」를 발표함. 2022년 베이징 지역내총생산(GRDP)은 41,610.9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0.7% 증가함. - 1차 산업은 1.6% 감소, 2차 산업은 11.4% 감소, 3차 산업은 3.4% 증가함. 2022년 베이징 상 주인구 는 2,184만 3,000명으로 전년 대비 4만 3,000명 감소함. - 상주인구 기 준 1인 평균 GDP는 190,000위안 수준임. 도시 인구 비율 은 87.6%이며, 그중 상주 외래 인구는 825만 1,000명으로 37.8%를 차지함. - 상주 인 구 출 산율은 5.67‰, 사망률은 5.72 ‰, 자연증가율은 –0.05‰로 조사됨. 2022년 베이징 신규 고용은 26만 명 증 가했으며 평균 실업률은 4.7%임. 연간 소비자 물가는 전년 대비 1.8% 상승하는 등 건전한 상승세를 보임. 2022년 12월 베이징 신 축주택 매매가격 지수(전월 대비)는 100.2이고 전년 대비 지수는 105.8이며, 구축주택 매매가격 지수는 99.6, 전년 대비 지수는 103.9 임 . 2022년 베이징 거주자 1인 평균 가처분소득은 77,415위안으로 전년 대비 3.2% 증가함. - 1인 평균 소비 지출은 42,683위안으로 전년 대비 2.2% 감소함. - 그 중, 도시 거주자의 1인 평균 소비 지출은 0.3% 감소했으나 농촌 거주자는 0.7% 증가함. - 도시 거주자의 엥겔 계수는 21.6%로 유엔이 정한 '풍족' 수준(20~30%)에 속함. <출처: 北京市 局(2023). 「北京市2022年 民 和社 展 公 」>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인터넷기업 상장 현황
2022년 중국의 상장 인터넷기업 수는 159개로 전년 대비 4개 증가함. - 증권 거래소 국가별 중국 상장 인터넷기업 수는 미국 64개, 홍콩 47개, 중국(상하이, 선전) 48개로 각각 40.3%, 29.6%, 30.2%의 비중을 차지함. - 시가총액별 비중은 홍콩이 58.9%로 가장 높고, 미국 34.9%, 중국 6.2%로 나타남. 인터넷 사업에는 인터넷 광고와 온라인 마케팅, 인터넷 부가가치 서비스, 온라인 게임, 전자상거래 등을 포함 중국 상장 인터넷기업의 소재지는 베이징이 53개(33.3%)로 가장 많고, 상하이 31개(19.5%), 선전과 항저우 각각 17개(10.7%), 광저우 8개(5%) 순임. 이들 기업의 사업 유형은 게임이 33개(20.8%)로 가장 많고, 전자상거래와 문화·오락이 각각 24개(15.1%), 금융 18개(11.3%), SW 11개(6.9%), 미디어 10개(6.3%)로 나타남. 중국 정부는 기업의 혁신 촉진을 위한 여러 정책을 발표하고, 특히 중소기업 발전을 위해 금융 지원을 확대한다고 밝혔음. - 이러한 배경으로 중국 인터넷 관련 분야의 투자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 2022년 중국 인터넷 관련 기업의 투자 건수는 전체 투자의 23%의 비중을 차지하고, 투자 금액 비중은 14.8%에 달함. <출처: CNNIC(2023), 第51次《中 互 展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인터넷 이용 APP와 특징
2022년 중국의 다양한 인터넷 프로그램 중 메신저 이용자 규모가 전년 대비 3,141만 명 증가한 이용률 97.2%를 기록하며 1위를 유지하고 있음. - 인터넷 의료, 온라인 오피스 이용자 규모는 전년 대비 각각 6,466만 명, 7,078만 명으로 각각 21.7%, 15.1% 증가했다. ▣ 온라인 오피스 2022년 온라인 오피스 이용자 규모는 5억 3,962만 명으로 전년 대비 7,078만 명 증가하여 전체 인터넷 이용자의 50.6%를 차지함. 온라인 오피스는 코로나19 발생으로 빠르게 상업화되었고, 초기 무료 사용 기간을 거쳐 온라인 사무 서비스가 지속해서 성장함. - 이후 텐센트 회의 등 유료 서비스를 출시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와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함. 2022년 온라인 화상회의, 온라인 문서 협업 편집, 온라인 계약, 온라인 작업 관리·프로세스 승인 프로그램 이용률은 각각 36.8%, 29.0%, 17.2%, 16.9%임. ▣ 인터넷 의료 인터넷 의료 이용자 규모는 3억 6,254만 명으로 전년 대비 6,466만 명 증가했으며, 전체 인터넷 이용자의 34%를 차지함. 2022년 중국은 정책을 통한 인터넷 의료산업의 표준화된 발전, 인터넷 진단·치료, 의약품 규제 지도로 관련 기술과 분야를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사업 범위를 확장해나갈 계획임. - 2022년 3월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 家 生健康委 )와 국가중의약관리국( 家中 管理局)은 「인터넷 진료 관리감독 세칙(互 管 ) (시행)」을 발표하여 인터넷 진단과 치료의 전 과정에 대한 품질과 안전 감독을 규정하고 의약, 의료, 기술 등 방면의 감독 요구사항을 명확히 하였음. <출처: CNNIC(2023), 第51次《中 互 展 告》>
홈 > 최신중국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