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 중국 인터넷 이용자 특징
중국 인터넷 이용자의 남녀 비율은 51.4 : 48.6으로 전체 인구 성비와 일치함. 인터넷 이용자의 연령대별 비중은 30대가 19.6%로 가장 높고, 40대 16.7%, 50대 16.5%, 10대 14.3%, 60대 이상 14.3%, 20대 14.2% 순으로 나타남. ▣ 인터넷 비이용자 2022년 중국의 인터넷 비이용자 규모는 3.44억 명으로 전년 대미 3,722만 명 감소했음. - 인터넷 비사용자는 농촌지역 거주 비중이 55.2%이며, 60세 이상 노인의 37.4%에 달함. 인터넷 비이용자는 일상생활에서 여러 불편함을 겪는다고 답함. - QR 등 모바일 결제 시스템으로 현금결제가 안 되는 불편함이 19%로 가장 높았고, 실시간 정보를 받지 못할 때가 17.1%, 티켓 구매·예약 불가 16.1%, 오프라인 지점이 줄어 업무처리가 힘든 불편함도 15.6%에 달함. 인터넷을 하지 않는 이유를 조사한 결과, 컴퓨터와 인터넷을 할 줄 모른다는 이유가 58.2%로 가장 많았고, 한자 병음을 모르는 등의 문화적 수준 한계 26.7%, 나이가 많거나 적어서 인터넷을 하지 못한다고 23.8%가 응답했으며, 13.6%는 컴퓨터 등 인터넷 설비가 없다고 답함. <출처: CNNIC(2023), 第51次《中 互 展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산업] 중국 인터넷 이용자 규모 및 보급률
중국 정부는 1997년 중국인터넷정보센터(中 互 信息中心, CNNIC) 설립을 통해 중국 인터넷 관련 각종 정보를 조사·집적하여 정보통신 정책 수립에 활용 CNNIC는 2023년 3월 28일 제51차 「중국 인터넷 발전현황 통계 보고(中 互 展 告)」를 발표함. - 보고서는 인터넷 인프라, 인터넷 이용자 규모 및 구조, 인터넷 APP, 산업 인터넷, 인터넷 보안 등 6가지 측면과 2023년 중국의 인터넷 발전현황을 종합적으로 소개함. 2022년 중국 인터넷 이용자 규모는 10억 6,744만 명으로 전년 대비 3,549만 명 증가함. - 인터넷 보급률은 전년 대비 2.6%p 상승한 75.6%에 달함. 중국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규모는 10억 6,510만 명으로 전년 대비 3,636만 명이 증가하였으며, 중국의 인터넷 이용자 중 모바일 인터넷 사용 비율은 99.8%에 달함. - 2022년 중국의 5G 기지국은 총 231.2만 개로 세계 기지국 수의 60% 이상을 차지하며, 빠른 인터넷 환경을 제공함. 중국 농촌 인터넷 이용자는 3억 800만 명으로 전체 인터넷 이용자의 28.9%에 달하며, 도시 인터넷 이용자는 7억 5,900만 명으로 전체 인터넷 이용자의 71.1%를 차지함. - 도시와 농촌의 인터넷 보급률은 각각 83.1%, 61.9%로 전년 대비 1.8%p, 4.3%p 증가했음. 농촌 인터넷 보급은 농촌진흥 목표의 중요한 요소로, 디지털 기술과 농업 생산, 농산품 물류의 통합으로 농촌 활성화를 촉진하고 농민 민생 복지를 향상함. <출처: CNNIC(2023), 第51次《中 互 展 告》>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3년 1분기 중국 기업 아웃소싱 현황
2023년 4월 21일 중국 상무부(商 部)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1분기 중국 기업이 수주한 서비스 아웃소싱 계약액은 5,768억 위안, 집행액은 3,961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8.2%, 24.4% 증가함. - 서비스 아웃소싱 계약액은 3,127억 위안, 집행액은 2,119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8.1%, 22.7% 증가함. 2023년 1분기 중국 기업의 역외 정보기술 아웃소싱(Information Technology Outsourcing: ITO) 집행액은 861억 5,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7% 증가했고, 비즈니스 프로세스 아웃소싱(Business Process Outsourcing: BPO)은 407억 8,000만 위안으로 19.7% 증가, 지식 프로세스 아웃소싱(Knowledge Process Outsourcing: KPO) 849억 7,000만 위안으로 28.6% 증가함. - 정보기술 솔루션 서비스, 전자상거래 플랫폼 서비스, 산업디자인 서비스 등 역외 서비스 아웃소싱 사업이 빠른 성장 속도를 