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2003년도 농산물무역 동향
2004년 중국 농업부 농업정보센타는 최근 중국의 2003년도 농수산물 품목별 수출입 동향에 대해 발표하였다. 중국의 농수산물의 수출동향과 수입동향에 대해 살펴본다. (이하 첨부문 참조)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진출 우리기업의 최대 애로요인은 세제문제와 판로개척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중국투자금액기준 700대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우리 기업의 대중투자 현황과 개선과제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진출기업의 가장 큰 애로요인은 '증치세 등 세제문제'(22.2%)로 조사되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판로개척'(19.8%)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금회수'(9.5%) 및 '원자재 조달'(9.1%) 등에도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투자시 가장 큰 애로요인으로 꼽혔던 증치세와 관련하여 증치세 환급에 어려움이 '있다'라고 응답한 기업이 과반수에 가까운 44.5%를 차지하였으며 그중 '환급지연'(50.0%) 가장 큰 어려움으로 조사됐다. 한편 중국현지법인 설립시 소요된 기간은 평균 4.7개월(202개사 응답)로 조사되었으며 허가절차는 우리나라와 비교하여 '비슷하다'라는 응답이 42.4%로 가장 많았으며 '더 까다롭다'라고 응답한 비중(35.9%)이 '매우 간편'했다라고 응답한 비중(21.6%)보다 더 많았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우리 기업의 대중투자 현황과 개선과제 조사
Ⅰ . 조사목적 및 개요 1. 목 적 2. 조사개요 Ⅱ . 개별문항에 대한 조사결과 1. 중국투자 현황 2. 중국투자계획 3. 교역‧세제관련 4. 금융‧투자관련 Ⅲ . 시사점 <부록 1> 對중국 주요 투자애로 및 개선과제 <부록 2> 중국투자기업 애로사항 및 개선과제 조사(설문지)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중국 경기 어디로 가나
중국 경기는 긴축정책으로 투자과열이 해소됨에 따라 연착륙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대중국 수출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내수판매 비중이 높은 현지진출 기업의 경우 매출 및 이익 하락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 회원가입이 필요한 사이트 입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中國, 석유확보 위해 中東 진출 본격화
中國, 석유확보 위해 中東 진출 본격화 - 중국-GCC 간 FTA 추진 합의 - ----주요내용---- ▣ 7월 6일 중국은 중동 걸프지역의 경제통합기구인 GCC(Gulf Cooperation Council)와 FTA 추진을 위한 협상을 조기에 착수하기로 합의하였음. ▣ 중국은 최근 석유소비 급증에 대비하여 중동 지역에서 원유공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GCC와의 경제협력을 강화하는 가장 중요한 목적임. - 중국의 석유수입은 현재 200만b/d에서 연간 약 40만b/d씩 증가하여 2025년에는 약 1,000만b/d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 - 중국의 對중동 석유수입량은 현재 90만b/d에서 2025년에는 700만b/d로 증가하며, 중동의존도가 현재 45%에서 70%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 ▣ 9.11 테러 이후 사우디와 미국의 관계가 약화되면서 사우디는 새로운 국제정치 파트너가 필요하고, 중국은 장기적으로 중동 내에서 미국의 영향력을 견제할 필요가 있어 국제정치적으로도 양 지역간 이해관계가 일치하고 있음. ▣ GCC와 중국이 FTA를 체결하면 한국은 공산품 수출과 건설부문에서 타격을 입을 뿐만 아니라, 중동으로부터 중국의 원유수입이 급증하면서 한국의 對중동 협상력이 약화되어 안정적 원유확보에도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일본의 對中 무역수지, 흑자로 돌아서