보이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80.5%, 73.6%, 30.8% 증가함. 2023년 1분기 중국 서비스 아웃소싱 시범도시 수는 37개이며 계약액은 2,877억 위안, 집행액은 1,941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0.5%, 23.2% 증가했으며 전국 총액의 92.0%, 91.6%를 차지함. - 창장삼각주 지역의 해외서비스 아웃소싱 계약액은 1,607억 위안, 집행액은 1,095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3.6%와 19.6% 증가했으며 전국 총액의 51.4%와 51.7%를 차지함. 2023년 1분기 중국의 대홍콩, 미국, EU 지역 역외 서비스 아웃소싱 집행액은 각각 482억 위안, 425억 위안, 294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3.9%, 21.7%, 32.2% 증가했으며 총 역외 서비스 아웃소싱 집행액의 56.7%를 차지함. - 중국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회원국의 해외서비스 아웃소싱 집행액은 518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3% 증가했으며 총 해외서비스 아웃소싱 집행액의 24.5%를 차지함. - 특히,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등 국가의 해외서비스 아웃소싱 수행액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73.4%, 41.0%로 급증함. 2023년 1분기 민간기업의 해외서비스 아웃소싱 집행액은 589억 위안으로 27.8%를 점유하며 전년 동기 대비 16.6% 증가함. - 외국계 기업의 해외서비스 아웃소싱 집행액은 1,053억 위안으로 49.7%를 차지하여 전년 동기 대비 31.4% 증가하였으며 이는 전국 평균 성장률보다 8.7% 높은 수준임. 2023년 3월 말 중국의 서비스 아웃소싱 관련 누적 종사자 수는 1,515만 명이며 그 중 대학 이상 학력자 수는 980만 명으로 64.7%를 차지함. - 1분기 서비스 아웃소싱 신규 종사자는 17만 7,000명으로 그 중 대학 이상 학력자 수는 13만 9,000명으로 78.7%를 차지함. <출처: “商 部:一季度我 企 承接服 外包合同 5768 元 同比增 18.2%” 商 部 站. 2023. 4. 21.>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여성 발전 통계 모니터링 보고
2023년 4월 20일 중국 국가통계국은 「중국 여성 발전개요(中 女 展 要)(2021~2030년)」에 근거하여 여성의 건강, 교육, 경제, 의사결정 참여 및 관리, 사회보장, 가족 건설, 환경, 법률 등 8개 분야를 종합적으로 분석함. ▣ 건강 2021년 중국 임산부 사망률은 10만 명당 16.1명으로 2020년 대비 4.7% 감소함. - 도시와 농촌의 임산부 사망률은 각각 10만 명당 15.4명, 16.5명이며, 도시와 농촌의 격차는 2020년 10만 명당 44명에서 11명으로 감소함. 2021년부터 시행된 ‘모자(母 ) 안전 5대 시스템’의 영향으로, 출산 서비스 향상, 사춘기·갱년기 건강 관리 강화, 자궁경부암 및 유방암과 같은 주요 질병 예방 및 치료시스템이 강화됨. - 2021년 혼전 건강검진율은 70.9%로 2020년 대비 2.5% 증가하였고, 임산부 관리율과 산전 검진율은 각각 92.9%와 85.7%로 0.2%, 4.6% 증가함. 2021년 모자간 에이즈(AIDS) 전파율은 3.3%로 2020년 대비 0.3% 감소함. ▣ 교육 2021년 여아와 남아의 초등학교 진학률은 모두 99.9%에 도달함. - 2021년 전체 고교 재학생 중 여학생 수는 2,059만 8,000명으로 전체 재학생의 46.8%를 차지해 2020년과 비슷한 수준임. - 일반고 재학생 중 여학생은 50만 6,000명 늘어난 1,308만 1,000명으로 7년 연속 여학생 비중이 50.0% 이상을 차지함. 2021년 고등교육기관 재학생 중 여학생 수는 2,780만 7,000명으로 2020년 대비 124만 4,000명 증가했으며 전체 재학생의 50.2%를 차지함. - 여성 대학원생 수는 171만 7,000명으로 전체 대학원생의 51.5%이며, 0.6% 증가함. ▣ 경제 2021년 중국 여성 취업자 수는 3억 2,000만 명으로 전체 취업자의 43.1%를 차지함. - 도시 비사영기업(非私 位) 취업자 중 여성 수는 6,852만 명으로 2020년 대비 73만 명 증가하였고 비중은 40.3%로 0.5% 증가함. 2021년 《여성근로자 노동보호에 관한 특별규정(女 工 保 特 定)》을 시행한 기업 비율은 73.3%로 2020년 대비 2%p 증가함. - 관련 규정 시행으로 고용주와 여성 노동자의 노동보호와 안전 생산 의식이 제고되었고, 여성 노동자의 합법적 권익과 특수 이익이 보호됨. ▣ 의사결정 참여와 관리 2021년 성, 시, 현급 정부 지도부의 여성 정직(正 ) 간부 비율은 각각 6.5%, 8.4%, 10.6%임. - 성, 시, 현급 정부 지도부의 여성 간부 비율은 각각 61.3%, 86.5%, 96%로 집계됨. 2021년 기업 근로자 이사와 감사 중 여성 비중은 각각 37.6%와 40.5%로 2020년보다 각각 2.7%, 2.3% 증가함. - 기업 근로자 대표자회의 중 여성 비율은 30.6%로 0.4% 증가함. ▣ 사회보장 2021년 중국 여성의 기본의료보험 가입자 수는 6억 6,000만 명으로 2020년 대비 820만 6,000명 증가함. - 그중 근로자 기본의료보험과 도시·농촌 주민 기본의료보험 가입자 수는 각각 1억 7,000만 명, 4억 9,000만 명으로 각각 788만 9,000명, 31만 8,000명 증가함. 2021년 중국 여성 기초연금 가입자 수는 4억 9,000만 명으로 2020년 대비 1, 897만 1,000명 증가함. - 그중 도시근로자 기초연금 가입자 수는 2억 3,000만 명, 도시·농민 기초연금 가입자는 2억 6,000만 명으로 각각 1,798만 명, 99만 1,000명 증가함. 2021년 출산보험 가입자 수는 1억 500만 명으로 2020년 대비 159만 1,000명 증가하였고, 실업보험 가입자 수는 9,816만 5,000명으로 609만 3,000명 증가함. - 산재보험 가입자 수는 1억 600만 명으로 361만 4,000명 증가함. ▣ 가족 계획 가정의 출산 및 양육·교육 부담을 줄이기 위해 지역별로 인구 및 가족 계획 규정을 개정하고 재정, 조세, 교육, 주택, 고용 등 새로운 출산 정책에 대한 지원을 시행함. 좋은 가정 건설, 좋은 가정교육 함양, 좋은 가풍 전승에 중점을 둔 ‘집집마다 행복 평안 프로젝트(家家幸福安康工程)’를 실시하고, 2021년 각급 여성연맹은 총 4만 9,858가구를 표창함. ▣ 환경 2021년 국무원은 《오염방지 및 통제에 관한 심도 있는 의견( 于深入打好 染防治 攻 的意 )》을 발표하여 도시 수원지의 표준화된 건설을 가속화하고 농촌 수원지의 보호를 강화하고자 함. - 2021년 지급 이상 도시의 중앙 집중식 식수원의 수질 준수율은 94.2%, 농촌 수돗물 보급률은 84%로 2020년 대비 1% 증가함. ▣ 법률 가정폭력방지법이 공포·시행된 이후 강제신고제도, 경고문, 신변보호명령, 가정 폭력방지보호센터 등 가정폭력 개입 방법을 강화하고 있으며 가정 폭력방지법도 나날이 개선되고 있음. - 2021년 여성에 대한 신변보호령 발행 건수는 2,530건으로 집계됨. <출처: “2021年《中 女 展 要(2021—2030年)》 告” 家 局. 2023. 4. 20.>
홈 > 최신중국동향 -
[지역] 세계 부자 도시 10위권 : 홍콩, 베이징, 상하이
2023년 4월 18일 투자이민업체 헨리 앤 파트너스(Henley&Partners)와 유니버설 포털정보업체 뉴월드웰스(New World Wealth)는 「2023년 세계 최고 부자 도시 보고서(World’s Wealthiest Cities Report 2023)」를 공동 발표함. 세계에서 부자가 가장 많은 국가는 미국으로 10개의 도시가 50위권에 진입함. - 2022년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도시는 뉴욕으로 백만장자(백만 달러 이상 보유 자산가)가 약 34만 명 거주하며 1위를 차지함. 중국은 세계 부자 도시 50위권에 홍콩, 베이징, 상하이, 선전, 항저우, 광저우 등 6개 도시가 이름을 올리며 세계에서 두 번째로 부자가 많은 국가로 기록 - 10위권에 든 중국 도시는 홍콩, 베이징, 상하이로 백만장자 수는 각각 12만 9,500명, 12만 8,200명, 12만 7,200명으로 집계됨. 10년간(2012~2022년) 백만장자 증가율은 베이징 70%, 상하이는 72% 증가하였으나, 도쿄와 런던, 홍콩은 각각 5%, 15%, 27% 감소함. - 또한 선전(24위)은 98% 증가한 4만 5,700명, 항저우(35위)는 105% 증가한 3만 400명이며, 광저우(42위)는 86% 증가한 2만 3,500명으로 집계됨. 서울의 백만장자는 97,000명으로 16위에 기록됨. <출처> 1. “全球十大最富裕城市中 占三席 上榜了?” 《小康》·中 小康 . 2023. 4. 20. 2. “Which cities have the fastest-growing millionaire populations?” Henley&Partners.