일 중 양국 무역통계에 따르면 일본, 중국 모두 상대국에 대해 무역적자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홍콩을 경유하는 수출입 통계를 포함할 경우, 일본은 중국에 대해 최근 무역적자에서 무역흑자(또는 균형)로 전환하는데 성공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소장 玄旿錫)가 최근 내놓은『일 중간 무역수지 변화와 시사점』에 따르면 1990년대 이후 확대되어온 일본의 對中 무역적자는 2001년에 최대에 달한 후 2002년부터 급격히 축소되었으며 최근에는 오히려 흑자(또는 균형)로 전환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양국의 수출입 통계 불일치는 홍콩경유 재수출, 수입원산지 적용 어려움에 따른 누락, 운임 보험료 포함 등에 기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일본제품이 홍콩을 경유하여 중국으로 수출된 경우 일본은 대 홍콩 수출, 중국은 이를 대 일본 수입으로 계상하여 홍콩경유 재수출이 양국간 수출입 통계 불이치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對中 무역흑자 전환은 고가품 및 기술 집약제품을 중심으로 對中 수출이 확대된데 기인한 것으로 특히 흑자 품목수 확대보다는 상위 흑자품목의 흑자확대에 따른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對中투자 측면에서 살펴보면 중국에 진출한 일본계 현지기업에 대한 수출증가와 함께 중국내 비일본계 외투기업의 對日수입 확대도 일본의 對中 흑자 전환을 가져온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일본의 對中 무역흑자(또는 균형) 전환으로 그동안 유지되어온 한 중 일 3국간 상호 흑자 연쇄고리 관계가 일본의 일방적 흑자구조로 변화되었으며 3국간 무역에서의 일본 입지가 한층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산업구조상, 일본산 첨단제품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어날 전망이나 일본의 중국산 기초상품, 노동집약제품에 대한 수요는 이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어 일본의 對中 무역흑자는 앞으로도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3국간 교역에서 아직은 무역흑자를 나타내고 있으나 對中교역이 중국의 기술추격에 따른 완제품 수입증가, 중국 진출기업의 현지 부품조달 증가 등으로 수지균형으로 발전할 경우에는 3국 역내교역에서 적자로 돌아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우리나라가 동북아 경제권의 중심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對日 무역적자 축소와 함께 장기적인 對中 무역흑자 기반을 구축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이를 위해서는 수출구조의 고도화와 함께 산업구조 재조정을 서둘러야 한다. 특히 수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첨단제품 및 1등상품 개발이 핵심과제라 할 수 있으며 첨단 부품 소재의 국산화를 통한 비교우위 확보가 매우 긴요하다 하겠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우리나라의 산업구조를 중국의 산업발전 단계에 맞춰 상위 보완 산업분야로 재편하는 것도 적극 추진해야 할 것이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韓-中-日 주요산업의 기술경쟁, 갈수록 치열
— 産銀 보고서, 기술경쟁력지수 한국 100, 중국, 76.5, 일본 110.5 — 기술격차는 중국보다 3.8년 앞서, 일본에는 2.2년 뒤져 산업은행은 반도체, 자동차, 석유화학, 철강 등 10대 주력기간산업을 대상으로 한국과 중국, 일본의 기술경쟁력을 분석한 '한․중․일 주요산업의 기술경쟁력 분석'이라는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9일 밝혔다. 보고서는 우리나라의 기술경쟁력 지수를 100으로 했을 때, 중국 76.5, 일본 110.5로 나타나 중국과 비교하여 경쟁우위에 있고, 일본에 대하여는 경쟁열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격차는 우리나라가 중국보다 3.8년 앞서있으나, 일본에는 2.2년 뒤져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산업에서 중국보다 기술경쟁력 우위에 있으며, 기술격차는 가전, 섬유, 통신기기, 컴퓨터가 3년 이내의 근소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석유화학, 철강, 반도체가 3~4년 사이의 다소간 격차로 나타나고 있으며, 자동차, 일반기계, 조선은 4년 이상의 상당한 기술격차를 보인다고 밝혔다. 일본과는 현재 반도체가 유일하게 경쟁대등 수준에 있으며 그 외 산업은 경쟁열위로 나타났다. 기술격차는 반도체, 컴퓨터, 조선, 가전, 섬유, 통신기기가 2년 이내의 근소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석유화학, 철강, 자동차가 3~4년 사이의 다소간 격차로 나타나며, 일반기계는 5년 이상의 상당한 기술격차를 보이는 산업으로 나타났다. 중기적(2007년)으로 중국은 석유화학, 섬유가 우리나라와 경쟁대등 수준을 보이고, 장기적(2010년)으로는 가전, 통신기기, 반도체가 경쟁대등 수준에 추가로 진입하며, 섬유는 우리나라가 경쟁열위가 될 것으로 보고서는 전망했다. 우리나라는 일본과 비교하여 중기적(2007년)으로 컴퓨터, 조선, 가전이 경쟁대등 수준을 보이고, 장기적(2010년)으로는 섬유, 통신기기, 석유화학, 철강, 자동차가 경쟁대등 수준에 추가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와 함께 반도체는 우리나라가 경쟁우위로 부상할 것으로 예측했다. 