홈 > 최신중국동향 -
[경제] 2023년 1분기 중국 온라인 소매시장 현황
2023년 4월 22일 중국 국가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2023년 1분기 중국 온라인 소매 판매액은 3조 2,9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8.6% 증가함. - 그중 실물상품 온라인 소매 판매액은 2조 7,8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7.3% 증가했으며 전체 소비재 소매 판매에서 차지하는 비중의 24.2% 차지함. ▣ 2023년 1분기 중국 온라인 소매시장 특성 첫째, 18개 모니터링 상품 중 6개 상품이 두 자릿수 성장을 보임. - 특히 금은보석이 28.1%, 통신장비는 18.5% 성장함. 둘째, 2023년 1분기 중국의 중부, 동부, 서부, 동북 지역의 온라인 소매 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1.3%, 8.6%, 6.9%, 3.7% 증가하였으며, 1~2월보다 각각 1.9%, 2.4%, 1.5%, 4.1% 증가함. 셋째, 온라인 서비스 소비 증가와 대면형 및 출행(出行) 관련 서비스 소비 회복이 가속화됨. - 1분기 온라인 케이터링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7.1% 증가함. 모니터링 대상인 성급(省 ) 온라인 케이터링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7% 이상 성장 - 온라인으로 판매된 여행상품과 관광지 입장권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5.8%로 급증했고, 문화·오락 관련 매출도 19.2% 증가함. 넷째, 1분기 농촌 온라인 소매 판매액은 5,233억 4,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8.8% 증가했으며 성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3.4% 증가함. - 그중 농촌 실물 상품의 온라인 소매 판매액은 4,766억 6,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7.7% 증가함. 다섯째, 1분기 중점 모니터링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누적 라이브 방송 수는 4,300만 회, 누적 시청자 수는 3,600억 회, 라이브 방송 상품 수는 3,400만 회, 진행자 수는 200만 명 이상으로 집계됨. <출처: “商 部 子商 司 人介 2023年一季度 零 市 展情 ” 商 部 站. 2023. 4. 22.>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의 지속되는 출산율 하락
중국 총출산율은 1970년대 6명에서 1990년 2명으로 하락한 뒤 2010년 1.5명, 2021년 1.15명, 2022년 1.1명 이하로 떨어졌음. - 다른 나라와 비교해보면 프랑스 1.79, 미국 1.66, 브라질 1.64, 영국 1.56, 독일 1.53, 일본 1.3으로 중국은 이보다 낮은 수준임. ▣ 늦어지는 결혼, 비혼, 딩크 출산 환경 약화, 개념 변화, 높은 출산의 기회비용과 직접 비용이 출산율에 악영향을 미치는 주요 원인으로 꼽힘. 중국의 혼인율은 2013년 최고조를 찍고 하락하고 있으며, 만혼 현상도 뚜렷함. - 1990~2020년 평균 초혼 연령은 22.9세에서 28.7세로 크게 높아졌음. 결혼 후에도 자녀가 없는 삶은 선택하는 딩크족이 대도시인 1·2선 도시에서 증가 출산 연령이 높아지고. 환경오염, 불규칙한 생활 방식 등으로 불임 비율이 증가해, 통계에 따르면 불임률은 12~18%에 달함. ▣ 출산 개념의 변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젊은 세대의 출산과 육아에 대한 개념이 크게 변화함. 부모 세대와는 달리 출산을 필수가 아닌 선택이라고 인식함. - 현재 주링허우(1990년대 출생자)와 링링허우(2000년대 출생자)는 자아 만족을 추구하며, 이른 출산으로 자신의 생활이 얽매이는 것을 꺼리며, 늦은 출산이나 자녀 없는 삶은 원하는 경향을 보임. 여성의 의식과 교육 수준이 향상되면서, 많은 여성이 가정에 머물러 있기보단 사회생활을 희망함에 따라 사회 보육 기능 강화가 필요함. 또한 노후 대비를 위해 아이를 낳아 키운다는 개념도 많이 약화함. ▣ 주거, 교육, 의료 등 직접 비용 부담 위와인구가 2022년 발표한 「중국 출산 비용 보고(中 生育成本 告)」에 따르면 중국 가정에서 0~17세까지 키우는데 평균 48.5만 위안(원화 약 9,056만 원)을 지출하고, 0세부터 대학 졸업까지는 평균 62.7만 위안(원화 약 1억 1,707만 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조사됨. 1인당 GDP 기준 양육비(자녀 만 18세까지 키우는 비용) 부담은 호주 2.08배, 프랑스 2.24배, 스웨덴 2.91배, 독일 3.64배, 미국 4.11배, 일본 4.26배, 중국은 6.9배에 달해, 중국의 양육비 부담이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임을 확인함. <출처> 1. 育 人口 究(2023a), 「中 人口形 告」 2. 育 人口 究(2023b), 「中 人口 告2023版」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의 출생아 수 현황과 전망
중국 출산 완화정책의 효과가 미미한 가운데 출생아 수는 2017년 이후 6년째 감소세를 보임. - 2022년 출생아 수는 956만 명으로 전년 대비 106만 명 줄어 최저점을 기록 중국은 신중국 성립 이후 세 번의 베이비붐을 맞았음. - 기간별 연평균 출생아 수는 ▲1950~1958년 2,100만 명, ▲1962~1975년 2,628만 명, ▲1981~1994년 2,246만 명으로 집계되었고, 그 후 2003~2012년 1,600만 명으로 하락하였음. 네 번째 베이비붐은 2010년으로 예상했지만, 장기간의 출산 억제정책으로 출생아 수가 감소했고, 2015년 두 자녀 출산 허용 정책이 시작되었음. - 2013년 1,640만 명, 2014년 1,687만 명, 2015년 1,655만 명, 2016년 1,786만 명으로 2000년대 이후 가장 높은 출생아 수를 기록하였으나, 이후 계속해서 감소 성·시별 출생아 수를 살펴보면 광둥이 가장 많았고, 허난, 산둥, 허베이 등 인구가 많은 지역의 출생아 수는 지난 5년간 40% 이상 감소했음. - 2021년 광둥의 출생아 수는 118.3만 명, 허난 79.3만 명, 산둥 75만 명으로 세 지역의 출생아 수 비중은 중국 전체에 26%에 달함. 반면, 2017~2021년 지역별 출생아 수 감소율은 신장, 산둥, 헤이룽장이 50% 이상 감소했고, 충칭, 후난, 허베이 등 10개 지역은 40~50%, 산시(山西), 지린, 쓰촨 등 15개 지역은 20~40%, 닝샤, 구이저우, 시짱 3개 지역만 10% 이하로 감소했음. - 지역별 2022년 출생아 수 통계 발표에 따르면 전년 대비 6~14% 감소했으며, 그중 칭하이, 충칭, 구이저우, 광시, 간쑤, 장시는 각각 6%, 7.9%, 9.4%, 11.9%, 12.7%, 13.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장기적으로 중국의 인구 보너스 효과는 사라지고, 저출산, 가임인구 감소 등으로 출생아 수는 계속해서 감소할 것임. 위와인구연구의 「중국 인구 예측 보고(中 人口 告) 2023」에 따르면 2050년 중국의 출생아 수는 773만 명으로 인도의 1/3 수준이며, 2100년에는 306만 명으로 인도의 1/4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 <출처> 1. 育 人口 究(2023a), 「中 人口形 告」 2. 育 人口 究(2023b), 「中 人口 告2023版」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인구 추이와 전망
중국 인구는 1949년 이후 자연재해 기간 3년을 제외하고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 - 2020년 204만 명 증가, 2021년 48만 명 증가, 2022년 85만 명 감소로 하락이 시작됨. - 중국 인구는 8억 명에서 10억 명이 될 때까지 12년이 걸렸으며, 10억 명에서 12억 명까지는 14년, 12억 명에서 14억 명까지는 24년이 걸렸음. 2016년 「국가 인구 발전 규획( 家人口 展 )(2016~2030년)」에서 2020년 중국 인구는 14.2억 명으로 전망했으나 이에 미치지 못했음. - 또한 두 자녀 출산 허용 정책으로 2030년 출산율을 1.8명으로 전망하며, 2030년 인구 14억 5천 명으로 최고조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었음. UN의 「세계인구전망 2019」에서 중국의 시기별 출산율 예측 시나리오를 2015~2020년 1.7명, 2020~2025년 1.72명, 2025~2030년 1.73명으로 예상하여, 2031년 인구 14.6억 명으로 최고조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음. 