전반적으로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과의 기술경쟁력 전망은 중기적(2007년)으로는 현재의 경쟁구도를 유지하면서 기술경쟁 수준의 차이가 점차 감소하며, 장기적(2010년)으로 한국(지수=100 기준), 중국(94.5), 일본(102.1)의 기술경쟁력 차이는 더욱 좁혀지면서 3국의 기술경쟁 관계는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산은은 이번 보고서를 통해 기술경쟁력 제고를 위해 ▲ 핵심부품․소재산업의 원천기술 확보 ▲ 해외 직접투자 확대 등의 산업구조조정 추진 ▲ 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하는 기술표준화 추진 ▲ 조달․생산․판매의 물류통합시스템 구축으로 가격경쟁력 확보 ▲ 경쟁제품 대비 고부가가치화를 통한 차별화 추진 ▲ 경쟁력 확보가 가능한 전략적 육성분야에 대한 선택과 집중 ▲ 환경친화적 산업구조로의 전환 등이 균형 있게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산은 이귀재 산업기술부장은 “우리나라가 주요기간산업에서 경쟁우위를 선점하기 위해서는 일본의 고급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핵심부품․소재산업 중심구조와 중국의 저급기술 기반의 소비재 생산구조의 사이에서 나라별 특성에 맞는 경쟁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한․중․일 주요산업의 기술경쟁력 분석'의 요약은 첨부파일 참조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최근의 수출입 동향과 시사점
- 수출은 중국경제의 고성장 지속과 선진국의 경기회복 등으로 금년 1~5월중 38.4%(전년동기대비, 이하 동일) 증가하였으며 수입은 23.2% 증가 - 수출입차는 122.7억달러 흑자로 1998년(1~5월중 161.5억달러 흑자) 이후 최대 - 중국은 세계 생산기지로서 수출을 바탕으로 고성장을 상당기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고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은 중국의 내수보다 수출과 더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므로 우리나라 수출도 당분간 호조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 - 금년 1/4분기중 국내 설비투자가 부진(당해년가격기준, -0.2%)함에도 내수용 완성자본재 수입은 20.8% 증가하였는데 이는 최근 호조를 보이고 있는 IT산업의 설비투자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
홈 > 추천연구보고서 -
Regional Disparities in China's Economic Growth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 contents -------------------------- Ⅰ. Introduction Ⅱ. Review of Literature Ⅲ. Disparities in Economic Growth and Distribution of FDI Inflows Based on China's Provincial data Ⅳ. Measuring of GINI Index and Theil Index at China's Provincial level 1. Variation of GINI Index in China's Provinces 2. Variation of Theil Index in China's Provinces Ⅴ. Data Description Ⅵ. Statistical Methodology 1. Cross Sectional Model 2. Panel Data Model 3. Description of Xi,t-1 and Di,t Condition Variable Vector Ⅶ. Main Empirical Results of the Study Ⅷ. Conclusions Ⅸ. Policy Implications References Appendix Abstract Total 128 pages * URL 연결 실패시, 해당 사이트에 직접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 -
위안화 평가절상 가능성과 예상효과분석
-----------------------------*목차*--------------------------- Ⅰ. 문제의 제기: 위안화 환율문제의 본질 Ⅱ. 위안화 절상을 둘러싼 외부시각 1. 미국의 경제 및 정치적 고려 2. IMF 및 학계의 입장 Ⅲ. 위안화 저평가 정도와 예상되는 변화 1. 중국의 환율제도 2. 위안화의 저평가 정도 3. 다른 연구와의 비교 4. 예상되는 대응방향 IV. 우리나라 수출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안 1. 수출에 미치는 영향 2. 파급효과에 대한 바른 이해 3. 기업의 대응전략 총 12쪽. * 출처 URL 변경 시 연결이 안될 수 있습니다. 해당사이트에 가셔서 직접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홈 > 추천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