또한, 위와인구연구의 「중국 인구 예측 보고(中 人口 告) 2023」의 시나리오 중 하나는 2050년 중국 인구는 12억 3,034만 명, 2100년에는 6억 2,524만 명 수준으로 감소하여 세계 인구 비중이 18%에서 6.1%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함. ▣ 정책 변화 인구 변화는 중국의 경제 규모와 글로벌 경쟁력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 - 중국 정부는 인구 문제를 주목하며 장기적인 계획 수립과 출산 장려로 기조를 전환함. 2021년 5월 31일 중공중앙정치국회의에서 출산 정책을 완화하여, 세 자녀 출산을 허용하였고, 7월 20일 다자녀 출산으로 인한 처벌과 조치를 모두 취소한다는 내용을 발표함. 2022년 10월 제20차 당대회에서 인구 발전 전략을 최적화하고, 출산 지원 정책 체계를 구축하여 출산, 양육, 교육 비용을 낮추며, 인구 고령화에 적극 대응하는 국가전략을 시행하겠다고 언급했음. 중국은 출산 장려 정책이 효과를 거두어 짧은 기간 내 균형 있는 인구 발전이 되길 기대함. <출처> 1. 育 人口 究(2023a), 「中 人口形 告」 2. 育 人口 究(2023b), 「中 人口 告2023版」
홈 > 최신중국동향 -
[사회] 중국 인구 마이너스 성장 시작
2023년 2월 중국의 인구 관련 공공정책 연구기관인 위와(育 ) 인구 연구는 「중국 인구 추세 보고(中 人口形 告) 2023」을 통해 중국의 고령화, 저출산, 비혼 현상으로 인한 인구 변화를 분석함. 2022년 중국 인구는 14억 1,175만 명으로 전년 대비 85만 명 감소했고, 합계출산율은 1.1명으로 하락 2014년 시행된 두 자녀 출산 허용 정책은 기대에 못 미쳤고, 2021년 5월 세 자녀 출산을 허용했으나 정책의 효과는 나타나지 않아 중국의 출생아 수 감소 추세를 되돌리지 못함. 중국의 출생아 수는 2017년 이후 6년 연속 감소했으며 2022년 출생자 수는 956만 명으로 2021년 대비 106만 명 감소하여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으며 총인구는 전년 대비 85만 명 감소하여 마이너스 성장을 시작했음. 중국의 고령화 속도와 규모는 유례가 없고, 2021년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14.2%에 달해 고도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음. - 2022년 14.9%로 상승해 2030년 20%가 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 고령화, 저출산, 비혼 3대 추세가 가속화되고 있고, 인구 요인의 영향은 광범위하며 출산 정책 조정은 가장 근본적이고 중요한 공급 측면 구조 개혁 중 하나임. 중국은 최근 몇 년간 고령화와 저출산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전면적인 출산 자유화와 장려를 요구했으며, 출산 억제정책은 점차 완화되었음. 세 자녀 정책 이후 전국 각 지역에서는 적극적인 출산 지원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 - 출산지원금, 출산보험, 개인세 감면, 육아휴직 연장, 보육서비스 제공, 주택우선보장 등의 출산·양육비 절감을 위한 지원을 펼침. 점차 더 많은 지역이 현금성 출산 장려 정책을 시행 중 - 쓰촨성 판즈화시(攀枝花市), 간쑤성 린쩌현( ), 후베이성 안루시(安 市) 등 12개 이상의 도시에서 출산 또는 육아 보조금 관련 정책을 발표했거나 발표할 예정이지만, 현재 보조금은 대부분의 유럽 국가보다 낮은 수준임. <출처> 1. 育 人口 究(2023a), 「中 人口形 告」 2. 育 人口 究(2023b), 「中 人口 告2023版」
홈 > 최신중국동향